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제이씨앤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AI 비대면 다중 온도 감시시스템과 비대면 스마트 출석 및 온도 감시시스템 등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AiSEMI multi는 AI 인식 및 추적 기술을 사용해, 넓은 면적과 먼 거리에서 적외선 열영상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측정값이 37.5°C 또는 99.5°F 이상일 경우 AiSEMI 멀티에 빨간색 경고등이 켜진다. 또한 화면에 데이터를 기록해 안전한 공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RM 기반 CPU 및 NPU(최대 3TOP)를 지원하는 AiSEMI One+는 스마트 어텐딩 및 온도 감시 시스템, 무접촉 온도 측정 및 신분증 확인 기능을 갖춘 빠르고 정확한 스마트 얼굴 인식 어텐딩 시스템이다. 높은 효율성으로 출석률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영림원소프트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맞춤형 ERP ‘K-System Ace’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맞춤형 ERP K-System Ace는 경영 및 정보기술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쳐 솔루션으로, 다양한 산업의 표준 프로세스 및 Service Repository를 제공하는 SOA환경의 경영관리통합솔루션이다. 영림원소프트랩은 27년간 국내 ERP시장에서 기업용 소프트웨어인 ERP를 연구, 개발, 제공해온 기업이다. 맞춤형 ERP “K-System” 및 클라우드 서비스 ERP “SystemEver”는 영업 수주, 생산, 판매, 재고, 구매, 회계가 통합운영되어 원가관리까지 연결되는 통합 프로세스를 지향한다. 국내 2000여개 기업이 영림원 ERP를 통해 효과적인 시스템경영으로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엠엔비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3D스캐너와 멀티 바코드 리딩 시스템 등 머신비전 솔루션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엠엔비젼의 3D스캐너는 산업용 카메라와 레이저를 활용해 신체 정보의 3D 데이터를 확보한다. 멀티 바코드 리딩 시스템 수많은 양의 2D 데이터를 한 번에 리딩 및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였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파익스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PC기반 모션제어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파익스가 이번에 선보인 PC기반 모션제어기 NMF는 파익스에서 개발한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호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품이다. NMF는 이더넷(TCP/IP)기반으로 LAN 칩셋이 설치된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다. NMC2E는 이더넷(TCP/IP)기반 펄스 제어형 모션제어기다. 이더넷 케이블 사용으로 장비 내부의 배선 정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라잉 비전 카메라에 필요한 위치 트리거 기능 및 웨이퍼 매핑 센서 신호 입력에 의한 위치 데이터 저장 제어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제품 라인업에 따라 축 및 IO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 NMC2E 제품에는 이더넷 허브 기능이 갖춰져 있어 대량의 AXIS 설치에 적합하다. 파익스 정만교 부장은 “코로나19로 전시회가 위축됐을까 걱정했었던 것은 사실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바우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를와 센서, 엔코더 등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바우머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는 초고속 정밀도를 자랑하며, 10GigE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바우머가 제공하는 Auto Focus 기능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초고속 정밀 검사 시스템에 적합한 최신의 Sony Pregius, Pregius S와 Gpixel 센서를 적용, 10 Gig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최대 65MP 해상도를 지원한다. VLXT 제품은 2D/3D측정에 적합한 반도체, PCB/FPCB 및 LCD/OLED의 검사에 적합해, 검사 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는 업체에 적합하다. 바우머코리아의 홍동수 부장은 “2년여 만에 개최되는 만큼, 많은 기업과 관람객이 굉장히 기다렸던 전시회다. 새롭게 출시된 제품을 소개할 자리와 기회가 적었던 만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만희기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Safety 분야의 신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만희기전이 이번에 선보인 BALLUFF 사의 Safety over IO-Link는 IO-Link 마스터와 Safety Hub 연결로 자동화와 안전 기술의 통합산물이다. Light Curtain, EMO, Interlock 등 대부분의 안전장치가 연결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최대 PLe/SIL3 안전등급을 구현하며, 손쉬운 진단 및 디바이스 교체로 저비용 유지보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Safety Hub 사용으로 IP 어드레스가 필요하지 않다. 만희기전의 장근영 과장은 “코로나19로 오랜만에 열린 전시회였기에 기대감과 동시에 걱정도 많이 했다. 방문자 수도 현저히 줄어들었을까 걱정했지만, 생각보다 많은 방문객이 찾아주셔서 성공적인 전시회였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장근영 과장은 만희기전이 새롭게 주력할 Safety 관련 신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쓰리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공정감시 모니터 등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솔루션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쓰리뷰의 공정감시 모니터 MV880은 인공지능을 이용해 자동으로 공정 감시를 실시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생산 데이터 수집과 품질 검사로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한다. 기존의 공정 감시 모니터는 성형 압력이 허용오차 범위 안에만 들어온다면 양품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MV880은 인공지능을 통한 독자적인 패턴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성형 압력이 허용오차 범위 안에 있더라도 기존 생산품과 다른 압력 패턴이 검출되면 즉시 불량품으로 판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새빛맥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앱손사의 라벨프린터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엡손 라벨프린터는 언제 어디서나 쉽고 간편하게 라벨을 만들어 집안 및 사무실 등 공간을 정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새빛맥스는 1994년 일본 엡손사의 휴대용 라벨프린터인 프리피아 OK시리즈를 국내에 소개한 이후, 지난 20여년동안 1000여개가 넘는 온,오프라인의 유통망을 통해 전국 주요 관공서에 제품을 조달해 왔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였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비앤에프테크놀로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빅데이터 통합 관리 솔루션 ‘HanPrism’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HanPrism은 프로세스 플랜트 및 공장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처리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업용 빅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다. 국제 표준 프로토콜 OPC UA/ DA 를 지원하며, 기존에 사용하던 특정 밴더사의 자동화시스템(DCS, PLC) 및 MES, ERP와 같은 상위 시스템과 폭넓게 통신하여 전 공정 현황 및 품질에 대한 고차원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정확한 트렌드 분석 ▲직관적인 공정모니터링 ▲공정화면 Replayer ▲통합 알람 분석 ▲MS Excel Add - in 리포트 생성 ▲웹으로 언제 어디서나 접근 ▲계측 값을 연산한 계산신호 생성 등 특징이 있다. 비앤에프테크놀로지는 프로세스 플랜트 분야의 운영과 관리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솔루
헬로티 이동재 기자 | GGM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기어드모터 제품과 스피드 컨트롤러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직교축 기어헤드는 출력축측이 모터의 축과 직각으로 구성돼 있어 공간절약이 가능하고, 감속비가 1/3~1/180까지 20종류로 다양한 제품군이 있다. 중공축 기어헤드는 연결부품의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BLDC SPEED CONTROL UNIT은 설정 속도와 모터의 속도 피드백 신호를 항상 비교해 벡터 제어에 의한 모터의 인가 전류를 조정해 부하가 변해도 저속에서 고속까지 안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특징이 있다. 100~4000r/min의 넓은 속도범위를 가지고 있고, 전원커넥터는 드라이버로 돌려서 리드선을 체결하는 등 간단하게 접속이 가능하다. GGM은 1979년 설립된 이래 AC, DC 소형 기어드모터를 일관되게 만들어 왔고,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투자로 저소음, 고효율, 고강도의 품질을 갖춘 제품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테크노핸즈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소형정밀모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테크노핸즈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피에조모터(초음파모터)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는 마찰력에 의한 Holding force를 유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 브레이크가 없는 경량·소형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찰구동으로 제동력이 크기 때문에 정지 시 뛰어난 응답성을 발휘해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며 코일이나 자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적인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런 특징으로 의료, 레이저,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 및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초음파모터를 이용한 다 축 모듈이나 핀셋모듈 등 반도체나 레이저 장비 정밀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ZTHETA 모듈(리니어 로타리 모터)은 Z축과 회전축을 일체형으로 한 액추에이터로 회전축은 BLDC를 채용 높은 Torque 구현한다. 정밀 광학식 Encoder를 부착해 높은 정밀도 구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위트솔루션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케이블그랜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위트솔루션즈가 이번에 선보인 제품은 AGRO사의 Progress 라인의 고방수 및 고진동 환경용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다. AGRO사의 Progress 라인의 고방수 및 고진동 환경용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이다. 그중에서도 보다 진동 환경에 강해 로보트, 철도, 엔진, 자동차, 풍력, 해양등에 사용이 되는 Overall Length Insulated 제품이다. M나사산 프리미엄 2-Piece 케이블 그랜드는 실링인서트(Sealing Insert) 부분이 일반적인 케이블그랜드의 실링인서트보다 두껍고 길이가 길어 케이블을 잡아주는 Strain Relief힘이 보다 강하며 실링인서트와 케이블그랜드의 몸체에 홈이 있어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서 실링 인서트가 돌아가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점은 Compression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리치맷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제어용모터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리치맷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제어용모터는 HJA71 시리즈, HJA301 시리즈, 컬럼시리즈다. 리치맷코리아는 의료, 건축, 가구, 산업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액추에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수년 간의 기술 축적과 강력한 R&D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및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능형 제어 및 구동 시스템 전체 솔루션 서비스 제공업체다. 현재 북미, 유럽, 중동,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미 등 40개 국가와 지역에 글로벌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빠른 성장을 유지 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이치티씨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서보 및 산업용 커넥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이치티씨가 이번에 선보인 서보 및 산업용 커넥터는 고밀도화 되어 가는 IIoT, Smart Factory에 적합한 제품이다. 에이치디씨의 다이나믹 인서트는 극한 환경 대응 각형 커넥터 TE-HDC 산업 기기 분야에서 다이나믹 시리즈의 프레스 제조 F 크림프 컨택트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 형 인서트다. 신호 데이터 전송의 고밀도 실장을 실현하며, D-SUB, USB 에어 등 기존의 HDC 모듈과 유연한 조합이 가능한 제품이다. 마이크로 모터 커넥터 시리즈는 서보 모터의 I/O 인터페이스 용 소형 각형 플라스틱 커넥터다. IEC 방신 방수 등급은 IP67 준수한 등급이다. 또한 파워 브레이크를 하나의 커넥터로 통합해 모터 설계플랫폼 화를 추진할 수 있는 제품이다. 엔코더 보드와 모터 인터페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높은 진동에 대비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동양전기공업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딘레일 터미널블럭, PCB 터미널블럭, 인터페이스 모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동양전기공업이 이번에 선보인 Dinkle 그룹의 DIN 레일 터미널 블록은 푸시인 디자인, 스크류 디자인, 스터드 터미널 블럭, NEMA 터미널 블럭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요구에 적합한 제품군을 공급한다. Dinkle 터미널 블럭은 다양한 액세서리 와 마킹 시스템을 지원하여 최적의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푸시인 설계, 스크류 및 스프링 타입 등 다양한 연결 기술을 갖춘 다양한 PCB 단자대도 선보였다. 이 제품들은 공정 자동화, 생산 자동화, 전력 자동화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용 어플리케이션에 전기 또는 신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로 적용되고 있다. Dinkle 단자대는 간편하고 안전한 배선, 통합형 광 파이프 (옵션)로 설계됐다. 이 디자인의 개념은 PCB의 연결 밀도를 높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