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DC-DC 컨버터를 통합한 단일칩 자동차용 LED 드라이버인 ALED6000을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낮은 부품원가로 설계를 유연하게 구현하고, 차량의 전기적 조건이 변동해도 조도를 일관되게 유지하도록 해준다. ALED6000은 주간 주행등, 전조등, 후미등, 정지등, 방향 지시등과 같은 외부 조명은 물론 실내 조명에 모두 적합하며, 최대 3A로 단일 LED 스트링을 구동하고, 4.5~61V에 이르는 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제공한다. ALED6000은 디지털 디밍을 구현하며, PWM 제어 신호를 적용하는 전용핀을 갖추고 있다. 인에이블 핀과 동기화 핀도 제공해 다중 장치 애플리케이션에서 저잡음을 보장한다. 출력 전류는 3.2% 이내로 정확하며, 일반적으로 전압 강하가 250mV인 감지 저항을 사용해 효율적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대기 전류는 동작 시 2.4mA, 셧다운 시 11µA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낮다. VBIAS 보조 입력 핀과 경부하 시 펄스 스키핑 동작도 지원하기에 전체 부하 범위에서 높은 효율성을 보장한다. 통합 컨버터가 벅, 벅/부스트, 플로팅-부스트 토폴로지를 지원하므로 입력 전압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주식회사 시티이텍은 3.3~33kV 옥내 전로의 활선 유무를 검출하는 세라믹 커패시터를 내장한 지지애자형 전압감지장치 'CTVD 시리즈'를 출시했다. 지지애자(Insulator)는 철탑에 고압전선을 연결지지하거나 고압전선 상호간에 간격을 두어 기계적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비롯해 송전선이나 전기기기의 나선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 지지체다. 최근 송배전 계통 작업과 점검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선로의 활선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각광받고 있으며, 고전압을 사용하는 계통의 경우 이러한 전압감지 기능은 필수 요소다. 시티이텍 절연물 사업부의 첫 제품인 CTVD 시리즈는 정격별 커패시턴스 향상 및 표준화를 통해 전압 감지 표시 장치의 밝기 성능과 국내외 사용 호환성을 높였고, 전압 검출 단자를 전면에 배치해 설치 및 배선 시간을 단축했다. 이와 동시에 한국전기연구원의 형식시험 완료와 한국전기산업진흥회의 공인검수시험 면제 대상 자격을 취득한 바 있다. 한편, 시티이텍은 계기용 변성기 제조 전문 기업으로서 계기용 변성기, 몰드형 MOF, 붓싱형변류기(BCT) 및 각종 시험용 설비를 개발 생산하며 정밀 계기용 변성기의 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GS칼텍스가 고객 편의성 강화를 위해 에너지플러스(energy plus) 모바일 앱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다. GS칼텍스는 5일 에너지플러스 앱 베타버전을 출시하고, 사전 신청 및 추첨을 통해 선정된 1천 명의 고객 체험단을 운영한다. 오는 8월 말까지 베타버전을 운영하면서 고객 체험단을 통해 앱의 주요 기능을 미리 경험하게 하고 다양한 피드백을 전달받아, 오는 9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정식버전을 출시할 계획이다. 에너지플러스 앱의 주요 기능인 ‘바로 주유’ 서비스는 고객이 유종, 주유량 등 주유 패턴과 결제수단을 앱에 미리 등록해두면 주유소에서 바코드 스캔이나 핀번호 입력만으로 주유 주문과 결제가 한 번에 이루어지는 서비스다. GS칼텍스의 바로 주유 서비스는 주유소를 사전에 지정해 예약하는 기존의 다른 간편 서비스와 달리, 바로 주유 서비스가 가능한 GS칼텍스 주유소라면 어디에서든지 주유소 사전 지정 없이 하나의 주유 패턴으로 주문과 결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베타 서비스 기간에는 240여 개의 직영주유소에서 바로 주유 서비스가 가능하며, 올해 말까지 자영주유소를 포함해 800개소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플러스 모바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트라스콥코는 에너지 효율은 15% 높이고, 설치 면적은 15% 줄인 고효율 스크류 블로어 ZS 5 시리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 ZS 5 시리즈에는 IE4 NEMA 등급의 고효율 모터가 장착되어 기존 장비 ZS 75-160 대비 에너지 효율이 15% 향상됐다. 또한 유량과 압력 또한 각각 30%, 25%씩 증가했다. 저압 공정에 주로 사용되는 자사의 로브 블로어와 비교했을 때도 에너지 효율이 30% 이상 높아 저압의 압축공기가 필요한 공정에서는 동급 최고의 효율성을 자랑한다. 특히 ZS 5 VSD 모델은 아트라스콥코가 자체 제작한 VSD(Variable Speed Drive)가 장착되어 어떤 운전 환경에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특히 공정 상황에 맞춘 가변 운전을 통해 정속형 블로어보다 최대 35%까지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설치 면적도 크게 감소했다. 이전 모델 대비 최대 15%까지 작아져 컴프레셔룸이 협소하거나 설치 면적에 제약이 있는 현장에 이상적이다. 또한 아트라스콥코만의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방식으로 설계되어 설치 시간 및 비용도 대폭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블로어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델 테크놀로지스가 고성능 컴퓨팅(HPC), AI, 데이터 분석이 융합된 환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규 솔루션 '옴니아(Omnia)'를 출시했다. 이와 함께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서부터 제품 개발 시뮬레이션 등 데이터 집약적인 워크로드를 다루는 기관 및 기업들이 델 EMC 파워엣지(Dell EMC PowerEdge) 서버에서 가속기 옵션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옴니아는 HPC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아 '델 테크놀로지스 HPC & AI 이노베이션 랩'이 인텔과 협력하여 개발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HPC, AI 및 데이터분석 워크로드의 관리 및 프로비저닝을 자동화하도록 설계된 옴니아를 통해 싱글 풀을 생성하여 자원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계속해서 증가하는 다양한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옴니아 소프트웨어 스택은 앤서블(Ansible) 플레이북의 오픈소스 셋으로서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쿠버네티스(Kubernetes) 및 슬럼(Slurm)에 컨버지드 워크로드를 빠르게 배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 HPC 시뮬레이션, AI를 위한 뉴럴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이구스(igus)가 엔지니어링 폴리머 소재의 클린룸 체인 C6를 새롭게 출시했다. 마모 최적화 폴리머를 활용해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내마모성을 가진 신제품 C6는 ISO class1로 가장 높은 수준의 클린룸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한국이구스 에너지체인 사업부 정준희 차장은 “신제품 C6는 이동 시 접촉면을 최소화하고 케이블과 접촉하는 모든 지점에 새로운 폴리머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소음과 마모 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이구스가 국내 시장에 클린룸 체인 공급을 시작한 것은 2016년으로 이전 모델인 E6 및 E6.1이 포장 산업과 의료/제약 산업을 넘어 국내 메이져 전자 제품 및 반도체 제조 업체들에게 채택되면서부터다. 클린룸 특화 제품 생산을 위한 별도 설비와 독일 프라운호퍼 IPA와 MOU를 체결해 자체 클린룸 테스트랩도 구축했다. 정 차장은 “현재 쾰른 본사에서 진행되고 있는 C6 클린룸 체인의 테스트 결과, ISO 클래스 1 규정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클린룸 시장의 청정도 요구 조건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 전반에 걸쳐 소형 장비에 대한 요구가 지속됨에 따라 포토 마이크로센서에 대한 수요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산업용 센서, 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기존에 출시되었던 초소형 포토 마이크로센서 BS5 시리즈에 이어 더욱 소형화된 BS3 시리즈를 새롭게 선보였다. BS3 시리즈는 BS5 시리즈에 비해 약 34%(K형, 가로폭 기준) 소형화된 사이즈로 소형 장비 및 협소한 공간 및 틈새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다. 이 제품은 K, F, R, U, L형의 5가지 외형의 모델을 제공하여 설치 환경 따라 외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각지대 없이 어느 방향에서나 확인이 용이한 ‘ㄷ’모양의 동작 표시등을 채용하여 모서리, 코너 등 상태 식별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내구성 면에서도 높은 내진동성(2,000Hz) 및 내충격성(1,500G)으로 파손될 우려나 진동이 있는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이외에도 BS3 시리즈는 입광 또는 차광 시 표시등이 ON 되는 모델 라인업으로 사용 환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저 선택의 폭을 확대했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요꼬가와전기는 요꼬가와와 세계적인 정유회사 쉘(Shell)이 PACE R5.03을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OpreX Asset Operations and Optimization 제품군의 솔루션으로 출시했다. PACE는 쉘의 고급 플랜트 공정 제어 기술과 요꼬가와의 실시간 제어 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이 제품 수율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제품군이다. 이 버전의 업그레이드는 플랜트 시스템 상호 운용성과 보안을 개선하고 고객이 산업 자율성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의 기반을 제공하는 최신 버전의 통신 표준인 OPC UA를 지원한다. OPC는 산업 자동화 공간 및 기타 산업에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상호 운용성 표준이다. OPC UA는 인더스트리 4.0의 통신 표준으로 인식되어 하드웨어 또는 OS 의존성이 없는 높은 보안 및 확장성의 혜택을 받는다. 개발 배경 고급 공정 제어(APC) 시스템은 온도, 유속, 압력 및 기타 공정 값을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고 최적 설정점에 최대한 가깝게 유지함으로써 제품 수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 이러한 시스템은 정유,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무선 통신 전문기업 유블럭스(u-blox)가 블루투스 방향 탐지 및 고정밀 실내 위치 추적 기술 가능성 평가를 위해 설계된 2개의 ‘익스플로러 키트(explorer kit)’를 출시한다. 유블럭스 XPLR-AOA-1 및 XPLR-AOA-2 익스플로러 키트는 저전력 소모, 간편한 사용 및 저렴한 비용을 고려하여 설계됐다. 개발자는 이 키트로 출입 통제, 충돌 감지, 스마트 기기, 실내 위치추적, 자산 추적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유블럭스 XPLR-AOA-1 및 XPLR-AOA-2 익스플로러 키트는 태그에서 클라우드에 이르는 블루투스 기반 추적 솔루션 중 하나로서, 실내 환경에서 서브 미터 수준의 위치 추적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제공한다. 유블럭스 C211 안테나 보드와 유블럭스 C209 태그, 그리고 관련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유블럭스 XPLR-AOA-1은 AoA(Angle-of-arrival) 기술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들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에는 사람이나 물체가 문에 접근하는지 감지하거나, 움직이는 물체 간의 충돌 방지, 움직이는 태그에 카메라 방향을 지시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유블럭스 XPLR-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래티스 반도체(이하 래티스)는 오늘 온라인으로 개최된 신제품 발표회를 통해 자사의 저전력 FPGA와 함께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툴의 최신 버전 'Lattice Radiant 3.0'을 발표했다. 이 툴은 래티스 넥서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최신 제품군인 새로운 래티스 CertusPro-NX 제품군 같이 높은 밀도의 디바이스를 지원하며, 래티스 FPGA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설계를 손쉽게 개발하는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개발자가 하드웨어 플랫폼을 평가할 때 실제 하드웨어는 여러 선택 기준 중 하나일 뿐이다. 개발자는 하드웨어와 함께 해당 하드웨어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설계 소프트웨어 또한 사용 편의성과 지원 기능을 중심으로 평가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특성이 전반적인 시스템 개발 시간과 비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안티 루카츠(Antti Lukats) 트렌즈 일렉트로닉스 CTO는 “산업 및 자동차 시장을 위한 FPGA 기반 SoM(system on module) 솔루션의 선도 기업으로서, 우리는 수십 년 동안 하드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툴을 경험해봤다”고 밝혔다. 안티 루카츠 CTO는 “La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AEC-Q100 인증을 받은 LDO(Low-Drop Out) 리니어 타입의 레귤레이터 L99VR01을 출시했다. 이 레귤레이터는 선택 가능한 8개의 고정 출력 전압과 기능 안전을 위한 진단 기능, 높은 열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여러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스템 설계를 간소화하고 재고관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L99VR01은 바디 모듈, 정션 박스, 계기판, 선루프 컨트롤러, 무선 도어 컨트롤러, 센서 등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최대 200mA를 제공한다. 3개의 외부 셀렉트 핀을 사용해 외부 전압 분배 방식보다 더 정확하게 출력 전압을 0.8V, 1.2V, 1.5V, 1.8V, 2.5V, 2.8V, 3.3V, 5V로 설정할 수 있다. 출력의 오차율은 ±2% 이내다. 이 레귤레이터는 두 가지 버전의 디바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L99VR01S는 인에이블 및 리셋 핀뿐 아니라 신속한 출력 방전, 저전압 차단, 열 셧다운, 단락 보호 등과 같은 안전 기능을 포함해 표준 SO-8 패키지로 제공된다.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대기전류가 1μA로 감소하며, 레귤레이터의 동작온도 범위는 -40~150°C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뉴 스페이스 분야에 사용되는 소형 위성단 및 기타 시스템 개발자의 경우 높은 신뢰성과 방사선 보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엄격한 비용과 일정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들 개발자에게 더욱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생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최초의 방사선 내성(RT) FPGA를 출시했다. 해당 신제품은 JEDEC 인증 플라스틱 패키지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며, RTG4 FPGA의 입증된 신뢰성과 수십 년간의 우주비행 경험을 바탕으로 전체 QML(Qualified Manufacturers List) 인증 획득을 위한 절차 또한 밟지 않아도 된다. 마이크로칩의 FPGA 사업부 우주항공 사업부 마케팅 디렉터인 켄 오닐(Ken O’Neill)은 "이번 신제품 출시는 낮은 단가로 대량의 우주산업 등급 부품을 공급받고자 하는 시스템 개발자에게 중요한 이정표"라고 말했다. 켄 오닐 디렉터는 "리드타임을 단축시켜 서비스 출시 주기를 앞당기도록 한다. 해당 RTG4 FPGA는 신뢰성 및 방사선 방호 기준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패키지와 서브 QML 심사를 통해 비용을 절감한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칩의 RTG4 서브 QML FPG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최근 산업 환경에서 중요한 현안 중의 하나는 안전이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로이체는 효율적인 안전 솔루션 LBK 안전 레이더 시스템을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분진이나 스파크, 수분 등이 많은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또한, 2차원이 아닌 3차원 공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과 정밀한 센서 감도로 작업자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미세한 움직임을 포착하는 LBK 안전 센서 LBK 레이더 시스템은 작업자가 모니터링 된 영역에 진입하면 그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작업자가 위험 구역에 남아 있는 동안에는 기계의 재시동을 방지하여 작업자를 보호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위험 구역으로부터 벗어나면 다시 진입 접근 보호 모드로 변경되어 사람의 진입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이 시스템의 레이더 기술은 모션 감지 알고리즘을 통해 사람과 고정된 물체를 명확히 구별한다. 따라서 팔레트 또는 컨테이너와 같은 고정 물체는 작업 영역에 남아 있어도 기계나 시스템은 중단되지 않고 문제없이 가동된다. 쉬운 설치와 유연한 시스템 운영 LBK 안전 레이더 시스템은 재시동 방지와 사각 지대 모니터링에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필츠가 안전 레이저 스캐너 PSENscan 새로운 버전을 추가하면서 디지털 입력 및 출력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새로운 17핀 및 마스터 엔코더 타입 덕분에 최대 70개의 전환 가능한 구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됐으며, 최대 3개의 별도 안전 구역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영역의 경우에는 더욱 생산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새로운 부분 동적 뮤팅을 사용할 수 있다. 엔코더 평가, 대기 모드, 더욱 정교한 주행 등 내부 물류 섹터를 위한 새로운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안전 레이저 스캐너에서 새로 발생된 엔코더 입력을 직접적으로 빠르게 평가하므로, 추가 배선에 소요되었을 노동력과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PSENscan은 30, 40, 50, 70 또는 150mm의 높은 분해능과 여러 번에 걸친 스캔 평가 덕분에 극도로 유연하고 다재다능하다. 교체 가능한 새 메모리 모듈을 사용하여 다른 레이저 스캐너로 쉽게 구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손상된 경우 개별적으로 교체 가능한 스캐너 헤드가 있으므로 설치 및 플랜트 가동 중단 시간이 최소화된다. 동적 안전 가딩 세부적인 특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차량용 인캐빈 모니터링 시스템(ICMS)이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을 한 차원 향상한다. 차 안에 방치된 아동 감지, 운전자 상태 및 탑승자 감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도입되고 있으며 레이더가 핵심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레이더는 미세한 움직임과 생체 반응을 감지한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는 XENSIV BGT60ATR24C AEC-Q100 레이더 센서, AURIX 마이크로컨트롤러, OPTIREG PMIC의 제품 구성으로 ICMS 서브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는 초광대역, 초저전력,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나고 확장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 제품은 새로운 신호 프로세싱 기법을 가능하게 해 시스템의 견고성을 높이고 시스템 필요에 따라 계산 비용과 정보 수준 및 전력 소모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XENSIV BGT60ATR24C 레이더 센서는 △가상 어레이 구성을 위한 다중의 송신/수신 △매우 민첩한 변조 생성 메커니즘 △자동 전력 모드 구성 △RF와 프로세싱 간의 단순화된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AURIX TC3xx MCU 제품군은 높은 성능과 강력한 안전 아키텍처를 결합했으며,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