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이 AWS 마켓플레이스(AWS Marketplace)에서 관리형 서비스인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 온 AWS를 정식 출시한다고 3일 밝혔다.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 온 AWS는 복잡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활동을 간소화하고 운영함으로써 고객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온프레미스(On-premise) 및 AWS에 레드햇의 오픈 기술 포트폴리오를 배포하는 방법과 위치에 대한 고객의 선택권과 유연성을 확장한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환경의 복잡성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기업은 필요한 규모, 속도 및 표준화에 맞춰 실행할 수 있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은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되는 관리형 서비스로 IT 팀이 첫날부터 자동화를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레드햇과 AWS 고객은 새로운 툴을 배우거나 추가 기술을 운영에 통합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최적화 솔루션을 통해 대규모로 자동화를 배포하는 더 빠르고 간단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 온 AWS는 AWS와의 약정 지출 계약에 포함되며 AWS 청구와 함께 연동돼 한 곳에서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오픈소스 솔루션 기업 레드햇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용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Red Hat Ansible Automation Platform on Microsoft Azure)’ 출시를 발표했다. 애저용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은 레드햇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자동화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이번 레드햇과 마이크로소프트의 협력은 고객의 자동화 도입으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언제 어디서나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애저용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은 레드햇과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이 자동화된 OS 구성, 애플리케이션 프로비저닝, 네트워크 자동화, 코드형 인프라(IaC, Infrastructure as code)와 보안 오케스트레이션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DC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97%)의 기업은 기업 전반에 걸쳐 자동화를 효과적으로 도입하는 데 큰 장벽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C는 2023년까지 적절한 도구와 기술을 갖춘 IT팀과 보안팀, 데브옵스팀 구성에 대한 투자 부족으로 많은 IT 자동화 작업이 지연되거나 실패할 것으로 보이며, 최종 목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네이버클라우드는 16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밋업 행사에서 ‘국내 유일의 내재화된 원천기술’과 ‘하이퍼스케일급 투자’로 국내 사업자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며 국내 시장에서 TOP 2 자리를 굳히고 이를 기반으로 APJ(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 시장에서 TOP 3 사업자로 자리매김 해나가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2017년 클라우드 사업을 본격화한 네이버클라우드는 4년 만에 상품 및 기술 경쟁력에서 글로벌 사업자와 견줄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4년 전 22개의 상품으로 시작했던 네이버클라우드는 현재 제품 포트폴리오를 8배 이상 확대해 18개 카테고리,189개의 상품 라인업을 갖췄다. 네이버클라우드가 글로벌 사업자와 라인업 뿐만 아니라 기술 면에서도 대등한 경쟁력을 갖게 된 것은 단순히 상품 수 증가에만 집중하지 않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품군을 갖추기 위해 기술 개발을 거듭한 결과로, 이를 통해 네이버클라우드는 고객이 처한 어떤 상황에도 구성 가능한, 가장 확장성이 높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투자와 상품 확대를 기반으로 네이버클라우드의 매출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해, 지난 2020년에는 2,737억의 매출을 올
헬로티 서재창 기자 | IBM은 한국IBM 대표이사 사장에 원성식 사장을 새로이 선임하고, 송기홍 전 대표이사 사장은 아세안(ASEAN)과 한국의 글로벌 비즈니스 서비스(GBS) 총괄로 자리를 옮겼다고 발표했다. 원성식 신임 대표이사 사장은 1991년 한국IBM에 입사해 하드웨어, 마케팅, 글로벌 테크놀로지 서비스, 금융산업 영업 등 다양한 IBM 비즈니스 부문에서 경험과 전문성을 쌓았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SK텔레콤에서 재직하는 동안에는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견인한 바 있다.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되기 전까지 그는 한국 IBM의 시스템스 하드웨어, 클라우드 및 코그니티브 소프트웨어, 파트너 비즈니스를 아우르는 테크놀로지 그룹을 총괄해왔다. 원성식 사장은 “업계 전문가로서의 커리어를 처음 시작한 조직의 장을 맡게 됐다. 한국에서 IBM을 다음 단계의 성장으로 이끌어가기를 기대하고 있다. IBM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및 AI 솔루션 중심의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고객의 성장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비즈니스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원성식 사장은 "지금까지처럼 고객의 조언과 고견을 열린 마음으로 듣고, 한국IBM
[헬로티] ▲IBM 엘라스틱 스토리지 시스템(Elastic Storage System, ESS) 3200 모델. (출처 : IBM) IBM은 2021년 2분기에 새로운 컨테이너 네이티브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이하 SDS) 솔루션인 IBM 스펙트럼 퓨전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28일 발표했다. 해당 솔루션은 IBM의 범용 병렬 파일 시스템 기술과 데이터 보호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기업과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센터, 엣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 있는 데이터에 간편하고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IBM은 높은 확장성과 쉬운 배포가 가능한 고성능 솔루션으로 구성된 IBM 엘라스틱 스토리지 시스템(이하 ESS) 제품군 업그레이드 소식도 전했다. 개선된 모델인 ESS 5000은 스토리지 용량이 이전 모델보다 10% 늘었고, 새로운 ESS 3200 모델은 특정 조건 하에서 이전 모델보다 최대 두 배 가량 향상된 읽기 성능을 제공한다. 기업들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도입률이 높아지면서 네트워크 엣지를 관리해야 할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엣지 컴퓨팅 환경은 데이터센터로부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고 분리된 경우가 많아, 분석 및 AI에 활용 가능한 대량
[헬로티]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클라우데라가 클라우데라 데이터 플랫폼(Cloudera Data Platform, 이하 CDP)이 엔비디아의 아파치 스파크 3.0용 RAPIDS 가속기(Accelerator)를 통합 지원할 예정이라고 13일 밝혔다. 엔비디아(NVIDIA) 컴퓨팅 플랫폼에 적용된 아파치 스파크 3.0용 RAPIDS 가속기는 코드의 변경 없이 기업의 데이터 파이프 라인을 가속화하고 머신러닝의 작업 성능을 높여준다. 이를 통해 기업은 인공지능(AI)을 신속히 도입하거나 더 나은 비즈니스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미 올해 초에 클라우데라 데이터 플랫폼(CDP)에 적용된 머신러닝 AMP(Applied ML Prototype)과 엔비디아의 강력한 컴퓨팅 성능으로 패키지된 머신러닝을 미국연방국세청(IRS), 영국통계청(ONS), 독일 코메르츠뱅크(Commerzbank) 등에서 적용한 바 있다. 이뿐 아니라 온프레미스, 퍼블릭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데이터 처리와 머신 러닝 모델 훈련을 더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번 클라우데라와 엔비디아의 통합 지원으로 기업의 데이터 엔지니어들은 공급망 모델 변환, 금융 부정행위 대
[헬로티] ▲(왼쪽)문성욱 KT 글로벌사업본부 본부장과 (오른쪽)레 홍 비엣 FPT 스마트 클라우드 대표가 비대면으로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출처 : KT) KT가 베트남 1위 정보통신기술 기업 FPT그룹의 계열사 'FPT 스마트 클라우드'와 업무협약을 맺고 베트남 기업용 클라우드 시장에 진출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맞춤형 클라우드 상품을 공동으로 판매하고, 베트남에 최적화된 DX(디지털전환) 인프라 및 솔루션을 공동 구축하는 데 합의했다. 양사는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과 베트남 현지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KT는 공공클라우드와 금융클라우드 등 산업별 특성에 최적화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가 베트남 현지에 보급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KT는 "베트남에서 B2B 클라우드 서비스를 빠르게 보급하고, 베트남 연계 사업을 하는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KT 클라우드의 아세안 시장 진출 방안도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 KT는 충남 천안, 미국 로스앤젤레스 등 국내외 5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CDC, Cloud Data Center)를 아세
[헬로티] ▲응답 기업 중 13%를 차지한 클라우드 선도 그룹은 멀티클라우드 전 범위에서 높은 기능을 보유하며, 적극적으로 멀티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을 활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출처 : IBM) IBM이 2023년까지 각 기업 당 최소 9개 이상의 클라우드를 사용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IBM 기업 가치 연구소(IBM Institute for Business Value)는 기업들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및 멀티클라우드 활용 현황과 멀티클라우드 관리 방식을 분석한 보고서를 2일 공개했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6000여 명의 다양한 산업별 기업의 임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기업들의 멀티클라우드 사용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수도 함께 증가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거시적 관점의 통합 멀티클라우드 관리 전략을 마련한 국내 기업들은 현재 25%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IBM은 2020년 기업 내에서 멀티클라우드의 비즈니스 가치와 효용성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 결과 분석 과정에서 강력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 및 거버넌스 플랫폼 도입을 통해 입증 가능한 경쟁 우위를 확보
[헬로티] “통신·클라우드·NW보안까지...통합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기업들의 파트너될 것” (출처 : SK텔레콤) SK텔레콤이 SC제일은행과 협력해 제1금융권 최초로 마이데이터 클라우드 구축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개인이 흩어진 금융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사업은 지난 해 데이터 3법 개정 이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양사는 지난 2월 초 마이테이터 전용 클라우드 구축사업 계약을 맺었으며, SC 제일은행 클라우드 내 마이데이터, 개인자산관리 데이터, 솔루션 분석결과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SKT는 클라우드 컨설팅 파트너인 ’베스핀글로벌’과 클라우드 서비스 파트너인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와의 협업을 통해 MS ‘애저(Azure)’에 해당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오는 7월말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오픈한다는 계획이다. SKT는 SC제일은행이 개인정보의 효율적인 수집과 분석을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인프라’와 ‘마이데이터 분석시스템’, '마이데이터 API
[헬로티] ▲대교 CNS 권선우 대표이사(왼쪽)와 한국IBM 송기홍 사장(오른쪽)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 : 한국IBM) 한국IBM이 대교그룹의 종합 IT서비스 기업인 대교 CNS와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발표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대교 CNS는 IBM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IBM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국내 엔터프라이즈 시장에 제공한다. 양사는 디지털 전환 단계에 있는 많은 기업 고객에게 일관된 고객 경험을 전달하고, 공동 마케팅을 통해 시장 기회를 발굴하는 동시에, 파트너를 영입하고 육성하기 위한 기술 교류 및 영업·기술·교육 지원 등 다양한 실무 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대교CNS는 공공기관과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시스템 통합(SI), 언택트(비대면) 교육 솔루션, 영상보안관제 플랫폼 제공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노하우를 축적해 왔다. 한국IBM과의 총판 계약은 대교CNS가 그간 모색하던 성장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 추진됐다. 한국IBM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AI에 집중한다는 글로벌 전략에 맞춰 국내에서도 파트너와의 협업과 지원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를
[헬로티] IBM이 핀란드 클라우드 스타트업인 노르드클라우드를 인수했다고 로이터통신과 미 CNBC방송 등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IBM은 이번 인수로 자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컨설팅 역량이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인수 가격은 공개하지 않았다. 노르드클라우드의 링크드인 페이지를 보면 2011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매출액이 약 5천만유로(약 673억원)이고 직원수는 450명을 웃돈다. IBM은 많은 기업이 자체 데이터센터와 임대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데이터를 관리함에 따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장이 1조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이 시장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 구글 등의 참전으로 클라우드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자 IBM은 지난해 업계의 강자 레드햇을 340억달러에 인수하기도 했다. 당시 인수는 현 IBM 최고경영자(CEO)인 아빈드 크리슈나가 주도했으며 그는 지난 4월 CEO에 취임한 이후 최소 5개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스타트업을 사들였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헬로티] 설문조사를 통해 기업들의 6가지 주요 과제 도출 2020년 코로나 19로 디지털 전환 가속화 ▲2021 글로벌 기술 전망 보고서는 업계 전문가와 IT 전문가 14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글로벌 오픈소스 솔루션 기업 레드햇이 ‘2021 글로벌 기술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레드햇 고객들과 다양한 업계 전문가들을 포함한 IT 전문가 1400명을 대상으로 7월부터 두 달 동안 진행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이번 보고서에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보안을 위한 IT 투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 ▲컨테이너화 ▲머신 러닝 모델의 프로덕션 환경 적용 ▲사물 인터넷이 향후 기업들의 6가지 주요 과제로 나타났다. 기업의 최우선 과제로 꼽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보안’ (출처 : 레드햇) 2021년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IT 우선 과제에 있어 코로나 19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기업들이 계획보다 빠르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시작하게 됐다고 응답했지만, 일부 기업들은 다른 응답을 내놓았다. 설문 조사
[헬로티] ▲마이크로소프트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애저스택HCI를 출시했다.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업의 사내 데이터센터를 클라우드에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저스택HCI(Azure Stack HCI)’를 17일 국내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팬데믹으로 원격근무 환경에서의 상품 및 서비스 제공, IT 운용비 최적화를 위한 솔루션에 대한 기업의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상에서 서비스를 제작 및 운영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native) 접근 방식의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Hyperconverged Infra, 이하 HCI)’에 주목했다.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하드웨어 기반의 IT 인프라를 가상화해 통합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에 용이하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 서비스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더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애저스택HCI를 출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스택HCI가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와의 혁신적 통합을 통해 조직이 가상 데스크톱 인
[헬로티] 뉴타닉스는 ‘뉴타닉스 오브젝트(Nutanix Objects)’와 ‘뉴타닉스 파일(Nutanix Files)’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신기능을 공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신기능은 여러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과 확장이 용이한 스토리지 패브릭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데이터 관리를 단순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토리지에 특화된 이번 신기능은 최근 출시한 ‘뉴타닉스 클러스터(Nutanix Clusters)’ 솔루션을 기반으로 강화됐다. 뉴타닉스 클러스터는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HCI)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뉴타닉스는 어떤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자사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공통된 운영 모델로 IT 운영을 간소화하고, 원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뉴타닉스가 새롭게 선보이는 기능은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클라우드 티어링(tiering)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파일 스토리지 기능 ▲단순화된 재해복구(DR)다. 에릭 버게너(Eric Burgener) IDC 인프라 시스
[헬로티] 레드햇은 기업의 엣지 컴퓨팅 전략을 지원하는 오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기반한 신규 제품과 기능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기능은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와 ‘쿠버네티스용 레드햇 어드밴스드 클러스터 매니지먼트(Red Hat Advanced Cluster Management for Kubernetes)’다. 이번 기능으로 기업이 제조 산업 활용 사례에서 AI 및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것과 같은 요구사항이 높은 엣지 워크로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기업은 단일 지점에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원활하게 관리하고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엣지 컴퓨팅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기업은 데이터양과 기기 수, 새로운 기술들이 계속 증가하면서 엣지 컴퓨팅의 장점을 확인하고 있다. 애널리시스 매이슨(Analysys Mason)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엣지 컴퓨팅은 많은 운영자에게 최우선 전략이며, 그중 30%는 이미 엣지 클라우드를 배포하고 있으며, 57%는 내년에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엣지 컴퓨팅은 기업이 인프라를 확장하고, 지연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