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산업안전 자동화 전문기업 필츠코리아가 카메라 기반 보호 시스템 ‘PSENvip 2’의 국내 공급을 본격화했다. 이로써 사용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를 프레스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필츠의 카메라 기반 보호 시스템 PSENvip 2에 벤딩 각도 측정을 위한 새로운 모듈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 카메라 기반 보호 시스템 ‘PSENvip 2’ 운영자는 프레스 제동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HMI)에서 직접 벤딩 각도 값을 확인하므로 값비싼 각도 측정 시스템과 복잡한 수동 측정이 필요하지 않는다. 또한 시스템의 초기 및 후속 조정과 관련된 시간과 비용도 최소화된다. 벤딩 프로세스는 PSENvip 2를 사용하여 생산적이고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 브레이크의 높은 가용성을 보장한다. 시간 및 비용 절감 외에도 사용자는 추가 장치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공간도 절약할 수 있다. 거친 적용 환경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필츠의 카메라 기반 보호 시스템 PSENvip 2는 혁신적인 광학 장치를 사용하여 전체 벤딩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한다.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부 다이에 설치할 때 PSENvip 2는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헬로티] 편리하고 빠른 올 라운드 로지스틱스(All-Round Logistics) 서비스 구현이 핵심 디피엘이 서비스 다각화 및 파트너십 확대를 위한 풀필먼트 서비스 온파레트를 론칭한다 종합물류 기업 디피엘(대표 최인석)이 서비스 다각화 및 파트너십 확대를 위한 풀필먼트(Fulfillment) 서비스 ‘온파레트(ONPALLET)’를 신규 론칭했다. 풀필먼트 서비스란 고객 기업 요청에 따라 물품 보관 및 포장, 재고 관리, 교환 및 환불, 배송 등 토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비스를 말한다. 온파레트는 소상공인을 타깃으로 고객층을 확대하고 나아가 전문적인 원스톱 물류 서비스를 제공해 기업 경영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발된 풀필먼트 서비스다. 디피엘의 온파레트 서비스는 축구장 20개 크기와 맞먹는 4만3207평(14만2833㎡) 규모의 물류창고를 배경으로 이뤄진다. 이처럼 업무에 최적화된 물류 인프라를 갖춘 가운데 30년 물류 노하우, 셀러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등을 바탕으로 편리하고 빠른 올 라운드 로지스틱스(All-Round Logistics)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온파레트 고객 기업 물품 종류로 코스메틱, 패
[헬로티] 최첨단 ‘플래그십 모델’로 유럽, 북미, 중국, 신흥시장 등 글로벌 시장 공략 두산인프라코어가 제품 라인업 가운데 가장 큰 모델인 100톤급 굴착기 'DX1000LC' 개발을 완료하고, 전 세계 시장에 동시 출시했다. 이 제품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최신 기술과 고급 사양이 집약된 ‘플래그십(Flagship: 대표기종)’ 모델로 글로벌 플랫폼 전략을 통해 유럽, 북미 등 선진시장과 한국, 중국, 신흥시장에 동시에 출시하는 첫번째 제품이다. 이 제품의 최대 버켓용량은 6.80㎥로 기존에 가장 큰 모델이었던 80톤급 굴착기(DX800LC)의 버켓용량(5.58㎥)보다도 약 1.2배 크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판매 중인 5톤급 굴착기(DX55-5K, 버켓용량: 0.175㎥)모델에 비해서는 무려 40배 가량 큰 사이즈다. 특히 전자식 통합 유압 시스템과 독자개발한 연비 최적화 시스템 ‘스마트 파워 컨트롤’을 통해 연비 향상은 물론 광산 같은 가혹한 작업 조건에서도 손실 없는 파워와 속도로 최적화된 작업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엔진 후처리 기술들을 적용해 유럽의 ‘Stage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높은 정확도의 절연 및 2차측 시그마-델타 변조기인 ISOSD61 및 ISOSD61L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이 디바이스는 모터 제어, 전기차 충전소, 태양광 인버터, UPS, 서버 및 통신용 전원공급장치와 같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향상된 성능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ISOSD61은 TTL/CMOS 호환 클럭 입력과 데이터 출력 신호 레벨을 갖추고 있으며, ISOSD61L은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와 호환된다. 두 종의 제품 모두 16bit 분해능의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와 함께 일반적으로 86dB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를 제공한다. 이 디바이스는 갈바닉 절연 기술을 내장해 전력소모를 줄이고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면서도 다른 광결합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최대 ±320mV의 진폭을 가진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최대 25Msamples/s 속도로 고속 1bit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양측 간의 절연을 통해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맥심인터그레이티드(Maxim Integrated)의 MAX17852 14채널 고전압 ASIL-D 등급 데이터 수집(DAQ)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오토모티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 설계자들은 MAX17852를 통해 전압과 전류, 온도, 통신에 안전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공간 및 솔루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맥심인터그레이티드 MAX17852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및 기타 운송 시스템 내 고전압/저전압 배터리 모듈 관리를 위한 유연한 솔루션이다. MAX17852는 400V, 800V 이상의 전압에서 작동하는 스마트 정션박스, 48V 및 기타 오토모티브 배터리 시스템에 적합하다. 맥심은 MAX17852가 완전 이중화 측정 엔진으로 14개의 셀 전압, 1개의 전류, 4개의 온도 조합 또는 시스템 전압을 263μs 내에 측정하도록 설계했다. 덧붙여 마우저는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측정 엔진만으로도 156µs 내에 모든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대 32개의 장치를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해 448개의 셀을 관리하고
[헬로티] 라온피플이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공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여주는 검사 솔루션인 NAVI AI Toolkit 4.0버전을 출시하고 31일 웨비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4.0 버전에서는 최신Ampere계열의 Nvidia GPU지원 등을 통해 빠르면서도 심플한 학습, 최적화를 통한 비용 최소화를 통한 결과 분석이 가능해졌다. 특히 기존에 배포된 3.0 버전에 Jupiter 모듈이 추가 지원되고, 라벨링의 편의성이 강화되면서 NAVI AI Toolkit 4.0은 더욱 강력해졌다. 제조업에 특화된 신속, 심플한 학습 방법 제공 1. Jupiter 모듈을 통한 불량 검출 이번 NAVI AI 4.0 버전에서는 기존 세가지 Mercury, Venus, Mars에 Jupiter 툴이 추가 되었다. Jupiter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의 일종으로 양품만 학습시켜 불량 이미지를 검출하게 되는데, 대부분이 양품인 제조업의 특성상 불특정 다수의 불량에 대한 학습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강점이다. 이를 통해 예측 불가능한 불량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림 1. NAVI AI Trainer 초기 화면 그림 2.
[헬로티] 필츠가 새로운 드라이브 컨트롤러 PMC SC6/PMC SI6으로 서보 증폭기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유연하게 조합 가능한 PMC SC6와 PMC SI6은 금속 가공, 패키징, 목공 산업의 단일축 및 다중축 애플리케이션에서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다. 드라이브 컨트롤러 PMC SC6/PMC SI6은 콤팩트한 디자인이 특징이며, 사용자도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제어 캐비닛의 6개축에 필요한 폭이 총 180mm밖에 되지 않으며, 빠른 시운전이 가능하다. 모터 데이터의 파라미터는 모든 관련 기계 및 전자 모터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공하는 전자 모터 명판을 통해 간단하고 안전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드라이브 컨트롤러는 Ethercat 및 ProfiNet과 같은 일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인코더 통신 및 전원 공급을 하나의 케이블에 통합한 하이브리드 케이블 덕분에 배선 작업이 줄어든다. 확장 가능한 다중축 솔루션 PMC PS6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드라이브 컨트롤러 PMC SI6은 4개 이상의 축으로 구성하여 대규모 플랜트와 기계류에 탄력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에는 두 가지 규격의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중
[헬로티] 세일즈포스는 팬데믹 이후 기업의 영업 조직이 비대면 영업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고객 관계 구축과 영업 활동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차세대 버전인 ‘세일즈 클라우드’를 발표했다. ▲세일즈 클라우드 UI 최근 세일즈포스가 전 세계 영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61%의 응답자는 팬데믹으로 인해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과 본인의 역할이 영구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했다. 51%의 응답자는 팬데믹이 완전히 종료된 이후에도 이전보다 업무 수행을 위한 출장이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팬데믹 이후 다시 이전처럼 사무실로 복귀할 것이라고 응답한 인원은 전체 응답자 중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 이에 전 세계 기업은 팬데믹 이후 변화한 영업 환경에서 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영업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을 채택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일즈포스가 이번에 발표한 세일즈 클라우드는 팬데믹 이후 기업들이 필연적으로 직면하게 될 비대면 영업 환경에서도 이전과 같은 수준, 혹은 그 이상의 영업 성과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제품을 대폭 업그레이드한 솔루션이다. 이제 각 조직의 영업 팀은 언제 어디서든 디지
[헬로티]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하이케이 메탈 게이트(High-K Metal Gate, 이하 HKMG)’ 공정을 적용한 512GB DDR5 메모리 모듈을 개발했다. ▲삼성전자 512GB DDR5(출처 : 삼성전자) DDR5는 차세대 D램 규격으로 기존의 DDR4 대비 2배 이상의 성능이며, 향후 데이터 전송속도가 7200Mbps로도 확장될 전망이다. 이는 1초에 30GB 용량의 UHD 영화 2편 정도를 처리하는 속도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개발한 고용량 DDR5 모듈은 업계 최고 수준의 고용량·고성능·저전력을 구현해 차세대 컴퓨팅, 대용량 데이터센터, 인공지능 등 첨단산업 발전의 핵심 솔루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개발된 DDR5 메모리는 메모리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에 따른 누설 전류를 막기 위해 유전율 상수가 높은 물질을 공정에 적용해 고성능과 저전력을 동시에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HKMG가 적용된 삼성전자 DDR5 메모리 모듈은 기존 공정 대비 전력 소모가 약 13% 감소해 데이터센터와 같이 전력효율이 중요한 응용처에서 적합하게 쓰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범용 D램 제품으로서 최초로 8단 T
[헬로티]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하이케이 메탈 게이트 (High-K Metal Gate, 이하 HKMG)’ 공정을 적용한 업계 최대 용량의 512GB DDR5 메모리 모듈을 개발했다. DDR5는 차세대 D램 규격으로 기존 DDR4 대비 2배 이상의 성능이며, 앞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7200Mbps로도 확장될 전망이다. 이는 1초에 30GB 용량의 UHD 영화 2편 정도를 처리할 수 있는 속도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개발한 고용량 DDR5 모듈은 업계 최고 수준의 고용량·고성능·저전력을 구현해 차세대 컴퓨팅, 대용량 데이터 센터, 인공지능 등 첨단 산업 발전의 핵심 솔루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에 개발된 DDR5 메모리는 메모리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에 따른 누설 전류를 막기 위해 유전율 상수(K)가 높은 물질을 공정에 적용해 고성능과 저전력을 함께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HKMG가 적용된 삼성전자 DDR5 메모리 모듈은 기존 공정과 비교해 전력 소모가 약 13% 감소해 데이터 센터와 같이 전력 효율이 중요한 응용처에서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 이번 제품에는 범용 D램 제품으로는 처음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의 RA4M2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르네사스 RA4M2 마이크로컨트롤러는 Arm TrustZone 기술과 르네사스의 Secure Crypto Engine, Arm8-M 아키텍처가 기반인 고성능 100MHz Arm Cortex-M33 코어를 바탕으로 설계됐다. Secure Crypto Engine은 다수의 대칭 및 비대칭 암호화 가속기, 향상된 키 관리, 보안 수명주기 관리, 전력 분석 저항 및 변조 감지 기능을 통합한다. RA4M2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액티브 모드에서 80 µA/MHz의 작동 전류, 0.7 mA의 낮은 대기 전류, 스탠바이 모드에서 30µs의 매우 빠른 웨이크업 시간을 제공한다고 마우저는 밝혔다. 작동 주파수가 최대 100MHz인 RA4M2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산업용 및 IoT 에지 장치와 같은 고성능,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계량, HVAC 및 강화된 구내 보안에도 이상적이다. 해당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르네사스의 FSP(플렉시블 소프트웨어 패키지)에서 지원을 받을 수
[헬로티] PSENopt II 락아웃과 더불어 이제 필츠의 PSENopt II 라이트 커튼 제품군에서 재가동 인터락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구역 내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동안 기계가 의도하지 않게 재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추가 안전 센서가 필요 없으므로 위험 지점에 대한 육안 검사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PSENopt II 락아웃은 의도하지 않은 재가동을 방지하는 점에 있어 안전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고 사용하기도 쉽다. PSENopt II 라이트 커튼 제품군의 액세서리 솔루션 PSENopt II 락아웃에는 고정 장치 및 해당 스위블 암이 포함된다. 의도하지 않은 재가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PSENopt II 락아웃은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다. 고정 장치가 라이트 커튼의 측면에 쉽게 장착된다. 취급에 있어서도 복잡한 점이 없다. 예를 들어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위험 구역에 접근하자마자 스위블 암을 라이트 커튼의 시야 앞에서 접을 수 있다. 스위블 암을 재조정하려는 사람을 중단시키는 잠금 장치가 있어 추가 안전이 확보된다. 시야가 강제로 차단되면 라이트 커튼은 더 이상 장애물이 없는 뷰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재가동을 막는다. 이 간단한
[헬로티]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일련의 태그와 최대 128개의 읽기/쓰기 헤드 지원 터크가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일련의 태그와 최대 128개의 읽기/쓰기 헤드를 지원하는 EtherCAT용 새로운 TBEC RFID I/O 모듈을 출시했다. 터크가 3월 EtherCAT 네트워크의 빠른 인터페이스를 위한 견고하고 컴팩트한 RFID 모듈 TBEC 시리즈를 RFID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완전 몰딩된 하우징의 TBEC 모듈은 IP67/IP69K의 보호 등급으로 -40 … +70 ℃의 확장된 온도 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견고한 제품이다. 터크의 EtherCAT RFID 모듈을 사용하면 HF 및 UHF 읽기/쓰기 헤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므로, 대역폭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단순화하고 재보 보유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터크의 모든 이더넷 멀티프로토콜 장치와 마찬가지로 TBEC 모듈은 최대 32개의 버스 가능 HF 읽기/쓰기 헤드가 4개의 RFID 채널에 각각 연결 가능한 HF 연속 버스 모드를 지원한다. 읽기/쓰기 기능이 많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는 배선을 위한 비용 및 노력과 시운전 시간을 상당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TBEC 모듈은 센서, 조명
[헬로티]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는 냉동 엔지니어가 냉매 관리를 위한 가스 측정 작업을 더욱 쉽고 편리하게 해주는 디지털 매니폴드 게이지 신제품 ‘테스토(testo) 557s’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출처 : 테스토코리아 디지털 매니폴드 게이지는 고압 압력계와 복합 압력계가 붙어 있어 냉매를 충전하거나 빼내는 데 사용되는 장비다. 압력과 온도, 과열도 및 과냉도를 실시간으로 점검해 냉매 충전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testo 557s’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뿐만 아니라, 최신 디지털 방식을 포함한 모든 측정 타입에 적합하다고 테스토코리아는 밝혔다. 모든 사용자군과 측정 상의 모든 문제를 충족할 수 있는 디지털 매니폴드 게이지로, 큰 그래픽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을 통해 빠른 측정과 용이한 작업이 가능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매니폴드 게이지와 달리, 큰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모든 측정 데이터와 평가 결과를 더욱 명확하게 보여준다. 모든 측정 데이터와 평가 결과를 테스토의 전용 모바일 앱(App)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
[헬로티] 리오시스템이 고휘도 조명장치와 멀티 포지션 링 조명을 출시했다. YP-250LED는 고휘도 LED 조명 장치로, 웨이퍼 표면의 기스, 이물등을 육안으로 검사할때 사용하는 조명이다. 특수렌즈를 사용하여 빛이 똑바로 조사되기 때문에 기스 및 이물의 빛반사로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 모델의 밝기는 500,000Lux 이상(WD 220mm) 이며, FOV는 60파이(WD 220mm) 정도다. WD에 따라 조사면적의 조절이 가능하며, 조명 앞단의 조리개를 조절하여 빛이 좀더 깨끗하게 조사될 수 있다. 기존 메탈 램프(250W)에서 LED램프로 변경되어 예전보다 긴 수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제품보다 전력소모량도 1/5 수준으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사진. 고휘도 조명장치 'YP-250LED' 이와함께 리오시스템은 멀티 포지션링인 IMAR-RGB serise 조명도 출시했다. 이 조명은 곡면의 확산판을 사용하여 조사거리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원거리(100mm 이상)의 경우, 동축조명과 가깝게 사용 가능하고 평평한 샘플의 표면검사에 최적이다. 중거리(30~100mm)의 경우, 샘플에 균일하게 조사가 가능하며, 이물검사 또는 부품의 유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