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전문기업 비트나인이 IPO 기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비트나인의 총 공모주식수는 207만 1,000주로 제시한 희망 공모가 밴드는 8,700원~9,700원이다. 10월 25일~26일 양일간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1월 1일~2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11월 중 상장 예정이며 상장주관사는 하나금융투자다. 비트나인은 세계 최초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혼용한 하이브리드 DBMS을 개발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Graph DBMS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를 기반으로 개발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제품인 아젠스그래프는 국내를 중심으로 공공기관 및 대기업, 금융기관에서 가장 많이 상용화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다. 인텔, 버라이존 등 해외에서도 다양한 활용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아젠스그래프는 세계 최초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멀티모델 데이터베이스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ANSI SQL과 CYPHER 동시 처리가 가능한 제품이다. 아젠스그래프는 그래프 패턴 매칭 질의에 최적화돼 있으며, 그래프 데이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마크베이스가 매뉴팩처링티비에서 ‘데이터 게임 : IoT 데이터 전쟁의 최후 승자는 누구인가?’의 주제로 웨미나를 개최한다. 본 웨비나는 10월 27일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진행된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한 지금, 스마트시티·스마트팩토리 등은 우리 삶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스마트-X 산업은 ‘IoT 데이터 폭증’이라는 또 다른 문제점을 제시한다. 넘쳐나는 IoT 데이터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마크베이스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는 지난 2019년 이후 TPC의 IoT 부문 1위를 매년 갱신하면서, IoT 데이터 처리 세계 최강자 자리를 증명해오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특히 많은 IoT 데이터를 생산해내는 반도체 분야의 대규모 데이터 실시간 처리 기술을 통해 마크베이스의 IoT 데이터 처리 기술을 소개한다. 이번 웨비나는 ▲IoT 데이터 처리 기술 현황 및 초대규모 IoT 데이터 실시간 처리 제품을 위한 기술 소개 ▲반도체 산업을 위한 극한의 데이터 처리 기술 데모 소개 및 시연 ▲마크베이스 클러스터 에디션 기술 및 제품 Q&A로 구성됐다. 무료로 진행되는 본 웨비나는 오는 27일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AI, IoT 기술을 응용한 원격제어, 제조 자동화 등을 구축하고 있는 현장이 늘어나고 있다. 초당 수백만 건의 데이터가 쏟아져 나오는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DB 관련 해프닝이 끊이지 않는다. 마크베이스는 '완벽한 AIoT 구현을 위한 TSDB의 도입과 사례' 리포트를 통해 시계열 데이터베이스(TSDB : Time Series Database)를 소개한다. 이번 리포트는 ▲DB 히스토리 ▲AIoT가 원하는 DB의 조건 ▲주요 DB 성능 비교 ▲TSDB 도입을 위한 준비 ▲주요 TSDB 종류 ▲응용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며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본격화 되고 있는 AIoT 기술 관련 올바른 DB의 선택과 도입에 도움을 준다.
미래부가 2015년 국가 데이터베이스 사업 추진 과제를 선정했다. 미래부는 빅데이터 시대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공·민간이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총 149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빅데이터 분석, 데이터 개방 등 데이터 활용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주요 요소로 떠오르면서 디지털 지식자원의 확대 구축 또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래부는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국가 DB의 역할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래부는 이를 반영해 창업과 같은 산업적 활용 가치에 중점을 두고 고수요 기반의 민간 활용 중심 과제를 선정했다. 또한 3D프린팅, 사물인터넷(IoT), 비콘(Beacon) 등 신기술을 적용한 미래형 DB 구축 과제도 선정했다. 현재 국가 DB는 6개 분야에 107개로 구축돼 있으며, 데이터 물량은 약 1억8226만 건에 달한다. 분야별 구축 DB 수는 표 1과 같다. ▲ 표 1. 분야별 구축 DB 수 2014년 12월 기준 월 평균 이용 건수는 약 8천200만 건이며, 최근 5년간의 이용 현황은 표 2와 같다. ▲ 표 2. 최근 5년간 국가 DB 이용 현황 국가 DB 사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