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솔루션 전문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외부 부착형 클램프온 타입 초음파 유량계 ‘Proline Prosonic Flow P 500’을 출시했다. Proline Prosonic Flow P 500은 프로세스 산업의 협소한 배관 시스템에서 흔히 발견되는 곡관 및 축관, 확관과 같은 피팅에서 발생하는 유량 프로필 방해 현상을 감지, 계산을 통해 유량 방해가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FlowDC 기능이 적용된 초음파 유량계이다. 그 결과, 전단 직관부가 15 DN에서 2 DN으로 크게 감소해도 일관된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측정값이 압력 및 밀도, 전도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도 특징이다. 비접촉식 유량 측정 방식으로 배관을 열지 않고도 배관 외벽에 설치 가능한 것은 물론, 초음파 신호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스티커형 커플링 패드를 통해 우수한 측정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배관망으로 협소한 공간의 시설에 설치할 수 있는 이상적인 솔루션으로, 정량 및 체적 측정부터 프로세스의 제어, 모니터링, 밸런싱, 토탈라이징, 배관의 누출 감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부식성 및 마모성,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콩가텍 코리아가 NXP i.MX 8M 플러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기반한 신규 Qseven 모듈 conga-QMX8-Plus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Qseven 컴퓨터 온 모듈 출시 15주년에 맞춰 출시된 conga-QMX8-Plus은 현장에서 운용되는 NXP i.MX 6 기반의 Qseven 모듈을 대체하는 차세대 제품으로 실시간 이더넷을 위한 TSN 기능은 물론 첨단 머신러닝과 AI 기능을 지원한다. 이로써 수명을 10~15년 연장하고 시스템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한다. 새로운 Qseven 모듈은 쿼드코어1.8 GHz ARM Cortex-A53과 최대 2.3 TOPS(초당 1조 연산속도) 수준의 NPU가 추가돼 통합된 i.MX 8M 플러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다. 머신러닝 가속기가 탑재된 최초의 i.MX 프로세서인 i.MX 8M 플러스는 엣지에서의 딥러닝 추론 및 인공지능 관련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 소비전력이 매우 낮은 3와트 초저전력 conga-QMX8-Plus 모듈은 64비트 아키텍처와 최대 6GB의 온보드 LPDDR4 메모리를 장착해 성능을 150% 이상 높였다. 또한, 고에너지 효율의 ARM 성능, 머신러닝 성능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테이블쏘는 목수들에게 필수 공구다. 톱날이 테이블 위에 있어, 그 위로 나무를 이동시키면서 절단한다. 테이블쏘는 유선 전력이 공급되는 공간에 설치해 주로 사용한다. 전동공구 전문기업 밀워키는 유선 제품과 동급의 파워를 자랑하는 무선 테이블쏘 'M18 FUEL 테이블쏘 210mm(M18 FTS210)'를 출시했다. 새롭게 출시된 M18 FTS210는 무선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무부하 기준 최대 6,300RPM의 빠른 회전 속도를 내는 등 유선 제품과 유사한 힘을 자랑한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M18 HB12 기준) 1회 충전으로 온종일 작업이 가능하며 19mm 두께의 OSB합판을 최대 190m까지 절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조기대가 부착된 작업대는 최대 622mm까지 확장이 가능해 다양한 사이즈의 목재 가공에 용이하다. 밀워키는 테이블쏘 M18 FTS210과 함께 해당 제품을 고정할 있는 전용 스탠드, 'TSS1000'도 함께 출시한다. 이 스탠드는 원포인트 다리조절이 가능해 평평하지 않은 지면에서도 테이블쏘를 수평에 맞춰 설치 가능하다. 또한 높이 조절도 가능해 작업자의 상황에 따라 편한 작업 높이를 선사하며 최대 82kg의 무게도 견딜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측정 기술 분야 전문기업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가 신개념 측정 솔루션인 스마트 프로브 ‘testo 915i’ 및 다기능 스마트 앱을 출시했다. ‘스마트 프로브’ 솔루션은 모바일 기기에서 온도, 습도, 풍속, 압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신개념 측정 솔루션으로 냉동/공조 시스템 및 히트 펌프, 환기 시스템, 난방 시스템, 실내 공기질 등을 측정하는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 프로브’는 기존 휴대용 측정기 8종(testo 905i, 115i, 805i, 605i, 405i, 410i, 510i, 549i)과 모바일 기기에 설치해 블루투스로 연결 가능한 스마트 프로브 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testo 905i가 단종됨에 따라 이번에 출시된 온도 측정 솔루션 ‘testo 915i’ 4종(대기형, 탐침형, 표면형, 와이어 타입)과 업그레이드된 스마트 앱을 추가하게 되었다. 온도용 측정 솔루션인 ‘testo 915i’는 그래프의 진행 표시 화면을 통해 온도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반응 속도가 빨라 어떠한 용도에서도 신속한 측정을 보장한다. ‘testo 915i’는 최대 100m 거리 내 스마트폰 또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범용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멀티존 플라이트센스 ToF 센서를 최초로 출시해 컨슈머 및 산업용 제품 전반에 걸쳐 정교한 거리 감지 기능을 제공한다. VL53L5CX 센서는 여러 대상을 감지하는 최대 64개의 감지 영역과 각 영역마다 최대 4미터의 거리 측정은 물론, 63° 사선으로 넓은 사변형 시야각을 제공한다. 이 센서는 제스처 인식을 비롯해 로보틱스용 3D 룸 매핑 등의 복잡한 장면 분석, 재고 관리를 지원하는 저장탱크 레벨 모니터링, 액체 레벨 제어, 스마트 폐기물 수집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수거함 레벨 모니터링 등에 적합하다. VL53L5CX는 제스처 인식 및 사람의 존재 여부를 자동 감지하게 해주기에, 셀프 서비스 결제 단말기 외에도 컨슈머 제품 및 가전기기처럼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장비의 웨이크-업 기능에 적용하면 전력소모를 크게 줄이면서 안전한 터치-프리 동작을 구현한다. ST의 검증된 히스토그램 프로세싱 기술을 갖춘 이 센서는 커버 글래스의 크로스토크로 인한 영향을 대폭 줄여 다양한 유형의 전면 패널 뒤에 보이지 않게 쉽게 통합한다. 새롭고 혁신적인 모션 지시계를 통해 대상의 이동 여
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엘리먼트14가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의 전력 관리 솔루션인 nPM1100 전력 관리 IC(PMIC) 및 평가 키트를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nPM1100의 대표적인 응용 분야에는 웨어러블 전자제품, 원격 제어, 개인용 의료기기, 스마트홈 센서가 있다. nPM1100은 충전식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범용 PMIC로 사용할 수 있다. PCB 필요 면적이 약 23mm²로 작은 nPM1100의 컴팩트한 폼 팩터로 인해 고급 웨어러블 기기, 커넥티드 의료 기기, 기타 공간 제약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또한, 모든 설정을 핀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성 소프트웨어가 필요없다. 엘리먼트14에 포함된 노르딕 nPM1100 제품 중 하나인 nPM1100-CAAA는 효율적인 듀얼 모드 구성이 가능한 벅 레귤레이터 및 내장형 배터리 충전기를 탑재한 초소형 폼 팩터 전용 전력 관리 IC다. 이 제품은 노르딕의 시스템온칩에 대한 보완 컴포넌트로 설계됐으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는 동시에 고효율성 및 초저 대기 전류를 통해 배터리 수명을 극대화한다. 기타 기능으로는 과전압 보호,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머신비전 전문기업 코그넥스가 머신비전 ‘비전프로(VisionPro) 딥러닝 2.0’을 출시한다. '비전프로 딥러닝'은 ViDi, 수아킷(SuaKIT), 그리고 비전프로의 장점만을 결합한 새로운 머신비전 소프트웨어로, 공장 자동화를 위해 설계된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을 제공한다. 현장에서 테스트를 거친 알고리즘은 머신비전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성능 저하 없이 신경망 트레이닝을 간소화하는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기존의 머신비전으로는 까다롭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해결하고, 육안 검사로는 불가능한 일관성과 속도를 제공한다. 비전프로 딥러닝의 레드 분석(Red Analyze) 툴은 결함 감지와 세그먼테이션을 위한 기능이다. 비전프로 딥러닝 2.0은 '레드: 하이 디테일 모드'가 추가되어, 보다 정확한 결함 측정이 가능해졌다. 또한, 포커스 모드와 하이 디테일 모드 간 전환에서 추가적인 이미지 라벨링이 필요하지 않아 두 가지 딥러닝 아키텍처를 빠르게 비교하여 최적의 결과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비전프로 딥러닝 2.0의 레드: 하이 디테일 모드는 기존의 포커스 모드보다 5~25% 정도 더 정확한 결함 크기 및 형상 측정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서울반도체는 LED 산업의 2세대 기술 중 하나인 와이캅(WICOP)기술을 적용해 경쟁사 제품 대비 10% 밝고 기존 하이파워 제품과의 교체가 용이한 신제품 ‘Z5M4 모델’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기존 버티컬칩 개발 기업들이 형성해 놓은 20억 불(2조 3천억) 규모의 가로등, 보안등, 식물 생장 조명등의 하이파워 시장으로의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신제품 ‘Z5M4’는 기존 하이파워 제품과 1:1 호환이 용이하도록 설계됐으며, 방열 구조가 우수해 고광도 고효율에 적합한 하이파워 패키지다. 업계 최고 수준인 175루멘퍼와트(lm/W)의 높은 광 효율을 제공하며 10만 시간까지 사용 가능하다. 서울반도체는 2019년과 2021년, 신제품에 적용된 와이캅 기술을 침해한 필립스 TV와 13개 자동차 조명 브랜드를 상대로 영구적 판매 금지 판결을 받아내는 등 서울반도체만의 핵심 특허 기술로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서울반도체 관계자는 "조명용 Z5M4는 그동안 버티컬 기술 개발기업들이 독식하던 20억 불 시장을 빠르게 대체하며 확대해 갈 것이다. 이 기술 제품은 조명뿐만 아니라 IT의 플래시, 자동차 조명에 이어 자연광 스펙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리얼텍(Realtek)이 ‘드래곤(Dragon) 스마트 대역폭 최적화 기술’을 적용한 2.5G 이더넷 컨트롤러와 와이파이 6(Wi-Fi 6) 솔루션을 출시했다. 소비자는 각 브랜드에서 출시한 개별 마더보드, 노트북 컴퓨터, NIC의 네트워크 사양을 통해 제품 구매 시 해당 제품 모델이 리얼텍의 드래곤 대역폭 컨트롤러와 드라이버를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온라인 학습, 방송, 화상회의, 온라인 게임에서 인터넷을 원활하게 연결해 향상된 경험을 제공하다. 드래곤은 리얼텍이 독점 개발한 대역폭 최적화 기술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모두 설계 및 개발됐다. 이는 소프트웨어 전용 설계에 비해 대역폭을 더 높은 수준으로 최적화한다. 드래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작업 모드’를 활성화할 경우, 소프트웨어는 작업에 사용되는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면서 작업 및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게임 모드’를 활성화하면, 소프트웨어는 온라인 게임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온라인 게임의 연결 속도를 최적화하여 지연이나 대역폭 문제를 처리한다. 이외
헬로티 조상록 기자 |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메이커 제조사 포던테크가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소형압출기 '필리봇(FILIBOT) H400)'을 출시한다. 필리봇 H400은 소형(무게 12kg, 크기 195×440×270(㎜))으로 설계돼 데스크톱용으로 공간 제약 없이 소재 개발·시험·연구가 쉽다. 압출용으로 사용하는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에 나노 분말의 철·구리·텅스텐 등 이종 합금을 혼연할 수 있으며 분산이 이뤄져 필라멘트화가 가능하다. 필리봇 H400, H450은 기존 필리봇 H303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혼연 시 분산 효과가 크도록 업그레이드됐다. 또 실린더 내부 스크루에 남은 이물질 제거 시 더 빠르게 클린이 가능해 다양한 원료의 시험·연구 시간을 줄여주고, 사용도 쉽고 편리하다. 기존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머가 범용 폴리머에 한정됐다면 이번에 출시된 모델은 엔지니어링 폴리머, 슈퍼엔지니어링 폴리머, 나노 크기의 이종 합금까지 다양한 원료의 필라멘트를 제작할 수 있다. 필리봇 H400, H450은 에어쿨스테이션(직경 제어 보조 장치)과 노즐을 추가 장착해 사용자 편의도 극대화했다. 필리봇 H400은 최대 용융점이 450℃로 PA, PO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높은 전류 출력과 45ns의 전파지연을 갖춘 STDRIVEG600 하프-브리지 게이트 드라이버를 출시했다. 이 디바이스는 하이-사이드 및 로우-사이드 간의 출력이 밀접하게 매칭됐으며, GaN 인핸스먼트-모드(Enhancement-Mode) FET의 고주파수 스위칭을 처리한다. STDRIVEG600은 최대 20V에서 N-채널 실리콘 MOSFET를 구동하는 데도 적합하기에 GaN 디바이스에 최대 6V의 게이트 소스 전압을 유연하게 인가하여 낮은 Rds(on)을 보장한다. 이외에 통합 부트스트랩 회로를 갖춰 부품원가를 최소화하고 보드 레이아웃을 간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회로는 동기식 MOSFET을 사용해 부트스트랩 전압이 로직 공급전압, VCC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드라이버가 LDO(Low-Dropout Regulator)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일 전원에서 동작하게 해준다. ±200V/ns의 dV/dt 내성을 갖춘 STDRIVEG600은 까다로운 전기 조건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를 보장한다. 로직 입력은 3.3V까지 CMOS/TTL과 호환돼 호스트 마이크로컨트롤러나 DSP와 쉽게 인터페이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에지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 향상 및 저전력 소비를 동시에 구현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전력 효율성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유연성 및 제품 출시 기간 단축이라는 이점을 제공하는 FPGA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에지 컴퓨팅, 컴퓨터 비전 및 산업 제어 알고리즘은 FPGA 하드웨어 지식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개발자에 의해 기본적으로 C++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개발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C++ 알고리즘을 FPGA 최적화된 RTL(Register Transfer Level) 코드로 직접 변환해 생산성과 설계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HLS(High Level Synthesis) 디자인 워크플로우인 SmartHLS를 PolarFire FPGA 제품군에 새롭게 추가했다. 마이크로칩의 FPGA 사업부 부사장인 브루스 와이어(Bruce Weyer)는 "SmartHLS는 Libero SoC 디자인 툴 스위트를 개선하는 동시에, 다양한 알고리즘 개발자 커뮤니티가 FPGA 하드웨어 전문성 없이도 수상 경력에 빛나는 마이크로칩의 미드레인지 PolarFire 및 PolarFire SoC 플랫폼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두산이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 발전효율을 지닌 건물주택용 10kW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개발을 완료하고, 2022년부터 출시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10kW SOFC는 기존 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제품 대비, 이번 SOFC 제품의 전력 발전효율은 40%이상 높다. 또한 기존 시중의 5kW이하급 SOFC 제품들과 크기가 비슷해 약 50%정도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제품은 기술 개발 단계에서부터 국내 서플라이 체인(Supply Chain)을 확보해, 국내 부품업체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두산 퓨얼셀파워BU 김덕현 BU장은 “내부적으로 테스트한 결과 이번 제품의 전력 발전효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자부할 수 있다”면서, “열과 전기를 함께 생산할 수 있는 PEMFC 제품과 고효율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SOFC 제품을 통해 건물주〮택용 연료전지 시장을 리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두산의 건물주〮택용 연료전지 사업을 담당하는 퓨얼셀파워BU는 2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이하 에이디링크)는 첫번째 서버급 PXIe 컨트롤러인 인텔 제온 E-2276ME 기반 'PXIe-3988'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최신 인텔 코어 프로세서와 최대 64GB의 DDR4 2400MHz 메모리를 결합한 PXIe-3988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여러 컴퓨팅 엔진을 탑재하고 4개의 독립적인 작업을 동시에 실행한다. PXI 익스프레스 기반 테스트 시스템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PXIe-3988은 다양한 테스트 및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정적인 플랫폼이다. 에이디링크 IoT 솔루션 및 테크놀로지 사업부 디렉터 제레미 우(Jeremy Wu)는 "여러 산업에서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고객들은 전기차, 통신, 반도체, 데이터 센터, 광학 등 산업 분야에서 높은 성능의 애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하고 있다. PXIe-3988은 이러한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강력하면서 경제적인 테스트 및 측정 기술이다” 라고 말했다. 항공우주에서 반도체까지 다양한 산업의 시스템 통합업체 및 장비 제조업체는 컴퓨팅 집약적인 워크로드에 PXIe-3988을 사용한다. 프로세싱 로드를 6개의 제온 코어에 분산시키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코그넥스는 가장 난이도 높은 비전 애플리케이션의 결함 검사를 위한 PC 기반 비전 소프트웨어인 ‘비전프로(VisionPro) 10’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비전프로 10은 스마트라인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GUI(퀵빌드) 환경이 개선되었다. 또한 ID 툴 업데이트, 메모리 및 리소스 관리 개선, 코그넥스 딥러닝과의 연동, C# 및 C++ API가 추가됐다. 비전프로 10은 종합적인 개발 환경에 업계 최고의 비전 기술을 결합한 소프트웨어로 물체의 위치판별, 결함 검사, 계측 및 식별을 비롯한 까다로운 비전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 직관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방대한 툴 프로토타입(시제품)을 활용해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핵심 기능에 규칙 기반, 지능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해 픽셀 크기보다 더 작고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 툴과 딥러닝 기술을 포함해 비전 과제를 지원하기 위한 미래 지향적인 설계를 갖추고 있다. 비전프로 10 스마트 툴은 PC 비전 환경에서 업계 최초로 제공되는 솔루션이다. 스마트 툴에는 2D 비전과 딥러닝 기술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규칙 기반 비전 및 머신 러닝에서 최상의 기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