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이 움직인다.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공장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로봇처럼 작동하는 ‘피지컬 AI(Physical AI)’ 시대가 도래했다. 이 가운데, 공장의 하드웨어 중심 운영은 소프트웨어 기반 플랫폼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맥락을 이해하는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시뮬레이션 등 기술이 핵심 역할을 한다. 현시점 제조업은 제품 생산을 이상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시스템 자체를 수출하는 산업으로 진화하는 중이다. 이번 특집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DF)’부터 네이버 ‘인공지능(AI) 에이전트’, 다임리서치 시뮬레이션 기술, 유니티 실시간 3차원(3D) 솔루션까지 제조업 혁신의 최전선 기술 방법론을 짚는다.
[특집] 로봇이 된 공장, 소프트웨어가 된 산업
[Real-time 3D]
게임 넘어 산업 현장으로…실감나는 상호작용 경험이 ‘산업 DX’ 핵심
[AI Simulation]
제조·물류 현장 ‘물리적 AI’ 시대 도래…AI 시뮬레이션으로 미래를 현실로
[Physical AI]
공장이 하나의 거대한 로봇 된다…KAIST, 피지컬 AI로 제조 혁신 선언
[AI Agent]
AI 에이전트가 바꾸는 제조 현장…네이버의 ‘팩토리 혁신 청사진’
[PEOPLE]
이계우 KICEF 조직위원장
“KICEF는 산업단지 제조기업 수출 전초기지 될 것”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송연옥 자동화 사업부 매니저
“초연결 시대 다시 쓰는 HMI 혁신…슈나이더, 산업 인프라의 新 신경망 구축한다”
에니아이 이용권 최고사업책임자
“에니아이, 로봇 혁명으로 ‘맛의 균일화’ 시대 연다”
[EXHIBITION REVIEW]
[매뉴팩처링 월드 도쿄 2025]
日 무대에 새긴 K-제조 발자취…시장 공략 승부수 띄웠다
[제3회 강남 로봇 플러스 페스티벌]
재활부터 조리·교육까지…로봇 기술, 일상 속으로 ‘성큼’
[INSIGHT ON]
클라우드·AI·6G 융합…노키아, 초연결 시대 비전 제시
“AI 보안, 이제는 실전”…지스케일러, 한국 시장 공략 나서
‘가상’에서 시작되는 제조 혁명… ‘버추얼 트윈’ 기반 데이터 지능 혁신법은?
[TECH NOTE]
CC-Link IE TSN, 제조 보안 기준을 다시 쓰다
이쏘노비
제조 혁신 이끄는 ‘PINOKIO’ 실제 적용 사례로 입증된 성과
[COLUMN]
모벤시스
PLC의 한계, PC의 또 다른 시작점
더와이 주식회사
대학의 ESG 평가 현황과 지속가능성 전망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