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설로봇이 이달 17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개막한 ‘GTC 2025(GPU Technology Conference)’ 현장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로보틱스 솔루션과 그 파트너십 사례를 공개했다. GTC는 미국 반도체 설계 업체 엔비디아(NVIDIA)가 주최하는 연례 개발자 행사다. 유니버설로봇은 모기업 테라다인로보틱스와 이 자리에 참가했다. UR AI 액셀러레이터(UR AI Accererator)를 필두로 최첨단 AI 로보틱스 기술을 강조했다. UR AI 액셀러레이터는 협동로봇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 툴킷이다. 유니버설로봇 차세대 소프트웨어 플랫폼 ‘폴리스코프 X(PolyScope X)’와 연동된다. 이를 통해 AI 분야 개발자는 제품·솔루션 출시 기간(TTM) 단축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기술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등 기술을 협동로봇과 융합해 지능적인 공정 수행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물체 인식, 작업 경로 설정, 자율·적응형 공정 수행까지 로봇에 폭넓은 기능을 주입할 수 있다. UR AI 액셀러레이터는 엔비디아와의 협
여러 빅테크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에 시선을 돌린 가운데, 이 로봇을 구현할 다양한 연계 기술이 지속 조명되고 있다. 이 차세대 로봇은 인간의 생각과 움직임을 그대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로봇 최종 진화형’으로 기대받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로봇의 인지를 담당하는 인공지능(AI)부터 구동부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분까지 수많은 기술을 아우르는 기술 총체로 인식된다. 그만큼 글로벌 로보틱스 업계가 하나의 관점에서 융화돼야 함을 시사한다. 이달 12일 ‘한·중·베 로봇융합기술 컨퍼런스 2025’가 열렸다. 해당 콘퍼런스는 올해 35회 개막을 맞은 산업 자동화 축제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한국·중국·베트남 3개국의 로봇 전문가가 연사로 나서 로보틱스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이 자리에는 한국로봇산업협회·Bejaguar·호치민자동화협회 등 산·연 관계자가 로봇 업계 동향부터 휴머노이드 로봇 실현 방향성까지 다양한 관점을 다뤘다. 이어 브릴스·티라로보틱스·테솔로·픽잇코리아·세이프틱스 등 국내 로보틱스 고도화에
메타·오픈AI·애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진출 본격화 삼성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펀드’, 업계 최초 출시 글로벌 컴퓨팅 하드웨어 업체 엔비디아의 수장 젠슨 황(Jensen Huang)이 말한 미래 변혁론이다. 젠슨 황은 올해 1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기조연설에서 이 같이 말하면서, 로보틱스와 자율주행 분야에서 수혜를 받을 것이라 내다봤다. 피지컬 AI시대 도래 피지컬 AI는 물리적 객체가 인간처럼 다양한 프로세스를 정밀하게 수행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이 과정에서 인간 수준의 능력을 갖춘 인공지능(AI)이 활용된다. 덕분에 인간과의 상호작용 또한 가능하다. 젠슨 황은 피지컬 AI의 물리적 객체로 로봇·모빌리티를 주요하게 꼽은 것이다. 특히 로보틱스 분야에서 끝판왕으로 인식되는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을 구현하는 기술로 개념을 정립하게 됐다. 휴머노이드 로봇, 글로벌 빅테크의 차세대 격전지 이처럼 이미 2020년 초부터 로보틱스 영역에서 화두로 올랐던 휴머노이드 로봇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손길을 받고 있다. 미국 자동차 업체 테슬라를 시작으로, 구글·메타·오픈AI·애플 등이 줄지어
반도하이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톱로라체인(Insert Cover-Top Roller Chain, 이하 ICTR) 장비를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반도하이텍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톱로라체인(ICTR)은 불규칙 바닥형상 및 고속 이동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체인이다. 외부 충격에 파손이 잘 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여 롤라를 잡아주는 덥개 방식의 상부 커버로 제작했다고 밝혔다. 특히 체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체인에 Cap 수지가 착탈식으로 조립되어 사용 중에도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다. 반도하이텍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요한 체인 제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및 공급하는 기업으로, 산업 기계 설비 운전에 필요한 구동용 체인과 물류 및 생산 라인에 사용되는 컨베이어용 체인, 기계 내부 동력전달용 체인 등을 생산
레이저발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REX 400 장비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레이저발코리아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AREX 400은 화이버 레이저 기술을 기반으로 한 부품 마킹(DPM) 어플리케이션의 전용 레이저 마커 제품군이다. AREX 400은 IP64 산업 등급을 가지고 마킹 헤드, 고유 통신 프로토콜 및 내장 안전 레이저 끄기(SLO)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한편 레이저발코리아는 레이저 기계 전문 제조 및 공급 업체로, 유럽 데이터로직사의 소스를 사용하여 레이저 마킹기를 선보이고 있다. 더불어 정밀한 용접 작업을 위한 레이저 용접기를 생산 및 공급하며 이 외에도 레이저 커팅기, 보호 시트 등 IT 분야와 일반 산업 분야에서 레이저 관련 제품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
M-VISION(이하 엠비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동차 전륜8속 검사기를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엠비젼이 이번 AW 2025에서 소개한 자동차 전륜8속 검사기는 사각 돔 조명과 링 조명을 결합하여 구성한 전륜8속 외관 검사기로, 외관 찍힘 및 부품 누락과 QR인식 등 다양한 불량 유형 복합 검사를 가능하게 했다. 특히 고출력 사각 돔 조명으로 렌즈 심도를 확보하였으며 Cognex ViDi 프로그램을 이용한 딥러닝 프로세싱을 구성했다. 한편, 엠비젼은 편광 센서 기반의 Align 하드웨어 및 딥 러닝을 적용한 고정밀도 소프트웨어 개발을 시작으로 광학계 모듈과 자율주행차용 편광 비전센서를 개발하였으며, 반도체 크랙 검출을 위한 SWIR 기반의 딥러닝 검사 시스템과 더불어 PVC 창호용 형재 외관 검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Daitron Korea(이하 다이트론 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NIR 3CMOS 카메라를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다이트론 코리아가 이번 AW 2025에서 공개한 NIR 3CMOS 카메라는 FS-3200T-10GE-NNC 멀티 스펙트럼 프리즘이 장비이다. 단일 카메라에서 세 가지 서로 다른 스펙트럼 대역의 이미지를 동시에 캡쳐 기능을 제공하고 단일 케이블에서 컬러 및 NIR 이미지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단일 설정으로 여러 가지 검사 스테이션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이트론 코리아는 산업용 머신비전 제품을 포함한 자동화 부품, 첨단 차세대 반도체 소자 및 각종 전자부품을 제공하고 반도체 설비를 더불어 환경 관련 설비 및 소재, 재료들을 수출입한다. 특히 카메라와 조명, 렌즈, 프레임그래버, 소프트웨어 등
바심(이하 VASIM)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로봇 BODA RAS(UR) 솔루션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바심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하는 BODA RAS(UR) 솔루션은 UR 시리즈 협동 로봇으로, ▲UR3e, ▲UR5e, ▲UR10e, ▲UR16e가 있다. UR 시리즈에는 초소형, 초경량 로봇부터 중형 작업을 위해 설계된 경량 산업용 협동 로봇과 16kg의 높은 가반하중을 가지고 고중량 소재 핸들링 및 포장이 가능한 로봇까지 존재하며 바심에서는 로봇과 관련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한편 바심은 자동화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으로, 현장 맞춤형 설비로 자동화를 실현한다. 특히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로봇 시스템을 이루고 있으며 식품, 자동차, 반도체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머신 비전 기술을 활용한 품질 관리
대곤 코퍼레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Pick-up Tracking System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대곤 코퍼레이션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Pick-up Tracking System 솔루션은 스마트 카메라 In-Sight 8500을 활용하여 간편한 시스템 구성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함께 AI 기반 고해상도 검사를 제공하여 고해상도 고속 카메라와 딥러닝 기반의 결함을 검사하도록 했다. 또한 AI 알고리즘으로 미세 결함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출하여 생산 품질 향상 또한 가능하다. 한편, 대곤 코퍼레이션은 모션 제어, 머신 비전, 레이저 응용 기술 및 FA(Factory Automation) 컴포넌트와 솔루션을 통하여 제품 검사 및 품질 관리 지원, 공장 자동화에 필요한 부품 및 산업용 응용 제품 개발
FAS(이하 에프에이에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AD 파일 통한 측정 데이터 생성 검사 과정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프에이에스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CAD 데이터 생성은 코드 없이 시각화로만 진행되며 그래픽화, 모듈화 인터페이스로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구성했다. 이는 최단 2시간 내에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Mech-Eye LNX 시리즈 제품은 Mech-MSR 소프트웨어와 호환되어 호환성 개발 작업 없이 측정 및 검사 시스템 구현 또한 가능하다. 한편, 에프에이에스는 CIS 모듈 판매를 시작으로 비전 카메라 및 고정밀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제 2차 전지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PCB, 필름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 제품 검사용 시스템으로 활용된다. 이와 함께 OPT 등 관련
ICORE(이하 아이코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트로브 컨트롤러 iPulse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이코어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스트로브 컨트롤러 iPulse 시리즈는 LED 조명 제어 장비로, 고속 전류 제어를 통해 짧은 시간 외부 신호와 동기화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최대 전류 200A, 최대 출력 8,000W로 고전류를 지원하며, 오버드라이브 기능을 통해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할 때 모션 블러 현상을 제거 및 뚜렷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한편, 아이코어는 스트로브 컨트롤러, 오토 포커스 모듈, 고휘도 조명 및 리피터, 스플리터 등 다양한 머신비전 핵심 부품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스마트 팩토리와 2차 전지, 디스플레이 검사 및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
NOVITEC(이하 노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I-Nova2 Motor LED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노비텍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I-Nova2 Motor LED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왜곡이나 잔상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초점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균일한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조명 설치 없이 제품 결함을 식별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실시간 비디오 출력이 가능하며 적외선과 백색 컬러 옵션 선택을 통해 조명 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노비텍은 머신비전 및 ITS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산업용 2D, 3D 카메라와 초정밀 광학 센서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반도체, ▲로봇 비전, ▲자동화 공정,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머신 비전 애플리케이션 관련 제품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ITS 및
NEXBER(이하 넥스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SWIR 텔레센트릭 렌즈(Telecentric Len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넥스버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텔레센트릭 렌즈는 머신 비전 분야에서 물체의 크기와 형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원근 왜곡을 최소화하여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가 변해도 동일한 크기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한다. 텔레센트릭 렌즈는 일관된 배율을 유지함으로써 렌즈와 물체 간 거리가 변해도 배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치수 측정 및 결함 검사 등 정밀한 검사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편 넥스버는 머신 비전 시스템 분야와 비전 및 FA 컴포넌트 사업에 주력하며, 산업 설비의 무인 자동화, 생산성 향상을 위해 반도체 및 휴대폰, 자동차, 식음료 등 산업 분야 속 검
QT Group(이하 큐티그룹)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3D 공간 UI 가상 환경 시뮬레이션을 제공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큐티그룹이 이번 AW 2025에서 폭넓은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하여 실시간 인터랙티브 기능을 제공한다. 큐라이트의 주행 시뮬레이션 셋업은 몰입형 3D 환경과 2D 컨트롤을 위한 두 개의 상호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그래픽 통합의 성능을 선보인다. 특히 큐티그룹의 실시간 랜더링은 Qt 프레임워크의 3D 엔진을 보여주며, 3D 저작 도구를 통해 생성된 비주얼 에셋은 디자인 스튜디오로 임포트 된다고 밝혔다. 한편, 큐티그룹은 핀란드 에스포에 본사를 둔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애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크로스 플랫폼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자동차, 항공, 해양, 농업 등 다양한 산업 분
Qlight(이하 큐라이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다기능 LED 시그널 타워램프 제품을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큐라이트가 이번 AW 2025에서 공개한 LED 시그널 타워램프 제품 라인업은 7여종이 넘게 구성됐다. 특히 LED 점등/점멸형 시그널 타워램프은 사용 목적에 따른 시청각 신호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부저 내장 가능 제품으로 설치 환경에 따라 외경 45, 56, 80mm로 다양하게 선정 가능하다. 이외에도 모듈형 LED 시그널 타워램프의 경우, 별도의 공구 없이 단별 색상 변경이 가능하고 모듈 추가 또한 가능하다. 한편, 큐라이트는 1986년 창업 이래 시청각 정보기기와 산업용 LED 조명등을 생산하여, 산업 안전 및 효율화를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LED광원, ▲방열 기술, ▲방폭 구조 등의 기술 특허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