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공장자동화 전시회는? 오토메이션월드 오토메이션월드가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립니다. 무려 A, B, C, D홀을 다 사용합니다. 얼마만큼 큰 규모인지 짐작이 안 가시죠? 그럼, 직접 오셔서 느껴보고 가세요^^ 올해 주제는 " 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 " 디지털 뉴딜의 새로운 미래를 제시한다고 합니다. (좀 어렵네요 -_-) 자세한 정보는 http://www.automationworld.co.kr/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올해로 오토메이션 월드가 31주년을 맞이했다.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국내 최대 산업자동화 전문 전시회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이하 오토메이션 월드) 2021’이 개최된다. 오토메이션 월드는 1990년 한국국제공장자동화종합전(KOFA)을 시작으로 국내 자동화 산업과 함께 성장을 거듭했다. 자동화 산업에 대한 주변 여건이 무르익으면서 1996년에는 사상 처음 1,000부스를 돌파했으며, 2001년에는 지멘스, 로크웰, 미쓰비시 등 외국 대기업들이 대거 참가하며 세계화에 돌입했다. 세계화를 이뤄낸 결정적인 해는 2002년. 당시 KOFA는 국내 최초로 세계전시협회(UFI)의 인증을 받으며 국제적인 전문 전시회로 도약하기 시작했다. 2006년, KOFA는 aimex로 다시 탄생했다. aimex는 국제자동화종합전으로서 그 안에 전시된 제품과 기술은 기술 간, 제품 간 융합을 통해 현재보다 미래를 보여줬다. 마침내 2010년, aimex는 빌딩자동화전과 함께 산업 자동화에 더욱 집중된 전문 전시회로 발전하기 위해 ‘오토메이션 월드’로 거듭났다. 그리고 201
[헬로티] 노바인스트루먼트는 온도, 압력, 습도, 노점, 유량, 유속 등의 분야 계측기 전문업체이다. 이 회사는 독일의 CS-instruments, Halstrup Walcher, 미국의 SBIR, 그 외 Time Electronics, AOIP, Zoglab 등 다양한 해외 제조사들의 제품을 국내 공급하고 있다. 또한, 축척된 경험과 전문적인 기술 지식을 바탕으로 기존 수입 품목의 전문 공급과 열전대 불균질 시스템을 개발 및 공급하며, 기압 테스트 설비 및 노점센서, 디지털압력게이지 OEM 공급에도 주력하고 있다. Q. 올해 주력할 역점사업은. A. 노바인스트루먼트는 한국표준과 학연구원, 한국인정기구 교정기관 및 연구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기준 교정 설비 및 측정 장비를 공급하여 국내 교정 장비들의 기능 향상과 여러 현장 에서 품질 좋은 생산품이 나올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는 위해 힘쓰고 있다. 특히, 코로나 시대에 체온계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체온용 교정이 함께 중요시 되고 있는데, 체온계의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하여 기준이 되는 교정 장비를 체온계 개발 및 생산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Q.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그동안 어떤 전략을 추진해 왔나. A. 코로
[헬로티] “보통의 사고는 사람의 부주의에서 일어난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선 각 개인이 자신의 역할에 책임을 가지고 일해야 한다.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는 시스템에서는 산업재해 사고를 예방할 수 없다.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오히너의 EKS 시스템으로 현장의 안전관리를 체계적으로 운용하겠다.” 오히너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기점으로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고 있다. 국내 주력 상품인 저가용 스위치와 더불어 High Coded Safety System을 국내에 도입한다는 것이 올해 목표다. 세이프티 관련 최근 이슈와 올 한해 영업 전략을 오히너코리아 김민식 차장에게 들었다. ▲ 오히너코리아 김민식 차장 Q.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간 발생한 산재 사고 74.1%는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발생했다. 산업재해 근절, 왜 힘든 걸까. A. 모든 사업장 내에는 규칙과 규정이 존재한다. 규정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면 위험으로부터 사람이 보호될 수 없는 건 누구나 알고 있지 않은가? 사업장 내 관리자, 생산자의 책임 의식이 선행돼야 한다. 덧붙여 안전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시장에는 안전시스템의 많은 수요
[헬로티] 비전 솔루션 전문기업 InspirazTechnology(이하 Vizcam)는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Vizcam 제1 세미나실에서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 월드 2021 관련 자체 온라인 전시회 및 웨비나’를 열어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Vizcam ‘온라인 전시회 및 웨비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19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 월드 2021’ 전시회 연기로 인해 자체적으로 추진됐으며, Vizcam의 고객사인 로봇회사, 장비 제작사, SI 업체의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번 온라인 전시회는 머신비전 플랫폼 WIZER를 비롯하여 Multispectral, Intuit, RTU 등 총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솔루션 소개와 스마트 팩토리 시장 동향에 관한 소개가 진행됐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온라인 시장의 폭발적 성장에 따라 많은 물류센터가 필요해지는 시대, 상황적 측면을 고려한 시장 분석이 이루어져 파트너사들의 니즈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번 행사 주최사인 Vizcam은 “종식되지 않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첨단 헬로티] “엘모는 초소형·고출력·안전성을 갖춘 모션 제어를 공급하며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모든 조건을 갖췄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가장 까다로운 응용 분야가 ‘초소형·고출력·안전성’ 등일 것이다. 스마트 팩토리와 함께 공간을 절약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며 기계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엘모 모션 컨트롤의 이형규 지사장은 그런 점에서 엘모의 제품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의 모든 조건을 갖췄다고 말한다.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엘모의 전략은 무엇인지 이형규 지사장에게 들어봤다. ▲ 엘모 모션 컨트롤 APAC 이형규 지사장 Q. 최근 모션 컨트롤 기술 동향은 어떠한가. A.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팩토리의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해결책으로 초소형, 고출력, 그리고 최상의 안전성을 갖춘 완전 통합 모션 제어 시스템 등이 요구되고 있다. 엘모 역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작은 서보 드라이브와 다축 모션 컨트롤러, 고도로 통합된 일체형 모션 제어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Q. 엘모의 글로벌 경쟁력은. A. 이스라엘에
[첨단 헬로티] 인아텍이 3월 27일부터 3월 29일까지 3일 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19’에 참가하여 스마트공장 주력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올해로 40주년을 맞이한 공장자동화 솔루션 기업 인아그룹의 자회사인 인아텍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자율주행 로봇 MiR, 비전(Vision)이 내장된 세계 최초의 협동로봇 TM Robot, 팔레트 운송 로봇 Nipper 등을 출품했다. 우선, MiR은 레이저 스캐너 및 3D 카메라를 통해, 주변 경로 및 상황을 파악해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로봇이다. 최대 500kg 중량물 및 팔레트를 이송할 수 있으며, 시간 당 7.2km 운행이 가능하다. 인아텍에서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더해 상위 모듈까지 구성할 수 있다. TM Robot은 비전(Vision)이 내장된 협동로봇으로, 일반적인 협동로봇과 달리 기본적으로 통합 비전 시스템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속에 장착되어 있다. 비전 시스템에는 손으로 로봇의 모션을 직접 학습시킬 수 있는 기능이 결합돼 있어, 로봇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어도 쉽게 배치 작업을 설정할 수 있다. ▲ 자율주행로봇 M
[첨단 헬로티] “고성능 가이드 GFX와 DTS2를 앞세워 올해 한국 시장 공략 원년으로 삼겠다.” 햅코모션이 올해를 한국 시장 공략의 원년으로 정하고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이 회사는 자사 경쟁력의 핵심을 끊임없는 리니어 제품 개발과 혁신을 꼽았다. 현재 보유한 주요 제품라인만 사이즈 별로 40여 개 이상이 되며, 그중 주력 제품으로 GFX 가이드와 DTS2 구동 트랙 시스템을 내세우고 있다. 햅코모션의 황승용 한국지사장은 “햅코의 모든 제품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며 양질의 맞춤형으로 제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오토메이션 월드 2018’ 현장의 햅코모션 부스에서 황승용 한국지사장을 만나 더 자세한 얘기를 들어봤다. ▲햅코모션 황승용 한국지사장 Q. 더 비싸지만, 햅코의 리니어 시스템이 주목받는 이유가 뭔가. A. 고객이 리니어 시스템을 구매할 때, 가장 핵심적인 것은 아무래도 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구매 비용만을 따졌을 경우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작업환경 조건이나 시스템의 요구 수명, 혹은 시간당 가
[첨단 헬로티] 로이체 일렉트로닉 코리아가 3년 연속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하고 있다. 비결에 대해 로이체 일렉트로닉 이기원 부장은 다양성과 편리성을 갖춘 제품으로 신규 고객 확보에 주력한 결과라고 말한다. 로이체 일렉트로닉 코리아는 산업 자동화를 위한 스위칭, 측정, 자동식별 시스템, 이미지 처리 솔루션, 안전 제품의 센서를 판매하고 있으며, 전자, 물류/컨베이어, 자동차, 공작기계, 포장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독일 본사의 이 회사는 현재 전 세계 22개 지역에서 1,300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올해 센서 시장 동향과 로이체 일렉트로닉의 영업 전략을 이기원 부장에게 들었다. ▲ 로이체 일렉트로닉 코리아 이기원 부장 Q. 공장자동화에서 센서 솔루션은 왜 중요한가. A. 센서는 공장자동화에 있어 가장 하위단에 있는 제품군으로서, 예전에는 모든 데이터가 센서-PLC-MES-ERP의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센서의 역할이 한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센서 데이터가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클라우드로 연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센서가 할 수 있는 영역은 더욱 넓어졌다. 예를 들면, 생산이력관리와 안전관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일
“한국 e-F@ctory 얼라이언스를 통해 중소기업 중심의 솔루션 제안을 해나가겠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이 지난 3월 8일, e-F@ctory 얼라이언스를 발족했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의 김형묵 대표이사는 그동안 미쓰비시전기만으로 FA와 IT 시스템에 대응하기는 힘든 상황이었다며, 각 현장에서 다양한 경험과 솔루션을 보유한 유수한 파트너사와 협력하는 것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해, 이번 파트너십을 발족했다고 말했다. 현재 e-F@ctory 얼라이언스는 전 세계 450개 파트너와 협력하고 있으며, 7,700건의 실적을 거두었다. 한국에서는 현재 37개 파트너사가 확보된 상태이다. 이날 한국 e-F@ctory 얼라이언스 킥오프 기자간담회에는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김형묵 대표이사를 비롯해 이타미 신지 부사장, 코타니 토모아키 부사장, 이대영 그룹장, 그리고 미쓰비시전기 시미즈 노리유키 해외사업부장, 카오바타 야스리로 전임이 참석했다. 올해 사업계획과 e-F@ctory 얼라이언스 운용계획을 들어봤다. ▲ INTERVIEW_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김형묵 대표 Q.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의 2017년 사업성과와 올
[첨단 헬로티] 대만 퀀타그룹의 TM로봇 한국 공식대리점인 엠티에스이가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산업 자동화·스마트공장 전문 전시회(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18)에서 TM5 시리즈를 선보이며 국내 협동로봇 시장 공략을 본격화 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엠티에스이는 TM로봇과 서보 프레스, LM 유니트 등을 출품했다. 특히 협동로봇인 TM로봇 한국 공식대리점 자격으로 참가해 TM5 시리즈 데모기를 전시했다. TM로봇은 일반 협동로봇과는 달리 통합 비전 시스템이 기본 내장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속에 완벽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종전의 비전 시스템을 통합 구성하는 데 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비전 시스템에는 핸드 가이드 기능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로봇 프로그램 경험이 없더라도 5분 이내에 시각적 선택 및 작업 배치를 할 수 있다. TM로봇의 또 하나의 특징은 손쉬운 티칭 방법이다. TM로봇은 핸드라고 해서 선단에 있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임의적인 작업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누르는 버튼마다 바로바로 저장이 된다. 따라서 각각의 조건에 따라 손으로 자유롭게 자유
[첨단 헬로티] 유니버설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18)'에서 폴리싱과 조립 공정 쇼케이스를 통해 유니버설로봇 플러스가 UR로봇 본체와 결합해 보다 복잡한 작업에 활용되는 모습을 선보이며 관람객과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사카리 쿠이카 아시아태평양 총괄이 한국시장 사업 확대 전략을 밝히고 있다. 유니버설로봇 플러스는 협동 로봇 본체에 연결하면 각각의 역량을 극대화 시켜주는 액세서리, 엔드 이펙터(End-effectors),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쇼룸이다. 사용자들은 유니버설로봇 플러스를 활용함으로써 개발 기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등 편리한 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전시에서는 공정마다 센서, 툴 체인저 등 각 4-5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복합적으로 운용되는 모습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유니버설로봇 플러스와 함께 무료 온라인 학습(e-learning)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UR아카데미도 소개하며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교육 모델의 공개 목적은 자동화 장벽을 더 낮추고 통합 시간 및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다. 온라인 교육으로 협동 로봇의 개념을 배우고 싶은 모든
[첨단 헬로티] 인아그룹 3개(인아오리엔탈모터·인아코포·인아엠씨티) 계열사가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오토메이션 월드 2018’에 참가한다.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전문기업 ‘인아그룹’은 소형 정밀 모터 전문기업 ‘인아오리엔탈모터’, 자동화 분야의 전문 부품 기업인 ‘인아코포’,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 제조 전문기업 ‘인아텍’, 모션 제어 및 시스템 솔루션 설계·제작 전문기업 ‘애니모션텍’, 모션 컨트롤 전문기업 ‘인아엠씨티’까지 총 5개 계열사로 구성돼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코포, 인아엠씨티가 참가한다. 인아그룹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기존 제품과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브랜드 제품을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ISAC’의 EtherCAT 통신을 기반으로 한 모션 제어 프로그램과, ‘SOLOMON’의 차별화된 3D AI VISION의 기술력을 데모기
[첨단 헬로티] 시스템베이스는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18’에 참가해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LoRa 기반 사설 이동통신 기지국인 ‘LoryNet’을 주력 전시품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2018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은 29년 전통의 aimex와 국내 Korea Vision Show, Smart Factory Expo가 동시 개최하는 자동화 솔루션 전문 전시회로, 시스템베이스는 국제공장자동화전 ‘aimex 2018’에 참가 예정이다. 로리넷(LoryNet) 제품들은 산업용 현장 특화 IoT 네트워크 시스템을 표방한다. 저전력 중거리 무선통신 기술 로라(LoRa)를 통해서 공장, 항만 등 산업 현장에서 사람과 사람 간, 사람과 기기와의 독립된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손 안에 들어올 정도의 소형 장치이기에 어디에든 적용이 용이하고, 무선통신 기반으로 별도의 통신망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의 효과도 높다. 로리넷은 궁극적으로 센서노드-
[첨단 헬로티] 제조기업들은 노동인구 감소와 인건비 상승 부담, 경쟁력 강화 등의 이유를 내세워 단순 생산 로봇에서 인공지능이 탑재된 로봇까지 생산 시설에 투입하고 있다. 이처럼 로봇의 역할에 대해 사회적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능 로봇 R&D 방향을 3월28일에 열리는 로보틱스 컨퍼런스 2018이 그 해답을 제시한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지능형로봇PD실 김경훈 PD는 ‘글로벌 로봇산업의 현황과 한국 로봇 R&D의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한국은 세계 4위 로봇 생산국으로, 로봇 밀도는 세계 1위 수준이지만, 국내 로봇산업은 글로벌 경쟁에서 두각을 못 내고 있는 실정이다. 컨퍼런스에서 김경훈 PD는 이러한 원인을 분석하고 국내 로봇 R&D의 방향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로봇 관련 국내 최고 씽크탱크들과 업계 선두의 영향력 있는 전문가들이 로봇 시장 창출 방안과 제도 정비, 기술 개발 요소, 인력양성 등의 방안을 폭넓게 제시한다. 기조 발표에서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재흥 교수는 ‘미래의 로봇-로봇과 AI의 융합’을 주제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