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연구개발(R&D) 예산을 전년 대비 11.5% 늘린 29조6000억 원으로 책정한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2025년도 연구개발 사업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총 6조3214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세부 분야별로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과기부는 이번 계획을 과학기술과 정보통신·방송(ICT)으로 세분화하여 각각 5조58억 원, 1조3156억 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바이오, 양자,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3대 게임 체인저’ 기술을 포함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맞춤형 정밀의료, 차세대 소재, 연구 인프라 구축, 탄소중립 등에 투자한다. ICT 분야에서는 AI 반도체 기반 클라우드 기술, 범용인공지능(AGI), 양자암호통신, 차세대 통신 기술(5G, 6G), 사이버 보안 등 첨단 분야를 주도적으로 지원한다. 과기부는 R&D 전문성 강화를 위해 사업 관리 체계를 체계적으로 정비한다. 이를 위해 사업을 코드화하고, 맞춤형 평가 및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또한 개방형 기획 체제를 도입해 프로젝트 매니저(PM) 책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정부가 인공지능(AI), 5G·6G, 첨단바이오,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수소, 첨단 로봇·제조, 양자, 우주·항공, 사이버 보안 등 10개 분야 기술을 '국가 필수전략기술'로 지정하고 대체 불가한 원천 기술 확보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정부는 22일 오전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제20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 필수전략기술 선정 및 육성·보호 전략'을 의결했다. 국가 필수전략기술 지정 작업은 기술 패권 시대 국익의 관점에서 우리나라가 반드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기술 우선순위를 설정하고자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주요 기술 선진국은 10개 내외의 전략 기술을 선정해 국가 연구 역량을 집중하는 방안을 세우고 있다. 미국의 무한 프런티어 법, 중국의 14차 5개년 구획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 개별 이슈에 대응하면서 육성 중인 세부 기술이 5천여 개에 달해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한정된 정부 R&D 투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국가 필수전략기술을 선정했다. 선정 기준은 전략적 중요성, 경쟁력 확보 가능성, 정부 지원의 시급성 등이다. 정부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