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정보원은 26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국내외 산업보안 전문가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4회 산업기술 보호의 날 기념식 및 산업보안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산기법) 제정을 계기로 2011년 이 기념식을 제정한 산업부는 2014년부터는 국정원과 행사를 공동 개최하며 산업보안 콘퍼런스도 함께 열고 있다. 조태용 국정원장은 이날 환영사에서 “오늘날과 같이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시기일수록 기업 스스로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보안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며 “세상에 없던 기술을 만드는 만큼 지키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오늘 콘퍼런스 같은 소통의 장을 적극 활용해 현안을 공유하고 협력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자”고 말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기념사에서 “날이 갈수록 다양화, 지능화되는 기술 유출에 유연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도개선, 유관기관 간 협력, 현장과의 소통 강화를 긴밀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기술 보호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민간과 정부가 함께 협력하는 것”이라며 “이를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협동로봇 제조기업 뉴로메카가 더케이호텔서울에서 열린 ‘2021 신기술 실용화 촉진대회’에서 ‘산업기술진흥 유공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표창은 산업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우리 기술의 우수성 홍보를 위해 기술개발, 기술진흥 부문의 유공 기업 포상이다. 신기술제품인증을 통해 신기술 제품 개발, 사업화, 실용화 기여 기업에 주어지며, 뉴로메카는 신기술 실용화진흥 부문에서 ‘비선형 H-infinity 위치제어기반의 센서리스 충돌감지 기술이 탑재된 협동로봇’ 인증을 통해 수상했다. 뉴로메카 이성우 IMC 팀장은 “국산 협동로봇의 개발, 상용화를 통해 국내 산업기술 발전에 이바지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한편, 뉴로메카는 지난 8월 140억 원 규모의 시리즈 D 투자를 유치했다.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델타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포함한 다양한 로봇 제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다양한 제조 공정의 자동화 서비스 플랫폼을 갖추고 있어 꾸준한 성장이 기대되는 상태다.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년에 총 3조3382억원 규모의 예산을 연구개발 분야에 지원한다. 우선 신성장동력 분야 투자를 2016년 2조9843억원에서 2017년 3조587억원으로 확대한다. 유망 신산업 분야의 관련 사업 예산을 증액한다. 자동차 분야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지난해 525억원이던 예산을 내년에는 824억원으로 57.1% 증액했다. 로봇산업 기술개발에도 884억원을 배정했다. 이는 지난해의 722억원보다 22.5% 늘어난 것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연구개발 분야 역시 지난해보다 78.4% 늘어난 409억원을 할당했다. 에너지신산업 분야 예산도 증액한다. 에너지수요관리 분야 핵심 기술개발을 위해 지난해보다 7.0% 증액된 1813억원을 투자한다. 스마트그리드 분야 기술개발을 위해서도 399억원을 배정했다. 지난해보다 4.8% 증액된 규모이다. 에너지 분야 국제 공동연구를 위해서는 지난해보다 11억원 늘어난 220억원이 투입된다. 제조업 소프트파워 분야 예산을 증액한다. 엔지니어링과 지식서비스 분야의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각각 203억원과 340억원을 투자한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68.8%, 3.5% 늘어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하 KEIT)은 오는 10월 8일부터 21일까지 KEIT 홈페이지를 통해 ‘2015년도 제6차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신규 지원계획을 공고한다. 이번 사업은 나노융합, 섬유의류, 로봇 및 조선 분야 등의 산업핵심 기술개발에 총 253.5억원을 지원한다. 산업별로는 창의산업분야 2개 과제(27억원), 소재부품산업분야 4개 과제(38억원), 시스템산업분야 19개 과제(188.5억원)에 지원된다. 구분 세부 지원분야 창의산업 나노융합 소재부품산업 섬유의류, 세라믹, 주력산업IT융합 시스템산업 로봇, 스마트카, 조선, 의료기기 표. 산업별 세부분야 구분 구체적인 과제목록으로는 △곡면 나노 패턴공정 기반 백내장 치료용 기능성 인공수정체 및 나노약물전달시스템 제품화기술개발, △Hydroxy ethyl화 cellulose 섬유 제품 개발, △모바일 IT제품 제조공정용 저가형 로봇 시스템 개발, △심해 시추용 머드공급 시스템을 위한 High Pressure Mud 펌프 개발 등이 있다. 산업부와 KEIT는 10월 1일 The-K 서울호텔에서 사업 설명회를 연다. 또한 정보교류회도 함께 개최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