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자동화는 핸들링 및 스토리지 절감에서 처리량 개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다. 융합형 정보기술(IT) 및 운영기술(OT) 아키텍처를 갖춘 커넥티드 창고 및 기타 산업 생태계는 카메라, 바코드 판독기, 스캐너, 컨베이어 등 디바이스의 정밀한 타이밍, 동기화 및 커넥티비티를 위해 고정밀 시간 네트워킹(TSN)과 이더넷에 의존한다. 이들 생태계는 디바이스, 센서 및 장비 통신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요한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 혼합 신호, 아날로그 반도체 및 플래시-IP 솔루션 분야 글로벌 리더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은 새롭게 LAN9668 TSN 스위칭 디바이스 제품군을 출시했다. 해당 제품군은 업계 최초의 스위칭 솔루션에서 IEEE 표준 호환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트래픽 지연을 줄이고 클럭 정확도를 높여준다. LAN9668x는 최근 출시된 마이크로칩의 LAN8814 4포트 기가비트 이더넷 PHY(Physical Layer) 트랜시버를 통해 보완된다. 마이크로칩의 LAN9668-I/9MX와 LAN9668-9MX 디바이스는 각각 Arm Cortex®-A7 CPU가 장착된 산업 및 상용 애플
헬로티 함수미 기자 | CJ올리브네트웍스가 OT와 하드웨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지멘스와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OT는 비즈니스 중심으로 최적화되어 있는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와 달리 현장설비의 모니터링, 제어, 예측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를 뜻하며, CJ올리브네트웍스는 기존 솔루션 중심의 사업에서 OT 및 하드웨어 사업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스마트팩토리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지멘스와 지난 2일 전략적 제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행사에는 차인혁 CJ올리브네트웍스 대표와 토마스 슈미드(Thomas Schmid)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부문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CJ올리브네트웍스는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설비에 대한 관리, 운영 및 사업 인벤토리 공동 개발을 책임진다. 지멘스는 PLC와 SCADA 제품을 공급하고 구축 노하우를 제공하고, CJ올리브네트웍스 스마트팩토리 부문 임직원을 대상으로 OT 및 하드웨어 기술 교육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양사는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 설계와 구축, 영업확대, 마케팅, 기술지원 등에 상호협력할 예정이다. 차인혁 CJ올리브네트웍스 대표는 “솔루션 중심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안랩은 28일 판교 안랩 사옥에서 OT 보안 솔루션 전문 기업 나온웍스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안랩은 OT 보안 역량을 강화한다. 이번 계약 체결로 안랩은 나온웍스의 지분 60%를 인수한다. 안랩은 인수 절차 완료 후에도 현재 이준경 대표 경영체제를 유지하며 나온웍스를 독립된 자회사로 운영한다. 안랩은 이번 인수로 자사의 축적된 통합보안 역량과 나온웍스의 OT 보안 기술력을 결합해 OT 보안 영역의 기술 전문성과 사업적 시너지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안랩은 나온웍스와 ▲OT 보안 분야 공동 연구개발 ▲OT 보안 전문 솔루션 및 서비스 연계 ▲OT 보안 공동 사업 수행 등을 진행한다. 나온웍스는 2007년 7월 설립된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 및 OT 보안 솔루션 개발 전문 기업이다.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을 시작으로 산업제어프로토콜 일방향 보안 게이트웨이, 산업제어시스템 이상 행위 탐지 등 OT 보안 분야 솔루션을 개발하고 관련 사업을 영위해오고 있다. 현재 스마트팩토리, 데이터센터(IDC), 발전소, 수소 충전소 등 다수의 생산 및 기반 시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강석균 안랩 대표는 “
헬로티 함수미 기자 | SK텔레콤은 한국전자기술연구원과 손잡고 경남 창원 국가산단에 5G, AI 기반의 스마트 데모공장을 구축했다고 28일 밝혔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 운영하는 스마트제조 공정혁신센터 내에 구축된 스마트 데모공장에서 SKT는 5G 통신 인프라 기술을 활용해 로봇, 운송 시스템, 가공기와 같은 주요 장비들의 데이터를 지연 없이 빠르게, 수집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SKT는 자사 데이터 분석·관리 솔루션인 ‘그랜드뷰(Grandview)’를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으로 제공해 설비 운영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유지 보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신속하게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AI기반 월 구독형 서비스인 ‘그랜드뷰’는 ▲장비의 실시간 모니터링 ▲설비 고장 전조알람 ▲설비 유지보수 DB화 ▲AI분석 모델링 등의 서비스가 가능한 제조산업 분야 전문 솔루션이다. 창원 데모공장에서 SKT는 제조설비 특화 융합 서비스의 적극적인 발굴을 위해 제조 솔루션 파트너사에 ‘그랜드뷰’ 인프라를 제공해 여러 신사업 모델의 발굴 및 기업 간 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창원 국가산단에 있는 기업들은 데모 공장에서 제조산업 분야에 필요한 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클래로티가 1억4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D 투자를 추가 신규 유치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최근 몇 달 동안 주요 OT/ICS 인프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면서 이에 대한 심각성이 커진 가운데, 이번에 클래로티가 기록한 산업 사이버 보안 업계 최대 규모의 투자액은 시장 내 클래로티의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클래로티는 이번에 유치한 투자금을 통해 새로운 산업군 및 지역으로의 확장을 앞당기고 업계 최고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의 Century II 펀드와 40 North가 공동으로 이끌어 성사됐다. Century II 펀드는 향후 100년을 책임질 성장기 선도 기업을 위해 설계됐으며, 40 North는 글로벌 산업 비상장 기업인 스탠다드 인더스트리의 유관 투자 회사다. 기술 및 제조 분야의 글로벌 혁신 기업인 LG를 비롯해 아이 스퀘어드 캐피탈의 ISQ Global InfraTech Fund 등이 전략적 투자자로 함께 했으며, 장기 고객이자 파트너인 로크웰 오토메이션, 지멘스, 슈나이더 일렉트릭 등도 그간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재참여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 CNS가 이글루시큐리티와 손잡고 스마트팩토리 보안사업을 강화한다. LG CNS는 21일 마곡 본사에서 이글루시큐리티와 보안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LG CNS는 이글루시큐리티와 ▲스마트팩토리 보안 공동사업 추진 ▲전문인력 교류 ▲보안 공동 마케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디지털전환(DX) 가속화로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시장조사기업 '마켓앤마켓(Markets&Markets)'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스마트팩토리 시장 규모는 153억달러(약 17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팩토리에는 제조운영기술(OT)이 활용된다. 고객은 OT를 통해 생산공정을 모니터링하고, 생산라인에 원격 명령을 내리기도 한다. 공장 자동화로 보안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예를 들면 해커는 랜섬웨어를 이용해 스마트팩토리를 무력화할 수 있다. 피해 기업은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파일이 암호화되면서 생산라인을 재가동할 수 없게 된다. 생산라인이 멈추면 기업의 금전적 손실은 시간이 갈수록 누적된다. LG CNS는 스마트팩토리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레퍼런스를 축적했다. 2018년부터 LG 계열사의 국내외 40여개 스마트팩토리에 컨설
[헬로티] 대부분의 제조업체가 스마트팩토리 사이버 보안 위협을 직면한 경험이 있으며, 이에 대한 솔루션 구축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렌드마이크로가 발표한 ‘산업 사이버 보안 보고서: 인력, 공정 및 기술에 대한 IT와 OT 부서의 협업’에 따르면, 500명의 미국, 독일, 일본 IT 및 OT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내용에 따르면 61%의 제조업체가 사이버 위협에 노출됐다고 나타났다. 나아가, 응답자의 75%가 이와 같은 위협이 시스템 중단으로 이어졌으며, 43%는 시스템 중단이 4일 이상 지속됐다고 응답했다. 현재 여러 글로벌 제조 기업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는 가운데, 스마트 팩토리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기업의 IT 및 OT 부문 보안 인식 차이는 인력, 제작 과정 및 기술 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위협의 표적이 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78%가 가장 심각한 보안 과제는 기술이라고 답했으며, 인력 및 공정도 각각 68%와 67%를 기록했다. 한편, 응답자의 절반 미만이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기업의 보안 조치 중 자산 시각화 및 세분화가 각
[헬로티] 식음료업계에 가장 중요한 연결성과 유연성 제공 HTML5 인터페이스, zenon 10으로 확장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COPA-DATA(코파데이타)가 더욱 통합적인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일체형(all-in-one) 버전, zenon 10의 최신 메이저 릴리스를 공개했다. COPA-DATA은 이번 zenon 10의 발표를 통해 식음료 산업에서 IIoT를 구현하기 위한 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내놓게 되었다. 식음료업계에서 성공한 많은 기계 제작사들은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플랫폼 zenon의 인간공학적 유용성(ergonomic usability)에 의존한다. COPA-DATA 창립자이자 CEO인 토마스 푼젠베르거(Thomas Punzenberger)는 “OT와 IT의 융합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zenon 10은 식음료업계에 가장 중요한 연결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며, 고객은 zenon 10의 연결성 확장으로부터 더 큰 편익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식음료업계를 위한 ‘zenon 10’ 하이라이트 생산 품질과 유연성이 식음료 부문의 경쟁우위를 결정한다. zenon 10은 여러 수준에서 혁신을 제공하여
[헬로티] IT와 OT 영역을 포괄하는 식별-탐지-분석-대응 기능 제공 이글루시큐리티가 OT 운영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융합 OT 보안 기술력을 토대로 OT 보안 시장 공략에 나선다. AI(인공지능) 기반 정보보호 선도 기업 이글루시큐리티는 OT 환경에 특화된 OT 보안관리솔루션 ‘SPiDER OT(스파이더 OT)’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발맞춰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스마트 빌딩 등의 주요 설비 제어와 관련된 OT(운영 기술)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T(정보 기술) 네트워크와 OT의 접점이 점점 넓어지면서 이를 노리는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는 까닭이다. 이에 ‘가용성’ 확보에 중점을 둔 OT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SPiDER OT’는 이글루시큐리티의 이기종 보안 이벤트 통합 분석 기술과 노하우를 토대로 IT와 OT 영역을 포괄하는 식별-탐지-분석-대응 기능을 제공한다. 보안 담당자들은 ‘SPiDER OT’를 활용해 IT 보안 장비와 OT 자산을 식별하고,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OT 센서 및 OT
[헬로티] 삼성SDS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현재, 보안 분야의 중요성을 환기하기 위해 ‘사이버 시큐리티 컨퍼런스 2021’을 개최했다. ▲출처 : 삼성SDS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업무와 클라우드 가속화 등 급변하는 디지털 전환 환경 속에서 보안의 중요성과 대응 방안을 공유했다. 이동근 KISA 침해대응단 이동근 단장은 포스트코로나가 아닌 위드코로나시대가 도래하면서 디지털 중심 변화가 더욱 일어날 것이라 말했다. 디지털 전환 수요가 급증하면서 IT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클라우드 시장이 초호황을 누리게 되는데, 이를 악용한 공급망 보안 위협 시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기존의 방어체계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제로트러스트(그 누구도 믿지 말라)’로의 접근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로트러스트는 단말자의 최소한만을 허용해 최소 접근 권한만 허락하는 것이다. 조원용 시큐아이 이사도 제로트러스트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했다. 코로나 확산으로 외부에서도 업무의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환경 구축이 필요한데, 제로트러스트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외부에서도
[헬로티] 산업 통신 및 네트워킹 분야의 선도기업인 Moxa는 산업 네트워크 보안에 중점을 둔 사이버 보안 표준과 관련하여 IEC 62443-4-1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인증 테스트 및 감사는 LCIE 뷰로 베리타스(Bureau Veritas)에서 수행했으며 인증서는 IECEE 인증 기구에서 발행했다. Moxa는 지속적으로 사이버 보안 산업에 참여해왔으며 적합성 평가 및 인증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IEC 62443-4-1 인증을 받아 세계적인 선두주자임을 인정받았다. IEC 62443 표준 Part 4-1은 산업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용 보안 제품을 개발 및 유지하기 위한 보안 개발 수명 주기를 정의한다. IEC 62443-4-1 인증서에 따르면 완전한 보안 수명 주기 관리 및 패치 관리를 포함하는 제품 개발 공정의 첫날부터, Moxa가 설계를 통한 보안 방법론을 구현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이 인증서는 취약점을 식별하여 대응하고, 고객과 협력하여 위험을 완화하는 Moxa의 능력을 보여준다. 2020년 IDC에서 수행한 IT와 OT 융합 설문조사에 따르면, IT/OT 융합의 주요 동기 요인은 운영 안전 및 성능 향상, 비용 절감 및 품질 향상이다. 이 보
[헬로티]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Digital Industries)가 삼정KPMG와 OT(산업운영기술) 및 ICS(산업제어시스템) 보안 사업 강화와 신기술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토마스 슈미드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부문 대표(오른쪽)와 정대길 삼정KPMG 컨설팅부문 대표(왼쪽)가 OT·ICS 보안 사업 및 신기술 연구 협력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산업 자동화, 스마트 빌딩, 에너지 산업 등 디지털 전환 핵심 산업 분야에 대한 사이버 위협 대응 분야에서 협업한다. ▲OT·ICS 보안, 정보보호, 디지털 융합 환경 관련 공동연구를 진행 ▲통제 및 보호 기술, 글로벌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문지식을 공유 ▲OT·ICS 보안 신기술 개발과 컨설팅 사업화 공동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도 진행할 예정이라 전했다.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부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한 제조환경 구현을 위해 제품 설계부터 물류, 서비스에 이르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협력을 통해 고객에게 안전성이 검증된 최적의 OT 보안 솔루션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한
[헬로티] 한국요꼬가와전기(대표 사이토 요지)와 삼정KPMG(회장 김교태)는 지난 15일 역삼동 삼정KPMG 본사에서 OT(산업운영기술) 보안사업 강화 및 ICS(산업제어시스템) 신기술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정대길 삼정KPMG 컨설팅부문 대표와 사이토 요지 한국요꼬가와전기 대표 및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 사이토 요지 한국요꼬가와전기 대표(좌)와 정대길 삼정KPMG 컨설팅부문 대표가 15일 OT·ICS 보안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정KPMG)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OTᆞICS 보안, 정보보호, 디지털 융합 환경 관련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통제 및 보호 기술, 글로벌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문지식을 교환한다. 또한, 신규 OTᆞICS 보안 기술 및 컨설팅 사업화 공동 추진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 삼정KPMG 사이버보안서비스팀은 2013년 신설된 국내 최대 규모 비즈니스 프로세스 기반 보안컨설팅 조직으로, 정보 보안, 디지털 기술 보안, OT 보안,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 보안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기업의 보안 분석, 계획, 설계,
[헬로티] 포티넷코리아는 OT(operational technology, 운영 기술) 산업보안을 위한 SD-WAN 어플라이언스인 일반형 ‘포티게이트 러그드 60F(FortiGate Rugged 60F)’ 와 3G4G/LTE용 ‘포티게이트 러그드 60F-3G4G (FortiGate Rugged 60F-3G4G)’ 2종을 발표했다. ▲포티게이트 러그드 60F 이 신제품은 거친 산업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유틸리티 및 에너지, 제조, 운송 분야의 OT 조직들이 이전에는 구축할 수 없었던 장소에 시큐어 SD-WAN 솔루션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OT 환경은 데이터 생성 및 수집 방식에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OT 환경에서는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고가의 임대 회선이나 MPLS 회선을 사용하고 있다. SD-WAN은 OT 조직이 더 나은 사용자 환경, 간편한 관리와 적은 TCO(총 소유비용)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이 기술을 쓰기 위해서는 공간, 전력, 보안 및 환경적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OT 환경 고유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SD-WAN 솔루션이 필요했다. 이런 OT 조직의 고유한
[헬로티] 지멘스는 10월 28일 오후 2시부터 웨비나 전문방송 MTV(매뉴팩쳐링TV)에서 ‘OT/IT 융합시대, 미래 트랜드 맞춤 스마트 솔루션 SIMATIC HMI & SCADA’를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한다. OT/IT 융합의 시대에 맞춘 최적의 솔루션, 지멘스 SIMATIC HMI & SCADA 시스템이 바라보는 주요 미래 트렌드는 무엇일까? 첫째, 더 이상 빅데이터가 아니라, 스마트 데이터가 되어야 한다. 즉, 데이터를 잘 모으고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는 스마트 데이터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둘째, 신기술의 기하급수적인 발전이다. 컨슈머 시장의 트렌드가 제조업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셋째, 글로벌라이제이션과 모빌리티이다. 물리적인 회사의 위치, 본인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 세계 어디에서나 플랜트 시각화 시스템 연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넷째, 에너지 및 원자재비용 상승으로 인한 에너지 효율성 확보이다. 지멘스는 이러한 미래 트랜드에 맞추어 똑똑한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웨비나를 통해 시각화의 미래, 지멘스의 SIMATIC HMI & SCADA 솔루션에 대한 소개와 데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