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KT(회장 황창규)는 LTE 전국망에 배터리 절감 기술((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이하 C-DRX)을 적용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최대 45%까지 늘릴 수 있게 했다고 12일 밝혔다. KT는 배터리 절감 기술 소개와 함께 새로운 브랜드 캠페인 ‘사람. 기술(PEOPLE. TECHNOLOGY)’도 시작했다.
KT에 따르면 C-DRX는 배터리 용량을 물리적으로 늘리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배터리 사용시간을 극대화 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연결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통신기능을 주기적으로 저전력 모드로 전환시켜 배터리 사용량을 줄여준다. 기존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데이터 이용중에 스마트폰 모뎀과 통신사 기지국간 통신이 끊김 없이 지속된 것에 비해 C-DRX 환경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주기를 최적으로 줄여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가령 이용자가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을 보고 있는 상황에서도 기지국과의 지속적인 통신이 아닌 최적으로 줄여진 주기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서비스는 끊김 없이 이용하면서 배터리 이용량은 줄일 수 있다.
이는 고급 세단에 적용된 ISG(Idle Stop&Go)과 유사한 방식으로 차량 정차시 불필요한 엔진구동을 멈춰 연료 소모를 줄이는 것처럼 스마트폰에서 실제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없을 때 네트워크 접속을 최소화하여 배터리를 절감한다고 KT는 설명했다.
C-DRX는 글로벌 LTE 표준기관인 3GPP에서 제정한 기술로 이미 다수 글로벌 통신사들이 적용하고 있다. 문제는 단순히 적용할 경우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이다. KT는 지난 2년간 지속적인 연구와 테스트를 통해 다양한 문제점들을 개선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최상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배터리 절감효과까지 누릴 수 있도록 네트워크 최적화에 성공했다는 설명이다.
배터리가 절감되는 정도는 스마트폰 모델, 배터리 열화수준, 무선환경, 설치된 앱 수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동일조건에서는 그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난다는게 KT 설명.
특히, ICT 표준화 및 시험인증단체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갤럭시S8 모델로 배터리 절감 기술 적용 전후 배터리 절감 효과를 테스트한 결과 이용시간이 최대 4시간 27분(45%)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KT는 전했다.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 서비스(유튜브 동영상 스트리밍)를 지속 이용해 테스트한 결과 C-DRX를 적용하지 않은 갤럭시S8의 경우 최소 9시간 57분, 최대 10시간 36분 지속된 반면, C-DRX를 적용한 갤럭시S8의 경우 최대 14시간 24분간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트렌드모니터’가 2016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이용자의 79.9%가 스마트폰 배터리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62.6%가 배터리 부족 및 방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KT는 ‘People. Technology.’ 실현을 선언하고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기술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화두로 던졌다. KT의 이번 캠페인은 ‘사람을 생각하는 따뜻한 혁신 기술’을 주제로 ‘따뜻한 혁신 기술 1등 기업’의 이미지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KT는 지난 1월 ‘기가지니(GiGA Genie)’ 출시에 이어 이번 배터리 절감 기술 전국망 적용까지, 실질적으로 고객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을 지속 개발해 ‘따뜻한 혁신기술 시대’를 열어갈 예정이다.
2018년 평창올림픽 5G 시범서비스 제공, 2019년 5G 세계 최초 상용화를 통해 글로벌 통신시장 선도와 사람 중심의 ICT 발전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KT 강국현 마케팅부문장은 “최근 3년간 1인당 LTE 데이터 트래픽이 260% 급증하는 상황에서 이번 KT의 배터리 절감 기술 전국망 적용이 스마트폰을 더 오래 이용하고 싶은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사람을 생각하는 따뜻한 혁신기술로 차별화된 고객 만족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