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옵틱스는 LG전선의 Spin-off 자회사인 네옵텍에서 마케팅총괄로 근무하던 김장선 대표가 2005년에 창업했다. 당시 국내에서는 생소했던 10Gbps급 광통신용 트랜시버를 비롯해 다양한 능동 및 수동 광부품(Active/Passive Fiber Optic Components)을 수입해 국내 광통신 장비업체들에게 공급하면서 광통신부품 유통 분야에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또한, 국내 생산이 전무했던 화합물 반도체형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한 다양한 레이저 관련 부품들을 국내의 산업용, 소비재용 및 BioMedic 분야에 소개하면서 본격적으로 레이저 시장에 진출했다. 최근 전 세계 산업용 레이저 시장에서 소수의 강자들이 M&A를 통해 시스템부터 소자까지 제품 수직계열화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향후 국내 레이저 시스템 업체들의 High-end 레이저 부품에 대한 안정적인 수급이 불명확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팬옵틱스는 250nm에서 7um에 달하는 다양한 레이저 및 광학 핵심 부품들을 경쟁력 있는 조건으로 공급하는 T토탈솔루션 Eco-System 구축에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당사가 가지고 있는 해외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래의 스마트 자동차는 환경성, 안정성, 편리성 면에서 획기적으로 변화될 것이며, 전자 및 IT 기술, ITS 구축 등이 조화를 이루며 사회 구조를 변화시켜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 모든 변화의 첫 번째 관문은 센서 기술 확보인데, 이는 자동차 산업에서 새로운 전장 시스템을 창출하고 기존 시스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선행돼야 할 조건이다. 스마트 자동차는 최신 전자·제어, 정보통신, 센서 기술을 자동차에 적용해 운전자에게 고도의 안전과 편의를 제공하는 자동차를 의미하며, 자동차가 통신망에 연결돼 운전자와 차량에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개념과 자동차 구동계를 제어해 운행하는 자율주행자동차(Autonomous Car)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차량 내부 작동 상태와 차체의 움직임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차량 자체의 내부 통신 시스템, 전자 제어 시스템, 차량 외부 통신 시스템, 통신 기반 시설 인프라가 주요 구성 요소이다(그림 1). 그림 1. 스마트 자동차 및 주요 구성 요소 스마트 자동차를 구현하는 기술은 목적에 따라 차량 안전 기술(운용 및 모니터링 시스템 포함)과 운전자의
인아코포는 1979년 창업 이래 국내 자동화기술 산업을 선도하고 고성능 FA 시스템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로 성장했다. 또한 일본, 유럽의 자동화 전문 유수업체와의 기술 제휴 및 합작을 통하여 선진 기술을 도입, 노하우를 축적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아코포는 품목의 국산화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 왔으며, 선진 기술력의 도입과 보급으로 자동화의 심장부인 동력을 다각적인 방법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연구해 왔다. 2013년 11월 에너지 절약법의 개정에 의해 삼상 유도 전동기는 2015년 4월부터 목표 기준 효율 치에 적합한 제품의 제조, 출하가 의무화된다. 규제 대상은 모터 제조 메이커 또는 모터 수입업자가 모터 단품을 국내에 유통시킬 경우이며, 2015년 4월 이후에 모터부의 교체 수리품에 대해서도 규제 대상이 된다. 0.75kW~2.2kW 용량으로 시리즈 구성이 평행축, 중공축, 직교축 동심 중공축으로 기존 구성이 동일하다. 변경 사양으로 IE3는 효율이 높아 모터의 자체 발열 온도는 낮아진 반면, 절연 등급은 B종(80도 상승)으로 올라갔다. 기어헤드부의 취부 치수는 동일하나 모터의 전장은 다소 증가했다. 손실 전력의 감소로 정격 토크 시에 정
유로비젼레이저는 2002년 4월 레이저 전문 벤처기업으로 설립됐으며 자동차, 철강. 전자. 반도체, 의료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레이저를 이용한 여러 응용기술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로비젼레이저가 보유한 주요 레이저 관련 기술은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스틱의 용접, 레이저 열처리, 레이저 클래딩(용사코팅), 레이저 솔더링(납땜) 등의 매크로 기술에서부터 반도체, 전자, 의료산업에서 요구되는 초정밀 가공을 위한 마이크로, 나노 가공기술의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유로비젼레이저는 또한 기업부설연구소를 운영해 실용화가 가능한 새로운 응용기술의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레이저 플라스틱 용접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스틱 용접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레이저-빔이 투과하는 광학적인 특성을 가지는 상부층(Upper Layer) 모재와 레이저-빔이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하부층(Lower Layer) 모재가 위아래로 겹치도록 배열하고, 여기에 레이저-빔을 위에서 조사하면 상부층을 투과한 레이저-빔이 하부층의 계면에 도달해 하부모재의 표면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된 열이 상부층으로 전이돼 두 개의 모재가 용융되어 접합되
이더넷은 차세대 자동화에 필요한 높은 데이터 대역폭, 통신 속도, 경량화, 비용 절감이 가능해,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에 네트워크 근간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서는 차량 내 네트워킹 분야의 선두 업체인 NXP의 ‘진정한 차량용’ 이더넷 제품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통해 차량용 이더넷 기술 현황을 짚어본다. ▲ NXP의 트랜시버 TJA1100와 스위치 SJA1105 시큐어 커넥티드카가 등장함에 따라 높은 데이터 전송 수요가 발생했으며, 그로 인해 이더넷 확산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 시장 조사 업체인 가트너는, 2030년이 되면 전 세계 승용차에서 사용되는 이더넷 노드가 1억 6200만 개, 포트 수가 2억 4200만 개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NXP 네트워킹 및 차량 액세스 부문의 옌스 힌리센(Jens Hinrichsen) 선임 부사장은 “NXP는 이더넷을 차량에 도입한 주역으로, OPEN 얼라이언스 표준화 기구(OPEN Alliance Standardizing Organization)의 창설 멤버다. EMC, 품질, 신뢰성, 대량 생산에 대한 엄격한 요건에 부합할 수 있는 ‘
특화시장 진출 또한 경기침체 타계 방안 올해 리플로우는 SMT 시장 경기 악화로 인해 신규 생산 능력을 키우기 위한 투자가 전무한 수준이며, 기존 공정에 대한 보완투자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탑솔루션의 이도형 대표는 “장비 판매만으로는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가 왔다”며, “앞으로는 SMT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전용장비 개발 등 기존 시장 내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관련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고 말했다. Interview | 탑솔루션 이도형 대표 Speedline의 한국 총판대리점으로서, MPM 스크린프린터, Camalot 디스펜서, Electrovert 리플로우, 웨이브 솔더링 장비 등을 취급하는 탑솔루션은 기존 고객을 중심으로 하이엔드(High-end) 솔루션을 공급해 관련 시장을 수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지는 탑솔루션의 이도형 대표를 만나 리플로우 및 SMT 전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Q. 주력제품을 소개해 달라 A. Electrovert의 리플로우와 웨이브 솔더링 머신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리플로우는 경쟁사 대비 정확한 온도편차를 유지해 안정적인 Joining 품
티엠테크아이는 산업용 대용량 BLDC 모터, BLDC 드라이버, 전자브레이크 및 특주형 AC 인덕션모터 등을 생산하는 모터 전문 업체이다. 티엠테크아이는 자체 개발 및 양산 기술로 대용량 BLDC 모터인 POWER TM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POWER TM BLDC 모터는 강력한 네오디늄 자석을 적용한 고효율, 고토크 모터로 정속 및 부하 대응 특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소형 콤팩트한 구조와 정역변환, 속도제어 등의 제어 기능은 관련 적용 제품의 품질 향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 회사가 주력 생산 중인 ‘Power TM 시리즈’는 4극 네오디윰 자석 적용 외주부 공극형 회전자로서, 고정자는 3상 24슬롯 분산 권선형, 제어기는 마이컴 비례제어와 IGBT 파워모듈을 채용했다. 이 제품은 80~95%의 고효율화를 실현했으며 회전수 변화에 따른 토크 변화가 적다. 또한 300rpm 이상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레이저크래프트(LaserCraft)는 대만 GCC사의 한국 공식 대리점, 영국 BOFA사의 한국 공식 수입원으로 레이저 가공기 및 집진기를 취급하고 있다. GCC사 제품의 경우, X축과 Y축에 신뢰도가 높은 서보 모터를 장착해 빠른 속도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소형에서부터 중대형까지의 장비는 작업 목적에 맞게 준비돼 있다. 레이저크래프트 레이저 장비는 오토 포커싱(레벨링) 기능과 스마트센터(Smart center) 기능을 탑재해 재료와의 거리 및 재료의 중심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X축과 Y축에 서보모터를 장착해 드래그 앤 플레이(Drag-N-Play), 클로즈드 루프(Closed-loop) 등으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특허받은 트루이미지(TrueImage) 기능으로 소재에 따라 1000dpi까지 넓은 면적의 마킹기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전면과 후면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작업 테이블보다 훨씬 긴 소재의 가공도 가능하다. 영국 BOFA사의 집진기는 소재의 가공 시 발생하는 분진과 연기 그리고 냄새를 효율적으로 집진 처리할 수 있는 장비다. 저소음, 디지털 제어, 특허받은 기술력으로 쾌적
SMT社 기술력으로 진공리플로우 문제 해결하다 진공리플로우를 도입하면 Void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생산 쓰루풋과 N2 소모량이 문제되어 왔다. 이와 관련 민트테크놀로지 정동현 과장은 “SMT社의 진공리플로우는 쿼터(Quarter) 레일 시스템을 적용해 높은 생산 사이클을 실현했다”며, “이 외에도 플럭스 필터 시스템(Flux filter system)으로 오염된 N2를 재사용해 N2 소모량 문제까지 확실히 잡았다”고 말했다. 민트테크놀로지 정동현 과장 Yamaha motor社의 i-PULSE 시리즈 마운터와 SMT社의 진공리플로우를 국내에 판매하고, 더 나아가 고객 만족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트테크놀로지는 전반적인 SMT 업계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특화된 장비와 시스템을 활용해 고객만족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이에 민트테크놀로지의 정동현 과장을 만나 SMT社 의 진공리플로우와 업계 동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Q. 굵직한 라인 증설 소식이 없다. 이는 리플로우 시장도 마찬가지일 것 같은데 A. 오랜 기간 지속된 전자산업의 침체와 제조공장의 해외 이전 등으로 인해 국내
2A, 70V 스위치가 내장된 전류 모드, 고정 주파수 SEPIC/Boost DC-DC 컨버터(LT8494)는 7㎂ 정도의 낮은 대기 전류를 제공한다. 이 디바이스의 입력 전압 범위는 2.5V∼32V이며 일단 움직이면 1V∼60V의 입력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단일 셀 리튬이온부터 자동차 입력까지 다양한 입력 소스를 갖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스위칭 주파수는 250kHz와 1.5MHz 사이의 단일 저항을 통해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외부 부품 수를 최소로 설계할 수 있다. 김희성 기자
화신이엔지는 1977년 3월 화신기공사로 창립한 이래 지금의 화신이엔지로 법인 전화하여 현재까지 진동 응용기기 한 가지만 신기술 개발하여 전문 생산하고 있다. 이 회사는 VIBRATORS 전문 생산업체로서 38년간의 장인정신, 기업 이념 아래 경험과 기술의 노하우를 가지고 국내외 산업기술 혁신에 일역을 담당해 오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ROTARY VIBRATOR, VERTICAL VIBRATOR, MAGNETIC VIBRATOR, RUBBER SPRING VIB, AIR CUSHION VIBRATOR, AIR BALL VIBRATOR 등이 있다. 납품 실적으로는 포스코와 광양제철의 배가스 청정설비, 스페코 플랜트의 파키스탄 설비, 세아제강의 마그네틱 피더, 동해화력 COAL 설비 등에 제품을 공급했으며, 그 외 인천제철, 삼표제작소, 상원 ENC, 강원산업 등에 납품되고 있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케이투레이저시스템은 레이저 마킹, 절단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레이저 마킹 기술은 모바일, 자동차, 첨단 부품산업의 자동화 라인에 장착돼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 케이투레이저시스템은 빠르게 성장하는 레이저 마킹 및 조각기, 절단기 산업의 선두에서 보다 정밀하며 작업성이 뛰어난 제품을 적정한 가격에 공급한다. 또한 신속한 A/S를 제공해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고출력 파이버 레이저를 적용한 레이저 커팅기를 개발해 상용화했으며, 소형 파이버 레이저에서 대형 파이버 레이저 커팅기까지 다양한 작업 사이즈의 레이저 커팅기를 보유하고 있다. 대면적 3D 마킹 시스템 K2-GN 케이투레이저시스템은 레이저 마킹의 작업 영역 한계를 벗어나 1300×2500mm 영역을 자유롭게 마킹할 수 있는 대면적 마킹 장비를 개발해 납품하고 있다. 대면적 마킹 장비는 레이저 에칭을 할 수 있는 장비로 화학 부식과 같은 여러 가지 공정을 거치지 않고, 불러온 도면을 대면적에 레이저로 에칭하는 작업이다. 화학약품이 필요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도면을 불러와 소재에 바로 에칭할 수 있기 때문에 화학부식의 인건비와 생산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멀티플 마킹 헤드를 장착해
테크니포(그라보테크)는 산업용 마킹기 전문 업체다. 산업용 이력 추적 시스템의 연구 개발, 산업용 마킹기 제조/개발 및 30년 이상의 판매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테크니포는 세계적으로 4만대 이상의 판매 실적을 자랑하며, 전 세계 23개의 자회사와 80개 이상의 대리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각국의 지사 및 고객사 방문 교육이 가능한 공인된 교육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부품의 고품질 마킹과 가독성을 위해 각 소재에 맞는 레이저 선별 및 기술을 지원하고 마킹부터 유지보수까지 철저한 품질 관리 경영을 자랑한다. 라인 설비형, 독립형, 휴대용 마킹기에서 고출력(파이버/야그 등) 레이저 마킹기, 명판 각인기에 이르기까지 고객의 요구에 맞출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마킹 장비를 갖추고 있다. 자동차 부품 및 다양한 제품에 생산 관리, 이력 추적, 제품 식별, 품질 보증 및 관리를 위한 제조 일자/번호 마킹, 2D QR 코드 등 영구적인 마킹이 가능하다. 주요 소재인 알루미늄, SUS, 철,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등 거의 모든 형태 및 소재에 마킹 솔루션을 제공한다. 레이저 마킹기는 소재와 방법에 따라 분류되는데, 파이버 레이저(금속, SUS 등 고속 마킹, 강력한
초기 시장 장악과 기술 장벽 마련이 올해 목표 국내 레이저 솔더링 업계를 선도하는 넥스뷰 티엑스의 이동건 이사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기존 접촉 방식을 사용하는 솔더링 머신에 비해 품질반복성이 우수하고 소모성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레이저 솔더링 머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대되면서, 관련 시장이 커지고 있다”며, “올해는 최근 양산성을 인정받은 레이저 솔더링 머신의 초기 시장 장악과 기술 장벽 마련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넥스뷰 티엑스 이동건 이사 레이저 응용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전반에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넥스뷰 티엑스는 레이저 솔더링 기술을 상용화해 인라인 및 오프라인 양산 조건에 맞는 레이저 솔더링 장비를 개발·공급하고 있다. 레이저 솔더링 장비의 양산성이 인정받은 것은 최근의 일이지만, 미소·미세 부품의 마이크로 솔더링 분야에서의 차별성을 1차 공략 포인트로 삼아 관련 시장을 확대해 가고 있다. Q. 업계에서는 로봇 솔더링 머신에 익숙하다. 이를 대체하기 위한 레이저 솔더링만의 특장점이 있나 A. 로봇 솔더링과 레이저 솔더링 머신은 구성 및 물류
CST(Custom Sensors & Technologies)는 감지, 제어 및 추진기 제품을 설계와 제조하는 세계적인 전문기업이다. CST는 BEI Kimco, BEI Sensors, BEI PSSC, Crouzet, Crydom, Kavlico, Newall 그리고 Systron Donner Inertial 브랜드를 통하여 항공, 방위, 교통, 산업, 의료, 에너지 및 인프라 시장에서 사용되는 안정적이고 뛰어난 성능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전문성과 다양성, 신속함을 갖춘 CST는 2014년 5억9,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주력 제품으로는 모터, 컨트롤러, 압력센서, 위치센서, 엔코더, 스위치 등이 있다. 한편 CST의 계열사인 크루제는 50년간 AC, DC, BLDC 모터를 생산해 온 모터 전문 제조기업으로 SNCF(프랑스 국영철도청)의 주요 협력사이다. 지난 2013년 미국 의료장비 매거진에서 올해의 모터 상으로 선정됐으며,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저소음에 특화된 DC mind Motor를 출시하여 다양한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철도시장에 영업을 집중하고 있으며, 최근 철도기술연구원에서 열차 출입문을 위한 모터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