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경쟁력 확보로 IT 산업 회복세 이끌어야 반도체, 스마트폰, 이차전지 등 국가 성장동력 혁신 필요 디스플레이 패널, 반도체, TV, 스마트폰, 이차전지 등 세계 IT 산업은 2011년 이후 5년 연속 저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은 글로벌 후발업체의 추격 속에서도 품질, 가격, 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세계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다. 본지는 KEA 유중현 센터장을 만나 국내 전자 산업을 견인하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스마트폰 등 국가 성장동력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현 정부의 모토는 창조경제이다. 창조경제의 핵심은 IT 융합화에 따른 기존 시장의 확대와 신시장 창출이며, 이러한 창조경제를 가속화기 위해서는 IT 활성화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세계 IT 산업 시장은 세계 경기 및 기업의 IT 투자 둔화, 통신서비스 시장 포화, 휴대폰/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성장 둔화 및 신시장 창출 지연으로 지난 2011년 이후 5년 연속 저성장하고 있다[2011년(8.4%), 2012년(2.8%), 2013년(0.5%), 2014년(1.5%), 2015년(-4.9%), 2016년(1.7%)].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산업 지형이 뒤바뀐다 … 2020년 830조 시장 IoT 비즈니스는 IoT가 제품과 서비스 둘 중 어떤 것에 중점을 두는지에 따라 성격이 완전히 달라진다. 여기서는 지난해 12월 15일, 산업교육연구소가 주관한 ‘2016년 IoT 시장확대를 위한 핵심분석 및 실증사업과 성공사례 세미나’ 중 IoT 최신 트렌드 및 국내외 주요 사업자 현황에 대한 KT경제경영연구원 박제헌 팀장의 발표 내용을 정리했다. IoT의 시장 현황과 전망 ▲ 박제헌 팀장 IT 전문 글로벌 컨설팅업체 가트너는 2015년 IoT 기기가 38억개로 추정되고, 5년 후인 2020년에는 250억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산업경제연구원은 지난해 IoT 매출액이 300조원이었으며, 5년 후인 2020년에는 825조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20년이 되면 우리 주변에 IoT 기기가 확산돼 녹아 있을 것이다. 흔히 생각하는 전구부터 TV, 셋톱박스 등이 인터넷과 연결되고 프린터도 와이파이로 공유될 것이며 저울도 블루투스로 연결될 것이다. 이렇게 인터넷을 사용하는 가구는 전 세계 약 10억 가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IoT 기기가 사람 대신 처리하는 다양
Anonymity, 개인정보 지키며 빅데이터 활성화 최근들어 해외시장에서 IoT로 인한 개인정보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갖고있다. 특히 IoT 안의 빅데이터에서 개인정보를 활용해 산업을 어떻게 부흥시킬까하는 측면의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최근 산업교육연구소가 주관한 ‘2016년 IoT 시장확대를 위한 핵심분석 및 실증사업과 성공사례 세미나’ 중 IoT 관련 최근 보안이슈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과 해결방안에 대한 한국인터넷진흥원 윤석웅 팀장의 발표 내용을 정리했다. ▲ 윤석웅 팀장 IoT 연결기기의 약 70%가 보안 취약점에 노출돼 있다. 2010년부터 무선 공유기가 해킹돼 여러가지 데이터가 노출되기도 했고, 작년부터는 CCTV가 해킹돼 영상이 노출됐다는 뉴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개인정보의 정의는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정형데이터다. 성명이나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해 개인을 직접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정보이다. 그런데 여기서 단서조항이 하나 더 붙은 게 정형화된 데이터가 아님에도 다른정보와 쉽게 결합해 알아볼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의 때문에 과거에는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주류를 이뤘던 반면에,
포머스팜(Former’s Farm)은 모두에게 작은 행복을 주고자 하는 3D프린터 제조업체이다. 이들은 3D프린터로 아이디어를 실물로 만들고 타인과 공유하는 신나는 세상이 올 것을 기대하고 있다. 포머스팜은 3D프린터와 관련된 독특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2013년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 진행한 청년창업사관학교 3기에 선정되어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 이와 동시에 골프존이 운영하는 벤처창업보육센터인 티박스(T’BOX)에서도 지원을 받은 유망 벤처기업이다. 2013년 7월 제1회 3D프린터 제작 경진 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2014년 2월에는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으로부터우수벤처기업으로서 표창장을 수여받았다. 작년 12월과 올해 2월에는 3D 프린터 스프라우트의 CE인증과 KC인증을 각각 획득하여 품질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또한 5월에 부산시 ‘미래성장 동력사업’에 최종 선정됐고, 6월에는 신용보증기금에서 진행했던 퍼스트펭귄형 창업기업 특화지원을 받아 미래가치와 성장성을 인정받았다. 올해 6월에는 FFF 방식의 저가형 3D프린터 스프라우트 미니를 출시했다. 스프라우트 미니 스프라우트 미니는 말 그대로 스프라우트의
국내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 순수 국산제품 활성화에 큰 역할을 했던 트리플에이는 새로운 산업에 도전하기로 결정하고 3D프린터로 눈을 돌렸다. 기존의 산업방식을 통째로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을 이끌 3D프린터 개발에 주력했다. 경쟁력이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저렴한 중국산 제품, 부품 사용을 최소화하고 자체적인 부품 양산을 시작했으며, 많은 전문 인력이 오랜 기간 3D프린터의 산업활용도를 연구했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금형, 제조, 주물, Prototype에 활용될 수 있는 기기가 필요하다고 판단, 국내 최초로 대형 3D프린터기를 제조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오랜 시간 축적해온 노하우와 기술을 활용하여 최대 출력 크기 1.5m, 0.01mm의 정밀한 정밀도를 갖춘 초대형 프린터기 ‘OmniBot Pro3’를 개발했다. 트리플에이는 3D프린팅 산업이 보다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이 되는데 일조하고 있다. 초대형 3D프린터 ‘OmniBot Pro3’ 산업용 초대형 프린터 OmniBot Pro3는 전체 LM 가이드 채용으로 소음과 진동이 적으며 정밀도가 우수하다. 고토크의 대형 모터를 장착해 빠른 기동 시에
명화네트는 1966년 11월 25일 설립된 명화물산을 토대로, 2009년 합병과 분할의 과정을 거쳐 2009년 12월 31일 분할 설립됐다. 주로 화학 관련제품, 건설 관련자재, 또한 세계 굴지의 공작기계 메이커인 미국의 Gleason Coporation사의 국내총대리점 및 일본 Mitsubishi Material Corporation사의 첨단소재 공급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성과를 거두어 왔으며, 현대제철의 대리점으로 철근 유통 대리점을 하고 있다. 명화네트는 수출과 수입, 도ㆍ소매업, 기술용역 및 유통사업의 다양한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간의 신용과 경험, 전문화된 인력 및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3D프린팅사업부에서는 세계 굴지의 3D프린팅 제조사인 ExOne사의 한국총대리점으로 국내의 다양한 업체들과 거래하고 있다. ExOne은 생산 규모, 산업 시스템부터 교육, 연구 플랫폼까지 특정 요구와 설비 요구사항에 적합한 맞춤화된 3D프린팅 시스템을 제공하며, 각 시스템은 R&D 지원 및 완벽한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Exerial, 산업용 연속 생산을 위한 대표 모델 Exerial 3D프린터는 2개의 잡박스로 최대
류진랩은 3D프린팅과 관련된 사업을 영위하는 스타트업이다. 3D프린팅랩 ‘랩C’를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 출력서비스, 컨설팅, 3D프린터 및 관련제품 유통을 통해 3D프린팅의 사용자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개인 및 SOHO사용자가 접근하기 쉬운 보급형 3D프린터인 FDM 및 DLP 3D프린터 20여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3D프린터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찾고 사용자들에게 3D프린팅이 주는 가치와 경험을 전달하는 것이 주 사업 목표이다. 류진랩은 보다 좋은 제품을 보다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해 3D프린터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미 자체 개발한 DLP 3D프린터는 주문제작을 바탕으로 소량 생산을 시작했고, 최근 자체 기술인 LIPS(Light Induced Planar Solidification) 기술이 적용된 최초의 제품 모피어스(Morpheus)를 미국 킥스타터(Kickstarter)를 통해 런칭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3D프린터로 펀딩에 성공했다. 이 제품은 12월에 선구매자들에게 배송되고, 2015년 CES에서 공식 출시할 계획이다. OWL WORKS(올빼미웍스)는 류진랩의 연구 개발 부문이다. 또한 메이커스페이스 &lsqu
메카피아는 국내 최고의 기술포털을 지향하고 있으며, 기술자들의 가치를 먼저 생각하는 기업이다. ‘엔지니어를 위한 엔지니어에 의한 엔지니어의 기술포털’로서 진정한 기술자들을 우선시한다. 또한 공학+기술+제조 산업체 분야별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기술지식 정보공유 & 대한민국 엔지니어들의 대표 기술포털 사이트로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협력관계 및 지속적인 업무제휴나 후원사 등을 우선적으로 검토 선별하여 업체를 선정하고 배너광고, 제품홍보 등 온라인 영업사원으로서 역할을 한다. 후원 및 광고사들과 협력하여 공학도 및 실무 기술자들에게 각종 이벤트 행사, 사이버기술경진대회, 엔지니어카페 지역간 모임 지원, 전국 정모 지원 등을 하며 메카피아 및 제휴업체들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있다. 나아가 후원 업체가 기술자들을 서포트해 주는 개념으로 회원들에게 보다 친숙하고 좋은 이미지로 다가설 수 있는 온라인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산업계에서 핵심 직무능력으로 요구되는 전문화된 기술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2014년 4월 ‘메카피아창도기술교육학원’을 설립하여 현재 활발하게 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계에서
디메이드쓰리디스튜디오는 DSLR 카메라를 이용하여 3D촬영 부스를 제작하는 업체로서, 기존의 고정형 부스의 취약점을 개선한 피사체 맞춤 조절이 가능한 부스를 개발했다. 3D스튜디오 및 관련학교 기자재로 활용이 가능하고 3D스캐너 영역의 한축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제품이다. DSLR을 활용한 촬영방식은 세팅 노하우가 중요하며, 피사체 맞춤 조절이 가능하므로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이다. 맞춤 조절형 3D촬영 부스 360° 사진 촬영 방식을 통한 피사체 사이즈 맞춤 조절형 3D촬영 부스이다. 360° 원형 부스 형태의 구조물에 피사체의 크기에 맞춰 높낮이 및 촬영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하여 다수의 DSLR 카메라를 설치한 3D스캔 대응 촬영장치이다. 기존의 고정형 세팅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피사체 맞춤 방식의 최적화 시스템을 구현, 인체나 동물 등 활동성 개체에 적합한 3D스캐닝 시스템이다. 피사체 크기와 부피를 감안한 세팅이 가능하여 최적의 촬영 조건을 만족시키며, 카메라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유지관리 효율성이 향상된다. 사진의 중첩률 및 화소수 확보가 유리하여 고해상도 3D 데이터를 생성할 수
대림화학은 1976년 창립 이후 지속적인 사업 혁신으로 정밀화학산업 분야의 선도기업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글로벌 우량 화학소재 기업이다. 창조경제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사업비전 ‘대림화학 2.0’을 발표한 대림화학은 원천소재 분야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그리냐르 시약 등 정밀화학소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레이저 프린터의 핵심 소재를 자체 기술력으로 국산화하여 생산 및 공급하고 있다. 또한 고굴절 LCD 광학 소재, 의약품 중간체, 석유화학용 특수촉매 등 친환경을 지향한 화학소재 블루오션 제품군 발굴로 글로벌 니치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3D프린팅 소재부터 다양한 응용 분야 확대 대림화학은 차세대 산업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3D프린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라멘트 소재 개발을 시작으로 광경화성 소재, 메탈 소재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분야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첨단 제품과 기술 개발에 매진 중이다. 3D프린팅 기술은 전 산업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고, 향후 새로운 산업을 창출해낼 잠재력도 상당하여 창조경제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 이유다. 대림화학은 지난해까지는 해외 기술을 쫓아가고 있다고 하면 올
EA-VA 시리즈는 종래대비 최대 1.6배 가공 속도를 향상시킨 형조 방전가공기이다. 15인치 액정, 터치패널로 우수한 화면 조작성을 실현하며, 그래픽컬한 워크와 전극의 측정 화면을 볼 수 있다. 형상에 맞춘 최적의 가공 조건을 작성하며, 게이트, 나사, 헬리컬 등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가공도 서포트한다. 고속 FP-V 전원 탑재로 가공 속도를 대폭 향상시켰으며, 초경가공용 회로를 표준 장비했다. 초경재도 고속 저소모로 가공이 가능하며, 전원 절감으로 러닝코스트가 절감된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HD2200은 고속, 고강성, 고정도가 강점인 고성능 CNC 선반으로, 45° Slant의 일체형 고강성 베드 구조 채택했다. 열변형을 최소화한 안정된 유니트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고생산성을 고려한 기계 구성 요소 및 확장성을 부여했다. 탁월한 급이송 능력을 실현하며, 신뢰성 있는 고속의 서보터렛, 중절삭 대응을 위한 Box Guide를 채용했다. 또한 콤팩트한 구조로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인체공학적 설계로 Chuck 및 Tool 등에 접근성이 우수하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LED 도로조명에 민간자원 적극 활용 앞으로 민간자금을 이용한 LED 조명 보급 사업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산업부는 지자체 LED 도로 조명 보급을 위한 금융 연계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수요자들에게 사업모델 정보를 제공하고 전문가와의 상담 기회를 마련하는 설명회를 통해 LED 보급 촉진 활성화를 도모했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지차체를 대상으로 LED 도로 조명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금융 모델을 적극적으로 보급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그동안 민간자금을 이용한 LED 보급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이를 확대 보급하기 위해 지난 8월 27일에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금융 모델 설명회를 개최했다. 지자체 금융 모델 도입은 사업 재원을 정부 보조에서 민간 자금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해 지자체와 민간 협력으로 LED 조명 보급을 가속화 할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현재 10개 지자체에서 시범 추진 중이다(표 1). ▲ 표 1. 2015년 지역 에너지 절약 사업 금융 연계 설명회에서는 2015년에 시범 추진한 LED 금융 연계 사업을 2016년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시범 추진 사례를 발표하고,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자금 이외에 새로
쌍둥이도 구분한다. 비밀번호, 열쇠, 카드, 지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얼굴만 인식하면 1초 이내에 인증이 가능한 얼굴인식시스템 Ufacekey (유페이스키)는 파이브지티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가정용 출입보안로봇으로 블랙박스 기능이 내장되어 얼굴에서 4만여 개의 특징점을 포착해 사용자를 인식한다. Q 파이브지티를 소개해달라 차세대 바이오 인식 보안 솔루션 기업인 파이브지티는 ‘인간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는 철학과 사명을 바탕으로 보안얼굴인식분야를 비롯해 소방화재감지분야, 소음제어분야, 엔지니어링분야, 산업디자인분야의 총 5가지 사업 영역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안얼굴인식분야는 국내 유일의 토종 기술로 개발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보안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Q 제품 라인업 상황과 제품의 경쟁력은 얼굴인식분야의 제품에는 노출형 얼굴인식 단말기 ‘GTFR-5000’, 매립형 얼굴인식 단말기 ‘GTFR-6000 A’, 일체형 얼굴인식 단말기? ‘GTFR-6000 H’, 얼굴인식 위급상황 경보 시스템 + 동영상 촬영 + 실시간 동
지난해 ICT 산업은 장기적인 경기 침체, 유가 하락, 세계 교역 축소 등 경기적인 요인과 함께 중국의 수입 구조 변화, 해외 생산 확대 등의 구조적인 영향으로 침체 기조에 빠져 있었다. 올해도 큰 성장세를 기대할 수는 없지만, 선진국 중심의 완만한 경기 회복과 전년 기저효과의 영향에 의해 소폭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서는 시장조사기관인 IHS의 2016 ICT 기술 전망 자료를 바탕으로 반도체, 자율주행 자동차 등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할 전자 산업 핵심 분야를 살펴본다. 디스플레이 더 얇고 가볍고 유연해진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삼성 SDI는 PMOLED(Passive Matrix OLED ; 수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생산 기술과 저온 다결정 Si TFT 기술을 기반으로 휴대폰용 AMOLED(Active Matrix OLED ;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대량 생산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AMOLED 시대를 열었다. 2010년 이후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대형 TV,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등에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해 가장 가능성 높은 차세대 디스플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