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삼성전자가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로봇 사업을 낙점했다. 그동안 시제품으로 선보였던 삼성봇 양산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했다. 올해 초 김현석 전 삼성전자 CE(소비자가전) 사장 직속으로 로봇 TF를 신설해 사업화 가능성을 타진해 본 뒤 이번에 상설 조직으로 바꾼 것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로봇을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동안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반도체와 가전, 모바일 이외에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차원에서 신수종 사업을 발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에는 여러 신사업 TF가 있다"면서 "임시조직인 TF를 상설팀으로 격상한 것은 사업화를 통해 제품을 출시하겠다는 의지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삼성은 그동안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에서 자체 연구 중인 로봇을 선보여왔다. 2019년 CES에서는 돌봄 로봇 '삼성봇 케어'를 공개했고, 올해 1월에는 집안일을 돕는 가정용 서비스 로봇 '삼성봇 핸디'를 선보였다. 이외에도 쇼핑몰·음식점 등에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전자가 내년 1월 5일부터 8일까지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22에 참가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디지털 경험을 선보인다. LG전자는 이전 CES 전시회와는 다르게 이번에는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참가한다. CES 2022가 열리는 美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내 LG전자 부스는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활용해 제품을 체험하고 볼거리를 즐기는 공간으로 꾸며진다. 관람객은 부스 곳곳에 설치된 뷰 포인트(View Point)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해 LG 올레드 TV, LG 오브제컬렉션 얼음정수기냉장고, 식물생활가전 LG 틔운(tiiun) 등 CES 혁신상을 수상한 제품을 비롯해 이전 CES 에서 선보였던 초대형 올레드 조형물을 가상으로 체험해볼 수 있다. 또 LG전자는 누구나 쉽게 관람할 수 있는 온라인 전시관을 운영한다. 오프라인 부스에도 관람객들이 스마트 기기로 QR 코드를 스캔해 간편하게 온라인 전시장을 둘러볼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했다. 뿐만 아니라 LG전자는 환경을 생각하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2000㎡ 규모의 전시 공간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나무찌꺼
[헬로티] 로보링크 미국법인은 한국 교육용 로봇 기업들과 미주 시장에 대한 협업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 로보링크 로보링크는 교육용 드론·교육용 로봇 개발 업체다. 로보링크는 한국의 드론 전문업체 B로봇과 협업해 교육용 코딩 드론을 개발해 미국 시장 등 지금까지 5만여 대의 제품을 공급했다. 최근에는 코스닥 등록업체인 R사와 협업 유아용 교육제품을 클라우드 펀딩업체인 킥스타터를 통해 런칭한 후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할 예정이라 밝혔다. 로보링크는 2016년 CES에서 코딩교육용 드론으로 ABC, CNBC 등 미국 언론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2019년에는 AI·코딩 교육용 자율자동차로 CES 2019 로봇·드론 부문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고 전했다. 작년에는 Wall Street Journal의 에듀텍 제품 Top 5에 추천된 바 있다. 특히 최근에는 펜데믹 상황에서 준비해온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활용 실시간 영어로 AI·코딩 교육을 시행해 초·중등 학교와 학부모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홍한솔 미국법인 대표는 “미국 시장은 교육의 특성상
[헬로티] 코트라(KOTRA)가 롯데하이마트와 이달 17일부터 30일까지 ‘2021 혁신상품 체험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 개최된 CES 2021(출처 : CES 2021 홈페이지) KOTRA와 롯데하이마트가 서울 신청동 롯데하이마트 월드타워점에서 지난 1월 온라인으로 열린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21’에 KOTRA가 구성한 통합 한국관의 혁신 제품들을 선보인다. 이번 행사는 ‘CES 2021’에 출품된 우수한 제품들을 국내 소비자들에게 체험하는 기회를 주고자 기획됐다고 KOTRA는 밝혔다. KOTRA와 롯데하이마트는 ‘CES 2021’ 통합 한국관 참가기업들을 중심으로 사전 참가 신청을 받아 심사를 통해 제품을 선정했다. 이번 체험관에는 KOTRA 통합 한국관 참가기업 14개사를 비롯해 총 20개사가 참가한다. 주요 품목으로는 ▲건강·의료기기(8개사) ▲뷰티(3개사) ▲정보통신 기기(4개사) ▲펫테크 및 기타(5개사) 등이다. 체험관 참가기업들은 행사 종료 후 소비자의 반응 등을 토대로 롯데하이마트에 입점할 기회를 얻게 된다. KOT
[헬로티] 산업연구원은 'CES 2021, 디지털 전환과 한국산업의 과제' 보고서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지금 과감한 혁신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확산 이후 일상생활 패턴이 '집안과 비대면'으로 변화되면서 올해 CES 2021는 AI, 5G의 확산·융합의 보편화와 이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의 성과들이 중점으로 이뤄졌다. 이번 CES 2021에서는 AI·5G 기반의 홈코노미, 바이오헬스, 친환경 혁신이 주요 키워드로 부각됐고, AI가 일상화된 현 시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디지털 기반의 비대면·온라인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AI 및 데이터 시장의 급성장이 전망됐다. 하지만 이번 산업연구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미국, 중국 등 주요국에 비해 AI 기술수준이 낮고 데이터산업 활성화가 더디다고 지적했다. 이번 CES 2021에서 한국은 온라인 개최의 영향으로 참가기업이 감소했지만, 작년 수준인 102개 혁신상을 수상했고 이 중 7개 제품이 최고혁신상을 받으며 세계적 위상을 확인했다. 그러나 산업연구원 보고서에서는 국대 대기업의 혁신상 수상 실적은 70개로
[헬로티] 삼성전자 Neo QLED 등 TV·모바일·AI청소기 등 호평...LG 올레드 TV, 7년 연속으로 'CES 최고 TV' 선정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1'(1.11∼14)가 마무리된 가운데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제품들이 호평을 받으며 관련 상을 휩쓸었다. 삼성전자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수여하는 44개의 'CES 혁신상'을 포함해 미디어 어워드까지 총 173개 상을, LG전자는 CTA의 'CES 혁신상' 24개를 포함해 총 139개 상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기존 QLED의 화질을 개선한 'Neo QLED' TV가 CNN, 디지털 트렌드(Digital Trends), 엔가젯(Engadget), 씨넷(CNET), 와이어드(Wired) 등 현지 매체에서 'CES 2021 최고의 제품'으로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CNN은 "빛 번짐 없이 업스케일링된 훌륭한 화질을 구현하는 Neo QLED는 기존 TV들을 모두 능가하는 최고의 TV라는 확신이 든다"고 호평했다.' 사진. CES 2021에서 선보인 삼성전자의 'Neo QLED' TV (출처:연합뉴스) 엔가젯은 TV에 카메라를 연결해 자
[헬로티] ▲윌로그는 서현이 개발한 QR 기반의 데이터 로거로 생산지에서 소비자 단계까지 모든 물류의 흐름을 투명하게 기록한다. (출처 : 연합뉴스) IT기반 물류 관리 솔루션 전문기업 서현이 자사 제품 ‘윌로그’를 울산광역시와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의 지원을 받아 세계 최대 소비자 가전기술 전시회 ‘CES 2021’에 출품한다고 밝혔다. 윌로그는 서현이 개발한 QR 기반의 데이터 로거로 생산지에서 소비자 단계까지 모든 물류의 흐름을 투명하게 기록한다. 온도, 습도, 충격, 조도, 위치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믿을 수 있는 투명한 기준을 제시해 주는 것이 특징이다. 윌로그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담길 때마다 계속해서 새로운 QR코드를 생성해 데이터 조작으로부터 안전하며 물류 운송과정 중 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현 관계자는 “최근 콜드체인의 원칙을 지키지 않거나 타코메타 조작으로 문제가 된 상온 독감 백신 유통 사태 등을 통해, 투명한 물류관리와 콜드체인 시스템 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윌로그가 업계의 큰 관
[헬로티] '첨단 기술의 장' CES 첫 온라인 개최…삼성·LG전자 홈코노미 혁신 가전 경쟁 11일(미국 현지시간)부터 나흘간 사상 처음으로 온라인 개최되는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1'을 한국 기업들이 주도할 전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탓에 행사가 전면으로 열리며 예년보다 참가 기업은 많이 줄었지만, 주최국인 미국 다음으로는 한국 기업들이 가장 많이 참여해 신기술·제품을 뽐낼 예정이다. 사진.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CG) (출처:연합뉴스) 10일 CES를 주최하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에 따르면 올해 행사에 참가하는 기업은 1천951개로, 지난해보다 절반 이하로 줄었다. 특히 한때 CES를 휩쓸었던 중국 기업들이 대거 불참한다. 이에 따라 미국 기업이 567곳, 한국 기업이 340곳 참가해 CES를 이끈다. 우리 기업들의 참여 면면도 대기업부터 중소·스타트업까지 다양하다. CES 2021에서는 코로나19로 집이 주거 공간을 넘어 다양한 경제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확대했다는 '홈코노미'(Homeconomy)가 핵심 주제로
[헬로티] 그린밸런스와 ESG 성장 위한 E-모빌리티, 차세대 전자산업 등 글로벌 트렌드 현장서 직접 찾아 SK이노베이션은 파이낸셜 스토리 기반 성장 원년인 2021년 강력한 실행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미국 현지시간 11일부터 14일까지 나흘간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CES 2021’에 350여 명의 참관단을 만들어 참여한다고 밝혔다. ‘CES 2021’이 COVID-19 여파로 인해 55년만에 처음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됨에 따라 직접적으로 참가하지 않는 대신, 대규모 참관을 기획한 것이다. 이번 참관단에는 김준 총괄사장, 지동섭 배터리 사업 대표, 노재석 SK아이이테크놀로지 대표, 환경과학기술원 및 전사/각 사업회사의 전략담당 임원을 비롯한 경영진과 구성원 등이 대거 포함되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CES에서 회사가 목표한 파이낸셜 스토리 기반의 ESG 성장을 위해 강력하게 추진하는 그린밸런스 전략을 완성하기 위해 E-모빌리티(E-Mobility)를 비롯한 주요 산업의 글로벌 트렌드를 직접 현장에서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회사가 추진하는 방향의 트렌드와 기술을 가진 기업들과는 협력 방안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출처:연합뉴스) [헬로티] 한글과컴퓨터그룹은 11∼14일 온라인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전시회 'CES 2021'에 참가한다고 11일 밝혔다. 올해로 4년 연속 CES에 참가하는 한컴그룹은 인공지능(AI), 로봇, 드론, 사물인터넷(IoT),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과 솔루션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다. 연내 양산을 목표로 개발 중인 홈서비스 로봇 '토키2(Toki2)', 안면인식 발열 감지 시스템 '하이달(Hi DAL)', 코로나19 등의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들에게 전화를 거는 시스템 '한컴 AI 체크25'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업무 협업 플랫폼 '한컴웍스(Hancom Works)', 무인 드론 운영 시스템 '드론셋(DroneSAT)'을 중심으로 한 드론 충전·격납·배송 서비스 등도 내놓는다. IoT 센서를 활용해 교통 및 주차 정보를 제공하고, 전기차 충전 및 카셰어링 등 미래 교통 서비스도 제공하는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 플랫폼도 소개한다. 한컴그룹은 금·부동산·에너지 등 현물 자산을 디지털 금융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 원격으로 다양한 IoT 기
[헬로티] “자율주행시대 차량 실내 공간 혁명 이끌 것으로 기대” ▲만도의 전자제품 'SbW'는 차량 운전대와 바퀴의 기계적 연결을 전자 신호로 대체한다. (출처 : 만도)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 만도가 ‘CES 2021’ VIT(Vehicle Intelligence & Transportation)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사상 첫 CES 출품 쾌거다. 이번에 혁신상을 수상한 제품은 ‘SbW(자유 장착형 첨단 운전 시스템)’이다. ‘SbW(Steer by wire)’는 순수 전자제품으로, 바퀴와 운전대를 분리시키고 핸들을 돌리는 등의 기계적 움직임을 전자 신호로 대체한다. ‘SbW’는 차량의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 차량 설계가 자유로워질 뿐 아니라 ‘오토 스토우(Auto Stow : 필요할 때 꺼내 쓰는)설계도 가능하다. 자동차 디자인 측면에서 지난 120년간의 난제는 차체(운전하는 공간)와 섀시(차를 움직이는 공간)의 분리였다. 특히 설계 측면에서 다소 자유로운 전기차는 배터리 등 양산 효율과 시스템 제어 자유도
[헬로티] LGU+, CES 온라인 참관에 임직원 600명 접수 LG유플러스는 이달 11일 개최되는 세계 최대 IT·가전전시회 'CES 2021'에 600명의 임직원이 참관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전면 온라인으로 행사가 열린다는 점을 활용해 대규모 참관단이 다양한 키노트 스피치와 온라인 전시관을 둘러보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겠다는 취지다. LG유플러스는 LG전자·삼성전자 등 단말기 제조사의 전시관을 찾아 차세대 5G 디바이스 분야 협력을 고민하고, 버라이즌·NTT 등 글로벌 통신 사업자의 전시관을 찾아 향후 협력 가능한 아이템도 발굴할 예정이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벤츠와 GM 등 자동차 업체는 물론, 레이다·라이다 등 센서 제작 업체의 전시관도 찾아 협력 기회를 찾는다. LG유플러스는 인텔, AMD, 소니 등 기술 기업 전시도 둘러보고 XR 콘텐츠 개발사와 화상회의 솔루션 업체, 디지털헬스 솔루션 및 플랫폼 개발업체 등 신사업 분야에 대해서는 담당 임원이 벤처기업, 스타트업 전시관까지 직접 확인해 시너지를 낼 기술을 찾기로 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올해 회사가 신사업을 통한 성장동력 발굴을 적극
[헬로티] 제품 내구성, 기능성부터 생산에 필요한 전 공정 자체기술로 완성…, 핵심 소재 독립 SK이노베이션은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Flexible Cover Window; 이하 FCW)로 혁신적인 기술력과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받아 ‘웨어러블 테크놀로지(Wearable Technology)’ 분야에서 혁신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FCW는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품 브랜드 이름이다. 스마트폰 화면보호 필름과 유사한 형태의 투명 폴리이미드(CPI; Colorless Poly Imide)에 내구성을 높이는 하드코팅 처리를 한 제품이다. 폴더블폰, 롤러블 TV, 곡면 모니터 등 화면을 접고, 둘둘 말고,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사용된다. 최근들어 폴더블, 롤러블 등 기술이 고급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FCW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원료 합성 노하우부터 필름 제조, 내구성을 높이는 특수 하드코팅, 필름 표면에 미세한 흠집과 지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화학물질에 닿아도 변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성 코팅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인 기술로 완성한 국
[헬로티] 로봇기술 기반 헬스케어 기업 에이치로보틱스가 세계 최대의 소비자 가전·기술 전시회 ‘CES 2021’에서 Health & Wellness 부문 혁신상(Innovation Award)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에이치로보틱스의 원격 재활 솔루션 '리블레스'의 디바이스 (출처 : 에이치로보틱스) 에이치로보틱스는 자사에서 자체 개발한 원격 재활 솔루션 ‘리블레스’가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 기술 전시회로 지난 해에는 전 세계에서 17만5천 명이 참가했을 만큼 큰 행사다. 전 세계 주요 기업과 미디어들이 참석하기에 '테크 분야의 쇼케이스(Showcase)'라고도 불린다.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매년 CES에 출품된 제품 중 가장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효율성이 뛰어난 제품들을 선정해 혁신상을 수여하고 있다. CES 2021에서 Heath & Wellness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에이치로보틱스의 ‘리블레스(Rebless)’는 로봇기술과 IoT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첨단 헬로티] 오는 6월 10일부터 12일까지 중국 상해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CES 아시아 2020이 연기된다. 주최측은 전시 공간에 대해 비용을 지불한 CES 아시아 참관사에게는 수수료 없이 비용을 환불하겠다고 밝혔다. 전미소비자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이하 CTA)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이하 CTA 성명문 전문 CES 아시아를 2015년 중국 상해에서 처음 선보인 이후 매년 성장하며 성과를 이어온 가운데, 올해 CES 아시아 일정을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참관사, 바이어, 미디어, 연사를 비롯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한 결정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전세계적 관심과 영향이 증가하고 있어, CES 아시아와 관계된 모든 사람을 고려한 최선의 결정이라고 사료합니다. CES 아시아와 같은 전시를 기획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참가자가 수많은 시간 및 노력을 투자해야 함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연기 결정을 내렸습니다. CTA는 CES 아시아 일정 연기 정보를 빠른 시일에 전달함으로써, 기업 및 참가자가 전시 참여 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