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미국의 제재로 궁지에 몰린 화웨이 그룹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부문의 역량을 강화하면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4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화웨이는 전날 싱가포르와 홍콩에서 동시에 열린 '화웨이 클라우드 스파크 파운더스 서밋'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스타트업이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1억 달러(약 1150억 원)를 배정하는 내용의 스파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기술 허브인 선전시에 본사를 둔 화웨이는 향후 3년간 아·태 지역의 스타트업 1000곳이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1억 달러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웨이의 이같은 행보는 중국 시장을 넘어 아·태 지역으로 클라우드 부문 서비스를 확대하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화웨이의 장핑안(張平安) 클라우드 부문 CEO는 지난해 스파크 프로그램을 운영한 이후 현재 40개의 스타트업이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치했다면서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지방정부, 벤처 회사, 대학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웨이는 최근 몇 년 새 미국의 제재로 주력 사업인 통신장비와
[헬로티] 2019년12월에 이어 두번째 캐나다 5G 이동통신사업 신규 수주 삼성전자가 캐나다 메이저 이동통신 사업자 '텔러스(TELUS)'의 5G 통신장비 공급사로 선정됐다. 이는 지난 해 12월 캐나다, 2월 미국, 3월 뉴질랜드 등 주요 통신사와의 5G 공급 계약에 이은 네번째 신규 수주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 12월 처음으로 캐나다 시장 진출 이후 전국망 이동통신 사업자인 텔러스에도 5G 통신장비를 공급하면서 캐나다 통신장비 시장에서 메이저 통신벤더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게 됐다. 텔러스 다렌 엔트위슬(Darren Entwistle) CEO는 "통신기술 분야의 오랜 경험과 커넥티비티 분야의 전문성, 첨단 기술 등을 고려해 삼성전자를 공급사로 선정하게 됐다"며 "이번 5G 생태계 확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5G 통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텔러스의 조직적인 역량과 끈기, 선도적인 기상을 증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 전경훈 사장은 "여러 5G 선도국에서 축적해 온 상용화 경험과 독보적인 5G 네트워크 솔루션을 바탕으로 텔러스가 캐나다에서 새로운 5G 시대의 새 지평을 열어가는데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텔러스는 199
[첨단 헬로티=이나리 기자] - 인텔 아톰 P5900 출시, 2021년 5G 기지국 칩 시장 40% 점유율 목표 인텔이 지난 2월 25일 5G 네트워크를 위한 10나노미터 기지국용 SOC(System-On-Chip)인 ‘인텔 아톰 P5900’을 출시하면서 2021년까지 5G 기지국에 공급되는 실리콘칩 시장에서 전세계의 40%를 차지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이미 5G 기지국용 칩을 출시하고 있는 화웨이와 삼성전자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5G 통신 장비에 탑재되는 5G 기지국 칩은 아직 초기 단계로 여겨지고 있는 시장이다. 화웨이와 삼성전자는 5G 기지국 칩을 개발해 자사 장비에 탑재하고 있다. 중국의 화웨이(Huawei)는 2019년 1월 스페인에서 개최된 MWC2019에서 처음으로 5G 기지국 전용 칩 ‘텐강’을 출시했으며, 자사 전용칩을 탑재한 5G 네트워크 장비를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화웨이의 5G 텐강 칩은 액티브 전력 증폭기(PAs)와 패시브형 안테나(Passive Antenna) 배열을 소형 안테나로 통합할 수 있으며, 200 MHz대의 고대역폭의 네트워크 구축에도 활용될 수 있다. 화웨이는 전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뉴질랜드 최대 이동통신사업자 스파크(Spark)와 5G 이동통신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가 뉴질랜드에 이동통신 장비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스파크와 협력하여 연내 일부 지역에 5G 상용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국내에서 상용화한 3.5GHz 주파수 대역 5G 기지국(Massive MIMO) 등 통신 장비를 공급하며,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통해 축적한 기술과 대규모 상용망 구축 경험, 네트워크 최적화 노하우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스파크는 2019년부터 삼성전자의 통신 장비, 단말, 핵심 칩 등 엔드-투-엔드 솔루션(End-to-End Solution)에 대한 성능 검증을 통해, 삼성전자 장비의 빠른 속도와 품질, 초저지연 성능 등 실증 시험을 진행해왔다. 스파크 구매부문장 라제쉬 싱(Rajesh Singh)은 “삼성전자는 수년간의 5G 상용화 경험뿐 아니라 혁신적 기술을 바탕으로 가입자들에게 실감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며, “삼성전자 통신 장비를 활용해 안정적 통신 품질,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5G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겠다”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미국 5위 이동통신 사업자인 ‘US 셀룰러(US Cellular)’에게 5G·4G 이동통신 장비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가 US 셀룰러에 이동통신 장비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전역의 가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US 셀룰러는 이미 여러 상용망에서 성능이 증명된 삼성전자의 이동통신 장비를 설치해, 보다 높은 통신품질과 안정적인 실내외 커버리지를 바탕으로 가입자들에게 한 단계 높은 5G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5G 통합형 기지국(Access Unit) 등 3GPP 국제표준 기반의 다양한 5G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5G 통합형 기지국은 무선통신 부분과 디지털통신 부분을 통합한 제품으로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해 가로등, 건물 벽면 등에 손쉽게 설치 가능하고 광케이블 매설 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5G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기지국용 5G 모뎀칩을 실장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최대 10G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80%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미국 이동통신사업자 버라이즌과 5G 기술을 활용한 고정형 무선 엑세스(FWA, Fixed Wireless Access) 서비스 통신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는 버라이즌 자체 통신규격인 5GTF(5G Technology Forum) 기반의 통신장비, 가정용 단말기, 네트워크 설계서비스를 공급할 예정이다. 버라이즌은 2018년 하반기부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며 이는 5G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한 전 세계 첫 번째 상용 서비스다. 버라이즌은 지난 해 7월부터 미국 전역 11개 도시에 5G 고정형 무선 엑세스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이 중 첫 상용 서비스 예정 도시인 새크라멘토를 포함한 7개 도시에 통신장비와 단말기를 공급해왔다. 버라이즌은 향후 5G 고정형 무선 액세스 서비스가 미국 전역 3000만 가구로 확대되며 초고속 인터넷 시장 확산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G 고정형 무선 엑세스 서비스는 초고속 이동통신서비스를 각 가정까지 무선으로 직접 제공하는 기술로 광케이블 매설 공사나 이를 위한 인허가 절차 등이 필요 없다. 또 수개월까지 걸리던 서비스 준비 시간을 몇 시간으로 단축시키면서도 기
[첨단 헬로티] 글로벌 통신 장비 업체인 노키아가 시스코, 주니퍼 네트웍스가 지배하는 코어 라우터 시장에서 속도 경쟁을 통해 분위기 반전시키겠다는 카드를 들고 나왔다. 노키아는 14일(현지시간) 코어 라우터 시장에서 지분 확대를 위해 세계 최고속을 갖춘 네트워크 칩을 공개해 주목된다. 노키아는 이번에 발표한 네트워크 칩을 기반으로 새 라우터 포트폴리오를 선보일 계획이다. 새 제품은 올해 4분기께 출하될 수 있을 전망이다. 노키아는 신제품 출시를 계기로 전통적인 통신 업체들을 넘어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웹스케일 기업들로 영업 기반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전통적인 통신 업체들의 인프라 투자는 고만고만한 수준이지만 웹스케일 시장은 다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 4년간 웹스케일 관련 기업들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자본 투자는 2배가 넘었다. 이들 인터넷 서비스 회사들에선 속도는 넘버원 이슈다. 서비스 역량에 있어 속도는 중량급 변수다. 노키아가 속도 경쟁을 선포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노키아는 최신 FP4 실리콘 칩셋에 대해 초당 2.4테라비트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새 라우터 제품들은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클라우
[헬로티] 삼성전자가 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까탈루냐 콩그레스 센터 (Palau de Congressos de Catalunya)에서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 2017’ 개막에 앞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차세대 5G 통신 상용제품 풀 라인업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5G 서비스를 위한 ▲ 소비자용 단말(Home Router, CPE), ▲ 기지국(5G Radio Base Station) ▲ 차세대 코어네트워크(Next Generation Core) 장비를 선보였다. 개별적인 5G 시제품이 아닌 칩셋부터 단말, 네트워크까지 5G 상용제품 풀 라인업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삼성전자는 강조했다. 이 날 발표자로 나선 삼성전자 북미법인 팀 백스터(Tim Baxter)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다양한 분야 제품과 기술을 보유한 종합적인 ‘5G 기업’이며, 다양한 기기들을 연결해 소비자들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5G 상용 제품 풀 라인업을기반으로 모든 것이 연결된 미래에 어떤 일들이 가능한지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중국 IT 대기업 화웨이가 이스라엘 데이터베이스 보안 및 컴프라이언스 솔루션 스타트업인 헥사티어를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이스라엘 현지 매체인 카탈리스트 보도에 따르면 화웨이의 헥사티어 인수는 4천200만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해졌다. 헥사키어는 DB보안, 다이내믹 데이터 마스킹, 액티비티 모니터링 등이 주특기다. 내부에 설치해 쓰는 온프레이스 솔루션은 물론 클라우드를 겨냥한 DB보안도 지원한다. 지원하는 DB들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SQL 애저, SQL서버, 마이SQL, 포스트그레SQL, 아마존 RDS, 마리아 DB 등이다. 한편 화웨이는 전반적인 사업 호조에 힘입어 올해 매출이 32% 늘어난 748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