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사물 인터넷(IoT)에서 통신은 필수며, 애플리케이션마다 통신에 대한 요구가 다를 수 있다. 인더스트리 4.0 공장에서 생산 라인 장비는 중앙 컨트롤러의 명령에 실시간으로 응답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지연이 매우 짧아야 한다. 배터리로 구동되는 토양 상태 모니터링용 원격 센서는 대부분의 시간을 대기 모드에 있다가 짧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때만 구동하면 된다. 애플리케이션들은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기술(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유선 이더넷, 위성 등 다양한 방식의 커넥티비티를 사용할 수 있다. 어떠한 디바이스의 IoT 기술 스택에 있어 통신 프로토콜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는 선택한 전송 매체를 통해 IoT 디바이스 혹은 사물과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구조화된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CoAP, XMPP, DDS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이 개발됐다. 이들 가운데, 계속 성장 중인 저전력 광대역(LPWA) 통신망용으로 가장 널리 채택되고 있는 것이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와 이의 파생 버전인 MQTT-SN(Sensor Network)이
[헬로티] 힐셔(Hilscher)는 netMOTION을 통해 다중 실시간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자사의 오랜 전략을 모션 제어 영역으로 확장했다고 밝혔다. 힐셔는 디지털 홀 및 쿼드러처 엔코더(Quadrature Encoder), BiSS/EnDat/SSI 엔코더, PROFIBUS-DP 및 CANope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어댑터를 비롯해 다양한 플러그인 모듈을 애드-온 액세서리로 제공한다. NXHX 90-MC 보드를 위한 NXHX-DH 어댑터 피기보드(Piggy-Board) 플러그인 모듈은 디지털 홀 입력을 위한 아날로그 필터 회로도 공급한다. 또한 RS-422(5V 차동) 및 TTL(5V 싱글-엔디드) 쿼드러처 엔코더 신호를 netX 90을 위한 3.3V 입력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엔코더에는 5V 공급전압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최대 2개의 쿼드러처 엔코더와 3개의 디지털 홀 센서를 위한 푸쉬인(Push-In) 커넥터는 포지션 피드백으로 산업용 모터의 상호 연결을 쉽게 한다. BOM 구성요소 목록을 비롯해 NXHX-DH 및 NXHX 90-MC의 보드 회로도와 레이아웃 파일은 다운로드 가능하며, KiCad EDA용 PCB 레퍼런스 디자인으로 이
분산화 토폴로지 채용 … 도시를 유연하고 스마트하게 ⓒGetty images Bank 오늘날,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이 비중은 2050년에 이르면 거의 7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는 이미 세계 총 에너지 사용량의 75%를 차지하며, 전체 온실 가스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심화될 인구 증가는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이에 따라 통합 에너지 관리가 미래의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를 통해 대도시 지역의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시켜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화석 연료 비축량이 급격히 고갈되지 않도록 하며,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억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차세대 기술의 즉각적 실행을 필요로 한다. 인터넷을 통한 소매 거래,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한 정보 접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통한 도로 안전성 향상 등 일상생활의 여러 요소들이 최근의 전자 하드웨어를 통해 바뀌었지만, 일과 생활 공간 간의 소통 방식은 그리 크게 바뀌지 않았다. 우리는 여전히 난방, 조명, 온도 조절 시스템을 가동한다. 그러나 입주자들이 구조물과 접목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