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 토털 솔루션 기업 3D 시스템즈(3Dsystems)가 'Figure 4 Tough Clear' 및 'DuraForm PAx Black'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소재는 광범위한 산업 응용 분야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2개의 새로운 생산 등급 레진으로, 어떤 환경에서도 오래 지속되는 기계적 성능 및 안정성을 위해 설계돼 소비재, 자동차, 항공 우주·방위 및 서비스 산업과 같은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Figure 4 Tough Clear는 장기 사용 부품 및 기능성 원형 제작을 위해 개발된 Figure 4 3D 프린터를 위한 3D 시스템즈의 첫 번째 투명 소재다. 이 소재를 사용해 생산된 부품은 후처리에 따라 개선된 우수한 선명도를 가지고 있다. 복잡한 어셈블리의 내부 작동을 관찰하기 위한 유체 및 가스 흐름과 같은 응용 분야에 매우 유용하다. 또 렌즈, 라이트 가이드 및 조명 커버의 빛 투과 및 반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충격 강도, 인장 강도 및 최대 8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연신율 특성을 포함한다. 이 소재는 ASTM D4329 및 ASTM G154 방식으로 테스트한 결과 실내에서 8년, 실외에서 1년 6개월
피닉스컨택트가 Push-X 기술이 적용된 ‘XTV 단자대’를 출시했다. Push-X 기술은 피닉스컨택트의 잘 알려진 기술인 PT(Push-in Technology)와 유사해 보이지만 내부 레그 스프링이 눌린 상태를 유지하는 쥐덫과 같은 설계가 적용돼, 가장 작은 크기의 연선도 바로 연결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제공한다. 전선을 삽입하면 접점 스프링이 트리거 되고 자동으로 안전한 접촉이 설정된다. 이를 통해 설치 시간이 단축되고 공구나 큰 힘없이 빠른 배선이 가능하다.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Push-in 방식과 동일하게 주황색 버튼을 누른다. 초기 XTV 제품군은 공칭 단면적이 6, 10 및 16mm²인 단자대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1.5~25mm² 크기의 전선을 배선할 수 있다. Push-X 기술은 표준 요구사항 이상의 방식으로 테스트 되어 높은 요구 사항을 적용해야 하는 산업에 적합하다. 또한, XTV 제품군은 피닉스컨택트의 단자대 시스템인 CLIPLINE complete 시스템과 호환되어 표준화된 브릿지, 마킹 및 테스트 액세서리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오토메이션월드 임근난 기자 |
핵심 디지털 인프라 및 연속성 솔루션 전문 기업인 버티브는 사용자가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통해 DVI 비디오, 오디오, USB 및 RS232 신호를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IP 기반 신호 확장기인 '아보센트 HMX 3080/4080 시리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아보센트 HMX 3080/4080 시리즈는 버티브의 고성능 IP 기반 KVM 제품군에 속하며, 기존 아보센트 HMX 1080/2080 시리즈 대비 성능이 한층 강화 됐다. 특히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되는 각 장치마다 고유한 IP 주소가 할당되므로 KVM 전송 손실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다양한 연결 옵션을 제공하는 유연한 아키텍처를 갖췄다. 수신기와 송신기는 CATx와 광 케이블을 사용해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 통합 네트워크 포트를 사용하면 하나의 송신기를 여러 수신기에 연결하거나 그 반대로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 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충분한 대역폭과 네트워크 스위치 포트를 지원하는 IP 매트릭스 아키텍처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최대 6만5000개의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의 모든 수신 단말기는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들을 자동으로 감지 및 구성할
온세미가 아리(ARRI)의 알렉사(ALEXA) 35 카메라용 맞춤형 고급 CMOS 센서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카메라는 온세미의 ALEV 4 슈퍼(Super) 35 4.6K CMOS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 RGB 컬러 필터와 최대 프레임 속도 120fps이 특징인 6.075um 피치로 4608x3164픽셀(14.6M픽셀)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이 센서는 픽셀 응답 최적화를 위한 온세미의 최신 기술, HDR 기술 및 고속 판독 시 픽셀 균일성 개선을 특징으로 하며, 메인스트림 온세미 센서에도 적용되는 기술이다. 최적화된 판독 기술이 적용된 고해상도, 대형 픽셀 이미지 센서는 초당 120프레임의 4.6K 이미지, 17스탑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제공해 전례 없는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확장된 다이내믹 레인지는 단일 프레임의 고대비 장면에서 더 높은 디테일을 가능하게 하여 뛰어난 이미지와 색상 경험을 제공한다. 아리의 카메라 시스템 사업부 책임자 겸 전무 이사인 월터 트라우닝거(Walter Trauninger)는 “2005년 첫 번째 ARRIFLEX D-20을 시작으로 2010년 6월에 출시된 첫 번째 알렉사, 올해 출시된 알렉사 3
Moxa는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 타이페이 2022에서 최신 TSN(Time-Sensitive Networking,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 솔루션의 발전 사항과 단일 통합 네트워크를 위한 TSN 에코시스템에 대해 여러 혁신 성과를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Moxa는 이번 발표를 통해 최근 TSN 에코시스템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데모로 산업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새로운 발전 경로와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전시회에서는 예측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만드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자동화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표준 이더넷으로 나아가기 위한 고성능의 등시성 네트워크와 보다 간단하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선보였다. Moxa는 고성능의 등시성 네트워크와 보다 간단하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선보였는데, 이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자동화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표준 이더넷을 통해 예측 유지 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만든다. 칩 제조업체와 장치 제조업체, 솔루션 공급업체, 최종 사용자 및 산업 협회 등으로 구성된 TSN 에코시스템은 협력을 통해 최근 비약적인 발전 성과를 거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한 Moxa는 CLPA(CC-Link Partner
지멘스는 시뮬레이터 의존성이 없는 자사의 Questa Verification IP 솔루션이 이제 고성능 컴퓨팅(HPC)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Compute Express Link (CXL) 3.0 프로토콜을 지원한다고 7일 발표했다. CXL 3.0의 기반이 되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네트워킹 프로토콜은 세계 최고 성능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물론 전 세계의 수십억 스마트 연결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CXL 3.0용 Questa Verification IP 솔루션은 지금 바로 사용 가능하며, 모든 시뮬레이터의 모든 첨단 검증 환경에 완벽하게 통합된다. 새로운 CXL 3.0 프로토콜을 자사의 차세대 설계에 통합하고자 하는 고객을 위해 이 솔루션은 고객이 블록 레벨 설계, 서브시스템 설계 및 SoC(System-on-a-chip) 설계 검증의 생산성과 유연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므로 타임투마켓을 단축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지멘스 IC 검증 솔루션 부문 제품관리 디렉터인 마크 올렌은 "지멘스는 새로운 CXL 3.0 프로토콜에 대한 지원을 조기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노트북 벤더가 소프트웨어 중심의 테스트 솔루션과 통합된 스냅드래곤 컴퓨팅 플랫폼에서 윈도우로 구동되는 Arm 기반 5G 개인용 컴퓨터 검증을 지원한다. 퀄컴테크놀로지스에서 개발한 다중 연결 솔루션인 스냅드래곤 컴퓨팅 플랫폼은 고급 카메라 및 오디오 기능과 5G 연결을 지원하는 안전한 경량의 팬리스 노트북에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많은 윈도우 기반 노트북 벤더는 스냅드래곤 컴퓨팅 플랫폼을 사용해 생산성, 효율성, 연결성이 향상된 클라우드 경험을 위한 5G 모바일 컴퓨팅을 제공한다. 키사이트를 통해 퀄컴데크놀로지스는 설계, 개발 및 제조에 이르는 워크플로 전반에 걸쳐 스냅드래곤 기반의 PC 검증을 가속화한다. 키사이트 무선 테스트 그룹의 선임 이사인 루카스 한센(Lucas Hansen)은 “키사이트는 퀄컴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모뎀 제조업체와 그들의 스냅드래곤 컴퓨팅 플랫폼이 인접 시장을 공략하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상시 활성화하고 연결돼 있는 노트북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원활한 모바일 연결을 제공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2016년부터 키사이트와 퀄컴은 벤더와 이동통신 사업자가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필수 레벨의 무선 연결을 제공
텔레다인 플리어 한국지사(지사장 이해동)는 산업용 음향 카메라 ‘FLIR Si124’를 출시, 국내 시장 공급에 본격화 했다고 밝혔다. 최근 음향 이미징 기술(초음파를 육안으로 확인시켜 주는 이미징 기술)이 제조 시설, 발전 시설 등에서 압축 공기 및 가스 누출이나 부분 방전(PD)을 매우 효과적으로 잡아낼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음향 이미징 기술은 예방 정비 작업을 수시로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줌으로써 전력 손실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주요 시스템의 고장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전기적·기계적 결함을 사전에 확인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텔레다인 플리어 관계자는 “더 많은 소비자가 초음파 이미징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FLIR Si124를 한국 시장에 공급한다”고 말했다. FLIR Si124 산업용 음향 카메라는 정확한 음향 이미지를 생성하는 음파를 감지, 표시 및 기록하는 기기다. 1.23㎏의 가벼운 무게와 사용하기 쉬운 인체 공학적 설계의 휴대용 카메라 솔루션 Si124는 초음파 이미지를 디지털카메라 이미지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해주는 게 특징이다. 또 제품 사용 시 사용자는 시각 및 음향 이미지를 화면에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볼 수 있어 소리
Pickit 3.2 릴리즈는 3D비전 플랫폼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이번 업데이트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도록 도움이 되는 새로운 하드웨어 및 향상된 소프트웨어 기능을 제공한다. 단 몇번의 클릭으로 디-팔레탈라이징 애플리케이션 도입이 가능하며,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소프트웨어에서 다양한 자동화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이번 업데이트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픽잇 3D비전 플랫폼은 지속적으로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 딥러닝을 활용한 디팔레타이제이션 'DeepAL' 새로운 Deep Learning Based De-palletizing 엔진을 활용하면, 다양한 박스와 포대 등 정렬되지 않아도, 완벽하게 패턴을 인식한다. 'DeepAL' 엔진을 활용 하면, 대상물의 깊이는 물론 색상정보도 모두 처리하게 된다. 2D/3D 영상의 조합으로 보다 정확한 픽 포인트 계산이 가능하다. 또한, 대상물을 쉽게 티칭할 수 있으며 대상물이 이동되거나 기울어지며 변화하는 부족한 조명 조건에 노출되는 어려운 시나리오에서도 제품 감지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픽잇코리아
오토닉스가 3D UV 레이저인 ALU-3D 시리즈를 출시하며 UV 레이저(3D/2D), IR Fiber 레이저(3D/2D), CO2 레이저 마킹기 라인업을 완성시켰다. ALU-3D 시리즈는 YVO4/DPSS 타입의 레이저 매질을 제공하는 3D UV 레이저이다. 해당 제품은 3W/5W, 10W/20W의 광출력 모델을 제공하며 355nm의 레이저 발진 파장으로 □100mm, □160mm, □300mm의 마킹 범위와 180mm, 300mm, 400mm의 마킹거리를 제공한다. 새롭게 출시한 ALU-3D 시리즈를 포함하여 오토닉스의 레이저 마킹기의 주요 특징으로는 고출력, 딥마킹 시 열 손상을 최소화하는 기술로 표면 질감과 관계없이 거의 모든 소재에 고품질 마킹을 실현한다는데 있다. 특히 IR Fiber 레이저의 경우, 최대 200W까지 고출력이 가능해 짧은 마킹 시간은 물론, 선명하고 또렷한 딥마킹이 가능하다. UV 레이저 역시 열 손상을 최소화한 마킹으로 자재의 변형은 물론, 우수한 기계적 가공성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움직이는 연속 공정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멈추지 않고 마킹할 수 있는 MOF(Marking on the Fly) 기능 △X, Y, Z의 3축 동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높은 보안 수준으로 정품을 인증할 수 있는 보안 NFC 태그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모조품은 브랜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매출을 깎아 먹을 뿐만 아니라 조악한 사용자 경험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훼손한다. 제약과 식품 같은 경우에는 위조 제품이 소비자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언제나 강력한 위조 방지 솔루션이 필요하다. 요즘은 경쟁이 치열하고 소비자들이 다양한 브랜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시대이므로, 기업들이 기술을 활용해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고객 충성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피니언에 따르면, 이번 출시한 NFC4TCxx 태그는 AES-128 암호화를 적용한 공개 표준 보안 아키텍처를 포함하며, 차분 전력 분석(Differential Power Analysis)과 차분 오류 분석(Differential Fault Analysis) 같은 물리적 공격에 대해서도 방어가 뛰어나다. 인피니언의 보안 NFC 태그는 304바이트부터 4킬로바이트까지 다양한 메모리 옵션도 제공한다. 따라서 브랜드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고객 맞춤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고객 참여를 향상할 수 있다. 제품에 대한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솔루션 전문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스마트한 4튜브 방식이 적용되어 정유 및 가스 산업의 탄화수소 로딩 및 언로딩, 수송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코리올리스 유량계 ‘Proline Promass Q 300/500’을 출시했다. 엔드레스하우저의 독보적인 기술력인 4튜브 기술은 측정 튜브가 2개인 기존의 유량계에 비해 최대 25% 높은 유량 범위를 지원하며, 원치 않는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유조선의 로딩 및 언로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정체 시간을 단축해 비용 절감을 가능케 한다. 스테인리스강으로 IP66/67에 맞게 제작되어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으며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최대 2,400t/h~18,900bph에 달하는 처리 유량에도 불구하고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제한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습한 대기와 높은 염분에 노출되는 혹독한 해상 조건에서도 원활한 측정을 수행한다. 코리올리스 유량계는 또 업계 최고 수준의 정확도와 함께 점성이 높은 탄화수소(중유, 역청 등)를 비롯해 기체가 혼입된 유체에 가장 이상적인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인증된 교정 시설을 통해 전체 측정 범위에 대한
최근 이코텍이 기존의 KEL-SCDP에 새로운 사이즈와 장착 옵션을 갖춘 ‘KEL-SCDP-TR’을 도입했다. 미터 규격의 KEL-SCDP-TR 케이블 엔트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커넥터가 장착되지 않은 단일 케이블을 DIN EN 60529에 따라 IP65 수준까지 배선 및 밀봉할 수 있다. 특히, 새로운 사이즈 ‘KEL-SCDP-TR 63|5+1’은 케이블을 최대 5개까지 배선할 수 있다. KEL-SCDP-TR 시리즈는 설치 가능한 케이블 직경 범위가 넓은 것이 특징인데, 케이블 또는 호스 직경에 해당하는 링을 한 겹씩 뜯어내는 원리로 원형의 스레드 사이에 작은 구멍을 뚫어 제거하기만 하면 된다. 제거된 부분은 항상 둥글기 때문에 밀봉이 매우 잘 된다. 타공 범위는 M2에서 M6으로 통합되어 있어 일반적인 케이블 그랜드와 마찬가지로 표준 타공 사이즈를 적용할 수 있다. KEL-SCDP-TR의 최대 밀봉 범위는 5~52mm이며, 함께 제공되는 육각 잠금너트를 통해 스크류 방식으로 고정된다. 오토메이션월드 임근난 기자 |
글로벌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전문기업 앤시스코리아는 엔지니어링 조직이 복잡성을 해결하고 차세대 제품 혁신 제품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앤시스 2022 R2’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통찰 역량 기반의 혁신 앤시스 2022 R2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통찰 역량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앤시스 그란타(Ansys Granta) 솔루션은 엔지니어가 설계 프로세스 초기에 재료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시뮬레이션 및 CAD(컴퓨터 지원 설계) 툴에 최신 지속 가능성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엔지니어들은 각자 속한 산업에 맞춰 친환경 설계 전략의 일환으로 재료 선택에 대한 최적의 관점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광학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앤시스 스피오스(Ansys Speos)’에는 렌즈 뒷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새로운 광학 기능이 추가되어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자동차 조명 설계자의 경우 특정 빔 패턴을 생성하는 렌즈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조명 산업에서도 맞춤형 패턴을 만들어 빛 공해를 제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모델 기반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트윈은 기업에서 통찰 역량 바탕의 간소화 된 비즈니스
개선된 성능과 함께 콤팩트한 사이즈와 편리한 휴대성 갖춰 한국텍트로닉스가 26일인 오늘 혁신 기술을 담은 신제품 오실로스코프 ‘2 시리즈 MSO’를 선보이고 국내 사업 확장을 위한 비전을 발표했다. 텍트로닉스는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출시된 오실로스코프 신제품 2 시리즈 MSO의 실물을 공개하고 제품 시연회를 진행했다. 2 시리즈 MSO는 휴대성을 강화한 차세대 제품으로, 기존 스코프 성능을 그대로 구현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백남주 대표는 “코로나로 대면에서 비대면, 직접에서 원격 등 산업군 전반 업무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가 찾아오고 시점에서 휴대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고 밝혔다. 기존 오실로스코프는 규모의 제한으로 설치된 작업 공간에서만 사용 가능해 작업 환경의 다양화와 워크플로우에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2 시리즈 MSO는 가로 34cm, 세로 21cm, 중량 1.8kg의 콤팩트한 사이즈와 편리한 휴대성으로 작업 공간 구애없이 이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2 시리즈 MSO는 기존 제품의 우수한 인터페이스를 계승해 사용자를 배려하는 한편, 노브 주위 LED 표시등을 추가해 상태의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하도록 직관성 또한 높였다. 또한, 엔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