닫기

산업동향

[SURVEY] 2022년 국내 산업자동화 시장 향방은?

URL복사

제조혁신 등에 업고 올해 10% 내외 성장

“스마트공장 도입했거나 추진하겠다” 절반 넘어

 

업계는 올해 국내 산업자동화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중견기업 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이 속도를 냄에 따라, 자동화 업계는 코로나 팬데믹과 글로벌 공급망 대란으로 경기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에서도 올해 10% 내외 성장을 점쳤다.

 

특히, 인공지능을 비롯해 IIoT, 협동로봇, 빅데이터, AR/VR, 메타버스, 5G, 3D프린팅 등 핵심기술이 제조 혁신을 주도하며 스마트공장을 실현을 한발 더 앞당길 것으로 내다봤다.

 

이 내용은 지난해 12월, ㈜첨단이 2022년 국내 산업자동화 및 스마트공장 전망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 기업 대상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그 내용을 분석하여 정리했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2022년 국내 산업자동화 전망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97%가 ‘성장한다’고 답했다. 2021년 대비 성장률을 묻는 항목에서는 47.9%가 6~10%p, 36.8%가 5%p 이내를 점쳤다.

 

이 결과는 스마트공장 관련 정부의 제조혁신 정책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올해 3,663억 원을 들여 스마트공장 5,000개 이상 추가 보급할 계획이며, 스마트공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고도화도 집중 추진키로 했다.

 

 

또한, 인공지능, IIoT, 빅데이터, AR/VR 등 첨단 IT 기술이 자동화 시스템과 융합되면서 제조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자동화 관련 업계 대상으로 산업자동화 및 스마트공장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생각하는 핵심 기술을 묻는 설문에서 ‘인공지능(AI)’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은 24.1%를 나타냈다. 그 뒤를 이어 산업용 사물인터넷(16.2%), 협동로봇(14.7%), 빅데이터(12.5%), AR/VR/XR(10.0%), 메타버스(8.0%), 5G(6.8%), 3D프린팅(6.7%) 등이 차지했다.

 

 

한편, 2022년 산업자동화 시장이 ‘정체할 것’이라는 응답도 1.0%였으며, ‘하락한다’는 0.2%를 나타냈다. 이 응답자들은 ‘정체’ 또는 ‘하락’ 요인으로 글로벌 공급망 대란과 원자재 가격 고공행진에 따른 경기 회복 둔화, 전문인력 부족, 도입비용 부담, 정부 지원 미흡, 스마트공장 이해 부족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국내 스마트공장 도입률을 묻는 항목에서는 조사 대상의 34.1%가 ‘매우 높다’ 또는 ‘높다’고 응답했다. 반면, ‘낮다’는 18.4%, ‘매우 낮다’는 5.0%로 나타났다. 스마트공장 도입률이 낮은 이유로는 스마트공장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값비싼 장비로 인해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이 너무 크고, 투자하더라도 정량적인 수익 성과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어서 ‘전문 인력 부족’, ‘유지보수 어려움’, ‘기존 설비와의 연결 문제’, ‘정부 지원 규모 미흡’ 등을 꼽았다.

 

 

또한, 스마트공장 시스템 도입 여부를 묻는 설문에서는 스마트공장을 도입했거나 추진 중이라는 응답자가 절반을 넘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전면 도입했다’ 3.6%, ‘일부 도입했다’ 19.2%, ‘추진 중이다’ 28.6%를 보였으며, 아직 ‘계획이 없다’는 48.6%를 나타냈다. 투자비용이 적은 기초 수준 공장이 많이 보급되고 있지만, 스마트제조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스마트공장 고도화 집중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공장 구축 결과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53.3%가 ‘만족하다’고 응답했으며, 만족 이유로는 생산성 향상(30.3%), 공정 불량률 감소(17.8%), 공정 가소화(14.7%), 근로환경 개선(13.6%), 제조 리드타임 단축(8.8%), 재고 비용 및 제품 원가 절감(8.6%), 납기 단축(5.2%) 순이었다. 또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데 들어간 자부담금은 2,000만 원 이하였다는 응답자가 28.5%로 가장 많았다.

 

한편,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한 당면과제로는 정부 지원금 확대(25.0%), 교육 및 전문인력 양성(19.3%), 업체 시스템과의 호환성(14.5%), 유지보수 및 사후관리 개선(13.2%), 단계별 사업지원 지속(12.2%), 지원사업 참여 간소화(8.9%), 공급기업 정보 부족(6.7%) 등이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제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토메이션월드 임근난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