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3차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 및 보급 기본 계획 발표 정부가 환경친화적 자동차(친환경차)를 기후 변화 대응의 핵심 수단이자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3차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 및 보급 기본 계획(2016∼2020)’을 확정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친환경차 시장 점유율 20% 달성, 온실가스 380만 톤 감축, 친환경차 수출 60만 대를 통한 18조원 규모 수출 시장 창출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Getty images Bank 친환경차는 지난 5년간 내연기관차 대비 6배, 연평균 20% 수준으로 급속 성장하며 정체기에 직면한 자동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해 왔다. 또한,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과 기술개발 가속화에 따라 오는 2030년에는 전세계 자동차 시장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초기 수준인 국내 친환경차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자동차 산업 구조를 고부가가치 친환경차 중심으로 개편하기 위해 민관 합동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해 ‘제3차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 및 보급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글로벌 기후 변화 대응과 자동차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1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2 PCB 설계 및 두 가지 문제점 고성능 검증을 위해 다시 설계한 자동화 테스트 플랫폼에는 크게 2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자극의 하이 엣지 레이트와 신호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 테스트 환경은 DUT를 위해 빠른 라인 부하 과도현상을 생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임피던스가 불일치하여 트레이스들간의 크로스토크가 이러한 고속 라인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 번째는 긴 트레이스에서 비롯된 감쇠로 인한 전원 라인의 전압 드롭이다. 따라서 양호한 RF 기법에 따른 올바른 PCB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신호 출처 가까이에서 신호를 측정해야 전압 드롭 또는 기생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Getty images Bank 사용된 랩 장비 라인/부하 과도현상과 스타트업 테스팅의 경우, 테스트 플랫폼에는 프로그래머블 전원 공급장치, 세 개의 함수 제너레이터, 하나의 오실로스코프, 테스트 지그가 포함되어 있다. 전원 공급장치는 테스트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여 라인 과도현상 및 부하
매그스위치는 조선소용 영구자석 치공구, 영구자석 응용로봇, 안전구난장비 등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혁신형 기업이다. 2006년에 호주 본사와 합작법인으로 설립되어 특허기술에 대한 독점 사용권과 호주 본사에서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는 모든 제품들에 대해 국내 독점 영업권을 보유하고 있다. 매그스위치란 스위치 자기장치 기술로 초강력 영구자석을 자유롭게 ON/OFF 가능토록 해 영구자석의 무한한 응용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기술을 보유하고 자석을 이용한 기계장치, 구난용 장비 및 추락 방지용 제품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중소기업청의 자금 지원을 받아 해양경찰청 장비개발팀과 공동 개발한 다용도 구조용 인양기는 인근해안의 테트라포드(일명 삼발이) 지역이나 안벽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추락사고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양 장비이다. 두명의 구조요원에 의해 10분 이내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으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의 300Kg 안전하중 테스트를 통과했다. 또한 교체 가능한 초강력 영구자석 식 발판을 장착 할 경우, 선박의 갑판에서 인원과 물자의 이송 및 인양 작업이 가능한 제품이다. 초강력 영구자석 ON/OFF 제어기술을 보유한 매그스위치 테크놀로
대일전기전자는 1999년 일반 소비용 배터리 및 산업용 특수전지를 판매하는 대일유통으로부터 시작해, 현재는 리튬이온이나 리튬폴리머, 연축전지, 니켈카드뮴, 니켈수소전지 등의 2차전지 및 알카라인, 리튬전지 외 특수전지의 조립 작업 판매, 수입, 유통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다. 수입 및 취급 품목은 다음과 같다. •맥셀 : 원통형 리튬1차, 코인 충전지 •FDK : 니켈수소, 리튬1차 •파라소닉 : CR-123A, CR-2, BR 2/3A •세이코 : MS 621, MS 614, MS 920 •소니 : 에네루프, 충전기, 시계 배터리 •중국제 : 니카드, 니켈수소, 에네루프,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 402025/160mA, 502030/250mA •코인 전지 : 벌크 제품 CR 2016, CR 2025, CR 2032, CR 2016, CR 2032 •홀더 : AA, AAA, AA-COVER, AAA-COVER, 9V-COVER, 코인형, 리튬이온형, C형, D형 •충전기 : 리튬이온 충전기, 수소 충전지, 폴리머 충전기, 축전지 충전기 E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1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2 성능 결과 그림 3∼5의 측정 결과를 보면, 그림 1의 푸쉬-풀 컨버터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해서 LDO 상에서 낮은 VIN - VOUT 차이를 유지함으로써 전력 손실과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에서는 LDO 당 200mA일 때 VDIFF가 10V~15V의 전체적인 입력 전압 범위에 걸쳐서 2.5V 아래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에서는 전체적인 부하 전류 범위에 걸쳐서 전력 손실이 낮게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5와 그림 6은 열 영상을 보여준다. 그림 7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한 경우의 효율을 비교하고 있다. 입력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서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에서는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사용할 때 양의 LDO에서 차이 전압을 보여준다. 그림 9와 그림 10에서는 열 영상을 보여준다. 듀티 사이클 제어가 차이 전압을 낮추고 효율과 열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티유브이슈드 그룹은 1866년 설립된 이래 약 150년 동안 더욱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글로벌 기술 서비스 기업이다. 배터리, PV, 인버터,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그리드, 전기전자 제품, 기능 안전(Functional Safety), 원자력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제품 시험 인증 및 경영 시스템 인증, 산업 검사 및 관련 보고서, 교육 및 세미나, 전문 컨설팅, 엔지니어링 등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대형 및 소형 배터리 시험 이차전지 관련 Cell/Module/Pack 단위의 국내 및 국외, 모든 글로벌 라인을 통해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Life, abuse, performance, environmental, reliability, transportation, etc. EV(Electric Vehicle)-UN ECE R100 EU 회원국에 직접적인 강제적 효력을 가지는 규정으로 다음 9가지 시험 항목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Vibration •Thermal shock and cycling •Mechanical shock •Mech
코캄은 폴리머필름, 편광필름 제조 시스템, 통기성(다공성) 필름 개발 등 폴리머 가공 시스템 제조부터 시작해 90년대 말, 사업 영역을 리튬이온폴리머전지의 설계 및 개발까지 확장시키며 고출력 리튬폴리머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다. 세계적인 자동차 부품 제조사에게 턴키 솔루션을 공급했으며, 전극 코팅 시스템, 조립 공정, 전해질 충전 및 밀봉, 시스템 구성(충전/방전) 등에 걸쳐 기계설비 사업을 제공해 오고 있다. KBM 시리즈 모듈 •강력한 열 방산 구조 •유지 보수 용이(개별 트레이 구조) •개별 셀 탈/부착으로 적층 및 통합 용이 •시스템 관리 안정성 보장 •상부의 장치로 원격 관리 가능 코캄 가정용 에너지 저장 장치(KHESS) •80% DOD, RT 설정에서 8000회 이상의 사이클 수명을 지닌 차세대 리튬폴리머전지기술 •코캄 배터리제어시스템(BMS) 장착 •충전기, 배터리팩, 에너지관리소프트웨어(EMS)를 포함한 턴키 솔루션 소프트웨어 •신재생에너지와 통합 가능 (태양력, 풍력, 디젤) 커뮤니티 에너지 저장 장치(CES) CES는 스마트그리드 응용 분야
[전력반도체] 전원 모듈 시장 트렌드는 ‘고효율화’, ‘환경 부하 경감’ (1) [전력반도체] 전원 모듈 시장 트렌드는 ‘고효율화’, ‘환경 부하 경감’ (2) 환경 부하 경감 기술 … USB Power Delivery 환경 부하를 경감하는 기술 중 하나로 기대를 모으는 것이 USB Power Delivery (USB PD)이다. USB PD는 USB 접속을 통해 최대 100W까지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기의 전원전압에 따라 AC/DC 어댑터 등의 전원의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기기별 전원이 필요했지만, USB PD를 사용하면 1개의 전원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기기간에도 데이터 통신이 중심이었지만, USB PD를 통해 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그림 4). USB PD의 보급에 있어서는 USB 커넥터의 진화도 중요한 요소이다. 지금까지 타블렛 및 스마트폰에 보급되어 있는 Type-A/B 커넥터로는 최대 10W 정도이지만, 1Cell의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전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충전측의 전원전압(USB
칼포스코퍼레이션은 홍콩 Sinopoly사의 국내 대리점으로 리튬인산철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Sinopoly사의 리튬인산철배터리는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으로 미국 및 유럽 지역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다. Sinopoly 리튬인산철배터리 특징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다. •가볍고 컴팩트하다. •수리 보수가 쉽다. •배터리 수명이 길다. •동작 온도 범위가 넓다. Sinopoly 리튬인산철배터리 용도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 •태양광 발전 및 가로등 •UPS(무정전 전원장치) •기타 ▲ Sinopoly 배터리 사양 이솔이 기자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1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2 레귤레이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도현상, 부하 과도현상, 스타트업, 부하 및 라인 조절 등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테스트 플랫폼을 위한 최신 툴과 우수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툴은 파라미터 특성화에 필요한 정밀하고 높은 샘플 레이트를 가능하게 해주며, 자동화 기술을 지원하여 테스트 속도를 높이고 반복적인 결과를 확보해준다. 이 글에서는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을 알아본다. ⓒGetty images Bank 기가헤르츠(gigahertz) 범위에서 작동하는 무선기기 모바일 프로세스의 경우, 높은 성능, 긴 배터리 수명, 작은 크기 및 저렴한 비용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관리 회로의 설계 문제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LDO(Low dropout regulators)와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독립형 레귤레이터 및 PMU(power management units)를 가진 휴대형
세방전지는 1952년 해군기술연구소를 모태로 창업해, 로케트 배터리라는 브랜드로 운영돼 왔으며, 전 세계 130여 국가에 제품을 수출하는 세계 10대 축전지 메이커로 성장했다. 세방전지는 현재 축전지 사업뿐 아니라 클린 에너지 부문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차량용 배터리 세방전지의 차량용 배터리는 Premium Battery, GB 시리즈, TAXI WING PLUS 시리즈, 수입차용, PT 시리즈, 선박용, 농기계용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GB 시리즈는 특수 칼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극판과 순도 높은 정제수를 사용해 고온에서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해 주며, 극한의 상황에서도 강력한 시동 성능을 보장해 주는 제품이다. 또한 신소재인 Special Tissue와 특수합금(HTC)를 사용해 자기방전을 극소화하고 방치 회복 성능을 극대화했다. 미로 환수 구조의 2중 커버 설계로 전해액 유출이 없는 MF (Maintenance Free)를 실현해 보수가 필요 없다. 산업용 배터리 세방전지는 통신, 전략, 비상전원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 주요 기간산업 및 대기업 핵심 사업 분야에 공급되고 있으며, VGS 시리즈, CGS 시리즈,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1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2 통신 시스템, 의료 장비, 분산 전원장치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저잡음 트랜스포머 드라이버로서 고정적 50% 듀티 사이클을 사용한 푸쉬-풀 DC/DC 컨버터가 흔히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전압 레귤레이션을 하지 못하므로 LDO 포스트 레귤레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 때문에 LDO의 전력 손실과 높은 온도 상승 및 큰 트랜스포머를 요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글에서는 LT3999 모노리딕 DC/DC 푸쉬-풀 드라이버를 사용해 상기 문제를 해결할 두 가지 방식의 디자인 설계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 의료 장비, 분산 전원장치 등의 애플리케이션에는 저잡음 트랜스포머 드라이버로서 고정적 50% 듀티 사이클을 사용한 푸쉬-풀 DC/DC 컨버터가 흔히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전압 레귤레이션을 하지 못하므로 LDO(low dropout) 포스트 레귤레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바로 이러한 조합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첫째, 드라이버의 입력 전압이 심하게 변동적이면 고정
삼화콘덴서는 1956년에 설립됐으며 전기, 전자, 친환경, 에너지 등 포괄적인 분야에 사용되는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전력용 콘덴서, MLCC, EMI Filter뿐만 아니라, 전기차 핵심 부품인 인버터에 적용되는 DC-LINK 커패시터와 10000F급 고용량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등의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10000F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장수명, 고출력, 고용량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 EDLC 대비 에너지 밀도 기준 50% 이상 제조 단가가 낮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매우 높다. 또한 향후 태양광 발전용 충전 시스템, 무정전 전원장치(UPS), 골프카 및 전동카트 등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삼화콘덴서는 250∼1000F급 Snap-in 제품과 1500∼10000F급 Axial 타입 2.8V급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제품군을 생산 중이다. 모듈의 경우, 15∼45V급을 기본 모델로 생산 중이며, 고전압 및 고용량 모듈에 대해서는 고객의 요청사항을 적극 수렴해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기존 슈퍼커패시터인 EDLC(Electric Double L
글로텍은 영상 정보를 활용한 의사 결정과 스마트 협업이 필요한 전 산업 분야에 양방향 영상 모듈을 공급하는 영상 회의 솔루션 전문 개발 기업이다. PC,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보드(전자칠판), 웨어러블 등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다자간·양방향으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 기업에 모바일을 활용한 각종 현장 영상 공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텍의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은 스마트폰, CCTV, SNS, 인공위성 영상, 기상 정보 및 지리 정보 등을 통합하여 관할 지역 내 모든 재난 안전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특히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 기반의 양방향 지휘 통제 기술은 재난 안전사고 발생 시 최적의 상황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대표 제품인 iseeUsee는 늘어나는 실시간 영상·음성 전송 수요에 맞춰 인터넷, 와이파이, 3G, LTE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통신 환경에서 안정적인 고성능의 영상 음성 교환 기술을 바탕으로, 모든 영상·음성 소스를 실시간, 다자간, 다기종으로
다이캐스팅은 고정도로 표면이 우수한 주물을 하이사이클로 생산하는 주조방법이다. 환경 친화적인 프로세스로 주목받고 있어 더욱 확대될 분야로 기대받고 있다. 이와 관련 최근 개최된 다이캐스팅 전문기술 세미나에서 애니캐스팅 윤중묵 이사가 발표한 '슬리브 및 고진공과 변형불량 연결해석' 내용을 정리한다. 다이캐스팅 불량 종류 및 그 원인, 그리고 고진공 다이캐스팅의 가스 감소, 열응력 변형에 의한 불량에 대해 다루고, 실제 적용 사례 3가지를 소개한다. 다이캐스팅의 불량은 기포, 미성형, 수축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물리적으로 크게 용탕 충전과 열응고 불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불량들은 주조 해석을 통해 원인을 파악, 핵심 대책을 세울 수 있다. ▲ 애니캐스팅 윤중묵 이사 다이캐스팅 불량 종류 및 원인 다이캐스팅의 불량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물리적으로 용탕 충전과 열응고로 분류할 수 있다. 용탕 충전으로 인한 불량은 불균일한 충전, 와류에 의한 산화물 혼입, 금형의 소착, 마모 등이 있다. 응고로 인한 불량으로는 제품의 형상이나 냉각채널의 설계가 부적합할 경우에 국부적으로 액상이 고립되서 수축공이 생기거나, 수지상에 급탕이 부족해서 미세한 수축이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