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SK㈜ C&C(대표이사 박성하)는 20일, 제조 산업 특화 데이터 처리 엔진 ‘아이팩토리 디플로(I-FACTs DiFlow)’를 출시하고 본격 확산에 나선다고 밝혔다. 아이팩토리 디플로(I-FACTs DiFlow, 이하 ‘디플로’)는 Data Interactive Flow(데이터 상호 흐름)의 약자로 지난 수년간 다양한 제조 산업에 적용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 현장의 노하우를 담았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 및 확장과 함께 추가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장비 ▲센서(IoT 및 엣지 컴퓨팅) ▲웹사이트 등에서 취합한 각종 데이터들의 실시간 활용 및 관리를 위해 개발됐다. 디플로는 제조 산업군에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원시자료(Raw Data) 및 소스데이터를 수집함과 동시에 제조 표준 메타데이터로 정제 및 변환을 진행한다. 마치 자동차 엔진이 연료를 공급받아 차량 곳곳에 이동할 수 있는 힘을 전달하는 것과 같다. 제조 현장 데이터를 수집해 유관 애플리케이션이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에서 분석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환하는 것이다. 그림. 아이팩토리 디플로에 대한 설명을 그림으로 나타낸 모습 회사에 따르면
[헬로티] RISC-V용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 기능 안전 에디션, TÜV SÜD 인증 획득 및 제품 수명 주기 동안 지원 보증 미래지향적 임베디드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툴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IAR 시스템즈(IAR Systems)는 자사의 RISC-V용 개발 툴체인이 TÜV SÜD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RISC-V 용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IAR Embedded Workbench for RISC-V)의 기능 안전 에디션은 기능 안전에 관한 국제 표준인 ‘IEC 61508’과 자동차 안전 관련 시스템에 적용되는 ‘ISO 26262’의 규정 요건에 따라, TÜV SÜD 인증을 획득했다. 이와 함께 이 인증은 의료용 소프트웨어와 의료기기 내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해 제품 수명 요건을 규정한 국제 표준 ‘IEC 62304’와 유럽 철도 표준 ‘EN 50128’ 및 ‘EN 50657’을 모두 포괄한다. 또한 가전 기구용 표준 ‘IEC 60730, 기계 제어 시스템용 표준 ‘ISO 13849’ 및 ‘IEC 62061’, 프로세스 산업용 표준 ‘IEC 61511’, 농업 및 임업용 표준 ‘ISO 25119’도 모두 포괄한다. 기능 안전은 임베디드 시스템이
[헬로티] 에머슨은 탱크 게이징 시스템용 플랫폼 재고 관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인 ‘Rosemount TankMaster 모바일’을 출시해 중요한 탱크 데이터에 대해 빠르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간편한 솔루션은 스마트폰, 태블릿 및 컴퓨터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실시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더 나은 의사결정을 촉진하고 운영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 Rosemount™ TankMaster™ 모바일에서는 더 많은 이해 관계자에게 중요한 탱크 데이터에 대해 즉각적인 보안 접근을 제공한다. 탱크 저장, 석유 및 가스, 석유 화학 및 정유, 화학 및 식음료 산업 내에서 탱크게이징 데이터는 거의 접근이 불가능한 과거 시스템에 고립된 상태로 남아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디지털 방식으로 운영을 전환하고 성능을 향상하려면 조직은 더 광범위한 작업 기능에 대한 데이터에 즉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는 현장에 있는 인력, 경영진, 영업, 구매 및 재무 담당자, 공급업체, 고객, 거래자, 제품 소유자 및 관세청과 같은 추가 이해관계자들이 포함된다. Rosemount TankMaste
[헬로티] 협동로봇 글로벌 기업 유니버설 로봇이 가반하중 10kg인 기존 UR10e의 가반하중을 12.5kg(27.55lbs)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이전과 동일한 가격으로 출시했다. 이번에 가반하중이 늘어난 UR10e는 팔레타이징, 머신 텐딩, 포장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게 됐다. 또한, 유니버설 로봇의 UR+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주변장치 제품과 플러그-앤-플레이 방식의 호환성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은 빠르고 쉽게 협업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 UR10e는 공간이 작아도 운영이 가능하며, 직관적 프로그래밍이 용이하고, 반복성 또한 견고하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 높은 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반하중이 25%로 향상돼 사용자에게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 2.5kg 그리퍼 사용으로 최대 10kg의 무게가 나가는 상자의 팔레타이징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 머신 텐딩 배치에서 더 높은 하중의 물품을 넣고 빼서 무거운 물품을 포장하는 등 다른 자재 취급 작업에도 더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 UR10e의 향상된 가반하중은 사람의 손과 어깨에 부담을 주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어
[헬로티] 이코텍은 최근 모듈식으로 설계된 어답터 시스템 IMAS-CONNECT를 위한 그로밋 AT-FL과 QT-AT-FL을 출시했다. 어답터 그로밋은 M23 사각 플랜지 커넥터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 IMAS-CONNECT; KEL-U에 AT-FL을 장착한 모습. AT-FL은 KT 대형 케이블 그로밋을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QT-AT-FL은 QT 대형 케이블 그로밋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AT-FL과 QT-AT-FL은 각각 이코텍의 KEL 시스템 (KEL-U, KEL-ER, KEL 183, KEL-FG)과 KEL-QUICK 시스템에 적합하다. AT-FL & QT-AT-FL 그로밋은 분리형 케이블 엔트리에 삽입되어 빌트인 플러그 또는 빌트인 소켓을 직접 통합할 수 있다. 홀 간격이 19.8×19.8mm(M23)인 모든 사각 플랜지가 사용 가능하며 하우징 벽에 별도의 타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조립 비용이 절감된다. 재질은 엘라스토머이고 본체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실리콘과 할로겐 프리 제품이다. AT-FL 그로밋은 최대 IP65, QT-AT-FL그로밋은 최대 IP54의 보호 등급을 제공한다(나사 고정 플랜지 및 커넥터에 따라 상이). RoH
[헬로티] 디지털화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장 운영 위험, 다운타임 및 생산 손실 감소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에코스트럭처 트라이코넥스 세이프티 뷰(EcoStruxure Triconex Safety View) 신규 버전을 출시했다. 산업 프로세스 안전 시스템은 안전하지 않은 공정 상태를 예방하고, 때로는 셧다운을 통해 불안정한 공정을 정지시켜 안전한 상태로 만들도록 설계했다. 이 시스템은 인명, 자산, 생산 및 환경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일상 운전 중에 바이패스를 하거나 알람을 꺼둘 시에는 전체적인 공정 운영 위험성과 공장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운전 부서는 무엇이 바이패스됐는지 주시하고 운영 및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정 상태 및 알람에 주의해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에코스트럭처 트라이코넥스 세이프티 뷰(EcoStruxure Triconex Safety View)는 업계 최초로 안전 및 사이버 보안 인증을 모두 받은 바이패스 및 알람 관리 기능을 갖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다. 운전자,
삼성전자, DDR5 D램 모듈용 전력관리반도체 공개 [헬로티] 삼성전자가 최신 DDR5 D램 모듈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는 전력관리반도체(PMIC, Power Management IC) 3종을 공개하며, 시스템반도체 라인업을 본격 확대한다. 삼성전자 전력관리반도체 3종(S2FPD01, S2FPD02, S2FPC01)은 DDR5 D램 모듈에 탑재돼 D램의 성능 향상과 함께 동작 전력을 감소시키는 핵심 반도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력관리반도체를 외부 기판에 탑재하던 DDR4 D램과 달리, 최신 DDR5 D램부터는 전력관리반도체를 D램 모듈 기판에 직접 탑재한다. 전력관리반도체와 D램이 하나의 모듈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원을 안정적이고 빠르게 공급할 수 있어 메모리 성능 향상과 동시에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자체 설계 기술인 ‘비동기식 2상 전압 강하 제어 회로(Asynchronous based dual phase buck control scheme)’를 적용해 전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감지하고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했다. 이 기술을 통해 전력관리반도체는 초고속 DDR5 D램의 데이터 읽
[헬로티] 밀워키코리아가 더 오래, 더 정확히 작업 현장을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 레벨기 2종(M12 CLLP, M12 3PL)을 출시한다. 이번에 출시된 신규 레이저 레벨기 라인업은 긴 작동시간, 뛰어난 가시성, 간편한 설정을 모두 잡은 혁신적인 신제품이다. M12 CLLP와, M12 3PL는 절약 모드 설정 시(4.0Ah 기준) 24시간 이상 작업이 가능하다. 하루 종일 작업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배터리를 교체하고, 다시 레이저 설정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했다. 또한 레드 레이저보다 4배 더 잘 보이는 그린 레이저를 사용하여 다양한 현장에서 더욱 쉽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두 제품의 최대 작업 거리는 38m로, 수광기 장착 시 50m까지 선명하게 도달 가능하다. 본 제품들의 간편하고 빠른 설정 또한 주목할 만하다. ‘마이크로-컨트롤 피벗’ 다이얼을 사용하여 미세한 각도와 높이 등을 신속하게 정렬, 설정할 수 있으며 ‘통합형 마그네틱 브라켓’의 강력한 자석 기능 덕분에 어느 곳에나 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M12 CLLP와 M12 3PL은 모두 IP54 방진 방수 기능을 갖췄으며, 현장에서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이하 맥심)가 초소형 최저 전력 소비량을 제공하는 트라이나믹의 단일축 서보 컨트롤러·드라이버 모듈 ‘TMCM-1321’을 출시했다. ▲Trinamic TMCM-1321 TMCM-1321 서보 컨트롤러·드라이버 모듈은 로보틱스 및 자동화 장비에서 2상 양극 스테퍼 모터를 구현하도록 해 축의 속도와 동기화를 최적화한다. 첨단 S형 램핑뿐 아니라 선형 램핑인 트라이나믹 식스포인트 램핑 기술을 갖춰 처리 및 유효 전송 속도를 높인다. 또한, 트라이나믹의 폐 루프 기술은 직접 피드백을 활용해 자동으로 전력 손실을 75퍼센트까지 줄여준다. TSCM-1321 모듈은 RS-485 인터페이스와 트라이나믹의 통합 개발 환경을 통해 설계를 간소화하고 스테퍼 모터 크기를 줄여준다. 또한, 고도의 피드백과 진단 및 서보 컨트롤을 간소화하기 위해 온보드 마그네틱 인코더와 광학 인코드용 디지털 입력 단자를 탑재해 동급 스테퍼 모터 솔루션 대비 크기를 3배 이상 작은 784mm2의 최소형 단일축 서보 컨트롤러·드라이버 솔루션을 제공한다. 조나스 프뤠거(Jonas Proeger) 트라이나믹 사
[헬로티] 절삭공구 전문기업 발터(Walter)가 MC230 Advance 제품군의 초경 엔드밀 Xill·tec를 새로운 포트폴리오로 선보였다. 이번 제품은 복합 부등분 헬릭스 각(35°/38°)이 적용된 새로운 유형의 고성능 형상과 발터만의 고성능 재종 WK40TF의 뛰어난 내마모 성능이 결합된 제품이다. 복합 부등분 헬릭스 각은 이 제품의 가장 중요한 형상 특징으로, 조용하고 저진동 작동을 가능케 하며, 공구 수명 및 공정 안정성 증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 초경 엔드밀은 전체 ISO 소재 그룹(P, M, K, N, S)뿐만 아니라, 통용되는 모든 밀링 작업(예: 측면 밀링, 경사진 곳 및 나선형 플런징, 풀 슬롯팅(최대 1×D), 램핑 가공 또는 플런지 밀링)에 적합하다. 다이내믹 밀링과 같은 신가공법에서도 마찬가지다. Xill·tec은 폭넓은 제품군을 갖춰 활용성도 매우 다양해진다. 엔드밀 제품은 코너 R 포함/미포함, 센터날, 넥 부분 도피 형상, 보호 챔퍼, 평형 섕크 및 Weldon 섕크가 적용된 형태로 받아볼 수 있다. ▲발터 초경 엔드밀 ‘Xill·tec&rsquo
[헬로티] 절삭공구 전문기업 비디아(WIDIA)가 TOP DRILL Modular X(TDMX) 드릴용 새로운 MS 형상 인서트의 출시했다. TDMX 플랫폼은 MS 형상의 확대로 세 가지 재료별 인서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의 가공 능력을 스테인리스강, 초합금, 강철·주철 재료에서 경사진 입구 및 출구, 적층 플레이트 및 크로스홀 드릴링 등으로 확대할 수 있다. 새로운 MS 형상 인서트가 탑재된 TDMX 본체는 타 제품과 비교하여 공구 수명이 60%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13-8 Hyper Chrome 110 KSI 공작물 재료를 3XD에서 75m/min의 절삭 속도로 가공했다. 드릴의 ‘X’ 형상 포켓 및 테이퍼드 시트는 까다로운 가공 시 안정성을 제공하며 홀더에서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인서트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형상을 통해 불안정한 절삭 조건을 줄일 수 있으며 높은 관통 속도를 제공하고 전체 가공 셋업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세 개의 인서트는 모두 다시 연마하여 공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TDMX는 야드 파운드법과 미터법 크기로 모두 제공된다(1.5xD, 3xD, 5xD, 8xD, 1
[헬로티] 와이드 밴드갭(WBG) 소재인 GaN 기반의 전력 스위치는 뛰어난 효율과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가능하게 해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새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CoolGaN IPS TIQFN 28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새로운 CoolGaN IPS 제품군을 출시해 자사의 WBG 전력 디바이스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IPS 제품군의 첫 제품인 하프 브리지 및 싱글 채널 제품은 충전기와 어댑터, SMPS 같은 중저전력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600V CoolGaN 하프브리지 IPS IGI60F1414A1L은 중저전력대의 작고 가벼운 디자인에 적합하다. 열적으로 향상된 8x8 QFN-28 패키지로 제공되며, 매우 높은 전력 밀도의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제품은 2개의 140mΩ/600V CoolGaN e-모드 HEMT 스위치에 EiceDRIVER 제품군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하이 사이드 및 로우 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를 결합했다. IGI60F1414A1L은 2개의 디지털 PWM 입력이 있는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로 인해 제어가 쉽다. 절연 기능을 통합하고, 디지털과 전원 접지를 분리하고, PCB 레이아웃 복잡성을 낮춰 개발 시간을 단축하
[헬로티] 필츠의 SecurityBridge 방화벽은 필츠 범위 밖에 있는 다른 네트워크 가입자 간의 데이터 통신에 대한 감시도 보장한다. 따라서 기존의 산업 자동화 네트워크에 훨씬 더 유연하게 통합할 수 있다. 인증 및 권한 관리 덕분에 SecurityBridge는 잠재적 데이터 임의 조작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츠의 개방형 방화벽은 플랜트 가용성을 향상시킨다. SecurityBridge 사용자는 이미 필츠의 소형 컨트롤러 PNOZmulti 및 자동화 시스템 PSS 4000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안전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는 방화벽이 다른 공급업체의 컨트롤러와 같은 네트워크 가입자도 감시할 수 있다. 승인된 데이터만 허용 SecurityBridge 방화벽은 PC와 컨트롤러 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점검하고 제어 프로젝트에 대한 무단 변경이 발생하면 보고한다. 이를 통해 자동화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기반의 공격 및 무단 접근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통합 VPN 서버 및 역할 기반 사용자 관리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SecurityBridge로 보호되는 가입자에게 액세스할 수 있
[헬로티] 산업용 통신 및 자동화 분야의 선도적인 솔루션 기업 힐셔는 PC 카드 확장으로 제품 및 시스템에 네트워크 연결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경쟁사들이 PC 카드 범위를 축소하고 있지만, 힐셔는 확장된 제품군을 제공하고 있다. 힐셔의 cifX PC 카드는 IPC와 HMI 및 로보틱스와 같은 PC 기반 제어 기능에 실시간 통신을 추가했다. 일관된 액세스와 사용 보장 cif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품군은 널리 사용되는 실시간 이더넷과 필드버스 시스템을 모두 지원한다. 모든 일반적인 PC 카드 포맷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쉽고 빠른 방법으로 제품 및 시스템에 네트워크 연결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일관된 액세스와 사용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대체 펌웨어를 로드하기만 하면, 한 카드 유형의 드라이버를 동일한 네트워크 유형의 다른 카드 포맷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PC 기반 자동화의 발전에 따라 힐셔의 cifX PC 카드 제품군 또한 이를 지원하고 있다. 이용 가능한 포맷으로는 PCI, PCI Express, 콤팩트 PCI(Compact PCI), 로우 프로파일 PCIe(Low profile PCIe), 미니 PCIe(Mini
[헬로티] 폼랩의 새로운 SLS 방식 저비용·콤팩트 3D프린터 엘코퍼레이션은 폼랩사와 공급 계약을 맺고, 폼랩의 신형 SLS 방식 3D프린터인 '퓨즈1'을 이달 중 국내에 론칭한다고 밝혔다. ▲퓨즈1 퓨즈1은 국내 폼랩 파트너사 가운데 유일하게 엘코퍼레이션에서 독점 공개하게 되는 3D프린터로, 특히 폼랩이 개발한 나일론 소재인 ‘나일론12파우더’를 사용해 다양한 3D 조형물을 생산할 수 있어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한 예로, 퓨즈1을 활용하면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는 최초의 콘셉트 설계에서부터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완제품 제조에 이르기까지 제품 개발 전체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제조 분야에서는 맞춤형 자동차 또는 오토바이 부품, 해양용 장비를 비롯해 다양한 맞춤형 제품이나 교체부품 등을 생산할 수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의료기기 시제품에서부터 의족, 정형외과용 손·발 교정기, 수술모형이나 도구 등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환자별 의료기기를 제조할 수 있다. 퓨즈1은 폼랩사가 수개월에 걸쳐 엄격한 테스트를 거친 뒤 상용화한 3D 프린터로, 엔지니어링·제조·의료 등 각 산업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재 가운데 하나인 나일론을 사용하기에 활용도는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