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독일에 본사를 둔 터크 그룹은 센서, 필드버스, 제어, 클라우드, 연결 및 인퍼테이스 기술, HMI 및 RFID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 30개 지사와 60개의 세일즈 오피스를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터크코리아는 터크의 한국지사로 공장자동화 구축을 위한 생산 데이터의 인식 및 처리, 전송, 관리까지 포괄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Q. 2021년을 돌아봤을 때 주요 성과와 아쉬웠던 점을 꼽는다면 무엇이 있는가? A. 코로나19로 힘든 해였지만, 터크코리아는 역사상 가장 큰 성과를 이룬 해였다. 성과를 이룬 요인을 꼽자면 인더스트리 4.0에 대한 투자와 코로나19로 인한 무인화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분야에 많은 투자가 있었고 한국의 설비 기술이 적용돼 한국의 기술력이 세계적으로 인정 받았다. 터크코리아도 한국의 기술력 입증과 함께 성장한 것이라 자체 평가한다. 아쉬웠던 점은 서플라이 체인에 대한 문제다. 4/4분기 들어 더욱 악화되고 있는 납기 지연 문제는 실제 생산에 차질을 빚을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1년 서플라
[첨단 헬로티] 터크가 2종 폭발 위험 구역에 설치 가능한 리모트 I/O용 이더넷 게이트웨이 ‘GEN-3G excom’을 출시했다. GEN-3G excom은 폭발 위험 장소의 신호를 높은 데이터 속도로 제어 시스템에 전달해 화재 등의 예상치 못한 사고를 방지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터크의 GEN 3G 게이트웨이으로 Ex 영역에서도 이더넷 통신이 가능해졌다. (사진 : 터크) GEN-3G excom의 컨트롤러와 제어 시스템은 액세스 시도로부터 보호된다. 또, 새로운 GEN-3G 멀티 프로토콜 장치는 수동 개입 없이 Profinet, Ethernet/IP 또는 Modbus TCP 네트워크에서 높은 데이터 속도로 작동한다. 통합 게이트웨이 스위치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서 쉽게 연결하여 링을 형성할 수 있는 선형 토폴로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 및 게이트웨이의 하드웨어 이중화 외에도 excom은 S2 시스템 이중화와 같은 이중화 개념을 지원하여 최대 가용성을 보장한다. excom은 이중화에 대한 기본 표준을 지정하지 않은 프로토콜에 대한 특수 솔루션 제공도 가능하다. 따라서 I/O 시스템은 특정 사이트 또는 플랜트 섹션에서 사용되는
터크(Turck)가 올 하반기를 겨냥해 RFID 인터페이스 모듈, BEEP 프로토콜, M8 패시브 정션 등 새로운 제품군을 최근 선보였다. 터크가 출시한 RFID 인터페이스 모듈은 TBEN-L RFID 모듈에 OPC UA 서버를 탑재해 공장 자동화를 IT로 연결시킨다. BEEP(Backplane Ethernet Extension Protocol)의 경우는 TBEN 및 FEN20 멀티프로토콜 I/O 블록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패시브 정션은 M8 커넥터 디자인으로 업데이트됐다. 터크가 최근 선보인 RFID 인터페이스 모듈 TBEN-L OPC UA. BEEP 프로토콜의 경우, 최대 33개의 TBEN 모듈(1개의 마스터, 32개의 슬레이브)을 연결할 수 있고, 최대 480 바이트의 데이터를 PLC로 보낼 수 있으며, 이들이 한 개의 IP로 가능한 게 특징으로, 이더넷 프로토콜인 Profinet, Ethernet/IP, Modbus TCP 네트워크 내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터크의 새로운 백플레인 이더넷 확장 프로토콜 BEEP. M8 패시브 정션 TB-4MB 및 TB-8M8은 IP67 등급이며, 소형화되었기 때문에 공간 제약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며
[첨단 헬로티] 글로벌 산업자동화 전문기업 터크는 지난 1월 IoT 전문 클라우드 회사인 Beck IPC의 소프트웨어를 최종 인수하기로 했다. Beck IPC는 자동화 업계의 산업용 클라우드 솔루션 기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보유하고 있다. 터크는 이번 기술 인수로 4차 산업혁명의 자동화 파트너로서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되었으며, 곧 고객들에게 안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산업용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예정이다. Beck IPC의 소프트웨어는 터크와의 협업으로 자동화 필드 디바이스와 클라우드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현했다. 특히 이 소프트웨어는 무의미한 빅데이터의 무선 전송이 아닌 ‘스마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예측 유지보수 정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장비의 다운타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 편의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Beck IPC의 CEO 토마스 슈마허는 “터크와의 협업을 통해 자동화 분야에서 모든 산업 부문을 위한 진정한 센서-클라우드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터크의 클라우드 솔루션은 산업 애플리케이션에 맞춰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며, 종단 간
[첨단 헬로티] 터크(TURCK)코리아가 지난 12월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 공장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7’에 참가했다.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가 주최한 ‘스마트 공장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7’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한국형 스마트 공장의 현황과 미래를 살펴보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컨퍼런스는 오전 통합 트랙에서는 신 정부의 스마트공장 추진정책과 글로벌 기업의 동향 및 인력 양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고, 오후에는 적용사례 중심의 공장 지능화 구현 전략, 공장 지능화를 위한 테크놀로지&솔루션, 소프트파워 기반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산학협력 등 3개의 전문 트랙으로 구성되었다. 이중 ㈜터크코리아의 정목해 이사는 공장 지능화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및 솔루션으로 구성된 B트랙에서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스마트 센서 기술’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정목해 이사는 4차 산업혁명에서 터크의 역할을 소개하고 IO-Link 기술 및 실 적용사례들을 발표했다. 특히 밸브 포지션을 추적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인더스트
[첨단 헬로티] 글로벌 산업자동화 전문 기업 터크(TURCK)는 2017년도 전세계 총괄 매출이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말 예상 매출액은 6억 유로를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 뮬하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터크의 Managing Director, Christian Wolf는 “올해 전세계 터크 직원 수는 4,200명에서 4,500명으로 증가했으며, 회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거의 모든 지사에서 두 자릿수의 성장이 기대되며 미국 지사가 2억 7,500만 달러의 성장을 보이며 가장 큰 성과를 보였다.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와 호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중국은 현재 33%의 성장률을 기록했기 때문에 특히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독일의 2020년 기업 전략에 맞춰 터크는 특히 전세계의 솔루션 전문성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터크는 지난 10월에 캐나다에 100% 지분을 보유한 에이전트를 설립하였으며, 핀란드의 RFID 턴키 솔루션 파트너인 빌란트 시스템 인수를 결정하여, 내년1월에
[첨단 헬로티] 터크 그룹(Turck Group)이 핀란드의 UHF RFID 전문업체인 Vilant Systems를 인수해 유럽에서 턴키 솔루션을 제공하는 소수의 UHF RFID 전문업체들과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 원스톱 솔루션 공급업체로써 발돋움할 수 있게 됐다. 터크 그룹 측은 이번 인수로 여러 기술 파트너로 인한 복잡성으로 인해 RFID를 채택하지 않는 중소기업 뿐만 아니라 여러 대륙에 있는 사이트를 보유한 대기업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통합으로 구성된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Vilant Systems는 앞으로 Turck Vilant Systems라는 사명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기존 사무실을 활용할 예정이다. 터크와 Vilant는 이미 Vilant의 철도 및 제지산업 기반 솔루션을 비롯한 여러 프로젝트에서 파트너십을 맺고 협력해왔다. 터크의 경우, HF 및 UHF RFID 리더를 비롯해, 주로 자동차의 물류, 제조 시장에서 사용되는 태그를 비롯해 수많은 하드웨어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터크는 자동차 회사와 같은 대형 고객이 여러 제조 또는 공급업체 사이트에서 전세계적으로 단일 비즈니스에서 제공할 수 있는 RFID 기
스마트공장 전문업체인 터크코리아는 최근 RFID 모듈인 TBEN-L-DCC(디바이스 컨트롤 센터)를 새롭게 출시했다. 터크코리아에 따르면 DCC 모듈을 이용하면 실제 프로그래밍 없이 생산 현장에 RFID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TBEN-L 모듈은 IP67의 보호등급 하우징을 가지고 있으며, 8개의 디지털 입/출력 포트와 4개의 RFID 읽기/쓰기 헤드(안테나 일체형 컨트롤러) 연결이 가능하고, HF, UHF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상위 레벨의 ERP, MES 시스템과의 커뮤니케이션은 이더넷(EtherNet) TCP/IP를 통해 가능하며, 윈도 임베디드 컴팩트(Windows Embedded Compact) 2013이 탑재된 ARM Cortex A8 컨트롤러, 800MHz 주파수, 4GB NAND 플래시 메모리, 512MB DDR3-RAM을 통해 실행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이들 기능은 모듈에서 직접 데이터 전처리 및 여러 개의 읽기/쓰기 헤드 자료 필터링 등의 미들웨어로서의 역할을 지원한다. 이 제품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DCC 모듈의 소프트웨어를 이용, 파라미터값 설정과 연결된 장치의 식별, 데이터 선택 등의 작업을 진행할
[헬로티] 센서 전문기업 터크에서 티칭형 정전용량센서에 IO링크 통신을 탑재한 BCT 정전용량센서를 출시했다. IO링크 통신은 센서의 교체 및 유지보수 용이성과 측정된 데이터의 간편한 처리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므로 정전용량센서 사용에 필수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2015년에 출시된 터크의 BCT 정전용량센서는 Easy Teach 기능을 통해 스위칭 포인트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포인트 설정을 위해 작업 매뉴얼을 숙지해야 하고 정밀한 조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터크는 IO링크 통신 기능을 추가하여 고객이 매뉴얼 없이 직관적으로 티칭하고 정확한 세팅을 할 수 있도록 제품을 업그레이드 했다. IO링크를 통해 센서를 설정할 경우, 스위칭 포인트는 자체적으로 기본값이 세팅되며 어댑터나 푸시 버튼을 이용할 때는 최적의 포인트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스위칭 포인트가 세팅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NO/NC 출력 기능 등의 조건을 추가할 경우 설정화면 하단의 필드입력을 통해 스위칭 포인트 및 측정범위 재설정이 가능하다. 업그레이드된 BCT 정전용량센서의 디지털 값을 기반으로 대상체 구별이 가능한 점도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특별한 기능 중 하나이다.
[헬로티] 센서 전문기업 터크에서 원주형 M8 근접센서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여 출시했다. M8 근접센서는 페라이트-코어 방식의 범용 타입으로 감지거리가 약 50% 연장되는 등 전체적으로 업그레이드 됐다. 기존 2mm까지 감지 가능했던 매립형 센서는 3mm 감지거리 타입까지 확장됐으며, 돌출형 타입은 3~5mm까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센서 기술 적용으로 15mm의 매우 짧은 하우징 제품도 만나볼 수 있다. M8 근접센서는 15mm, 22mm, 30mm, 40mm의 길이로 제작되며 NC(Normally Closed) 접점 혹은 NO/NC 겸용 타입, 케이블형, 커넥터형(M12, M8) 등의 다양한 하우징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근접센서와 같이 감지거리에 따라 매립형, 돌출형 등의 디자인을 추가적으로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타입의 센서는 드레그 체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됐으며, LED 표시등의 경우 반투명 커버를 통해 어느 각도에서나 신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업그레이드됐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헬로티] 산업용 센서 전문기업인 터크에서 용접너트센서 ‘NIMFE 시리즈’를 ø4.0mm의 주석코팅의 센서로 리뉴얼하여 출시했다. 용접너트는 자동차산업에서 스페이서 슬리브 또는 보강 슬리브에 여러 금속 구성요소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각각의 너트나 슬리브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 않으면 제조공정이 중단 된다. 또한 공정 중 오류를 감지하지 못하고 적합하지 않은 부품들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상당한 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터크의 NIMFE 시리즈는 용접너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공정 안정화를 기여할 수 있다. 이 센서는 메탈시트가 아닌 오직 너트만을 감지한다. 센서의 파라미터 설정은 M12 커넥터의 2번 핀 혹은 티칭 어댑터(VB2-SP1)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티칭 버튼 클릭을 통해 금속판과 금속판+용접너트의 자성차를 감지하여 용접너트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센서를 한 번 티칭하면 다시 티칭될 때까지 현재의 파라미터 값을 기억한다. 또한 온도 보상 시스템이 있어 용접공정 중 발생하는 온도의 극심한 변동의 균형을 맞추어준다. 터크코리아 관계자는 “용접너트센서는 카메라와 광학적 솔루션을 대체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