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이하 키사이트)가 새로운 SL1200A 시리즈 Scienlab 재생 3상 AC 에뮬레이터를 출시했다. 이 에뮬레이터는 전기차(EV), 전기차 공급 장비(EVSE) 충전 및 그리드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설팅 및 지원 서비스로 구성된 종합적인 단일 벤더 솔루션이다. 에너지 인프라가 변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산업에서 전기차의 상용화가 그리드에 상당한 수요를 창출하는 동시에 V2G(vehicle-to-grid) 전력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에너지 저장 기회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글로벌 그리드이니셔티브에서 태양열, 풍력 및 배터리 스토리지 형태의 분산 에너지 자원(DER)과 가변 재생 에너지(VRE)가 주된 테마로 언급되고 있다. 또한, 그리드의 복잡성 증가와 혁신으로 인해 EV/EVSE 충전 및 그리드 엣지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트 과제가 대두되고 있다. 키사이트 SL1200A 시리즈는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30 kVA부터 630 kVA까지, 최대 1200 VAC(voltage alternating current)의 3상 AC 테스트 요구를 처리한다. 두 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엔진 냉각을 위한 통풍구라는 고유의 기능과 함께 차량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것이 바로 자동차 그릴이다. 최근 미래차로의 변화에 맞춰 창의적인 연구개발이 이뤄지면서 자동차 그릴도 대변신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차량 전면 그릴에 LED 조명 기능을 적용한 ‘라이팅 그릴’과 차량상태와 운행조건에 따라 그릴 자체가 개폐 가능한 ‘그릴 일체식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 이 기술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차별화한 연구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전기차가 대중화되면서 기존 자동차 그릴도 조명 적용, 음향 시스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색다른 형태로의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현대모비스가 이번에 개발한 기술들도 이러한 미래차 기술 변화에 대비해 신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우선 현대모비스가 이번에 개발한 ‘라이팅 그릴’은 차량 전면부 그릴 전체를 조명 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 자율주행 모드 ▲ 전기차 충전 모드 ▲웰컴 라이트 기능 ▲ 사운드 비트 표시 ▲ 비상 경고등 표시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단순 조명 효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에지(edge)에서 클라우드까지 장거리 이더넷 연결을 제공하고 실시간 설정과 보다 적은 에너지 소비 및 더 많은 자산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솔루션을 출시하여 ADI Chronous 산업용 이더넷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고 밝혔다. ADI의 새로운 Chronous 제품은 10BASE-T1L 물리 계층 이더넷 표준을 지원하여, 공정 및 건물 설비 전반에 걸쳐 원격지와 위험지역의 에지 노드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전에는 활용할 수 없었던 이들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활하게 액세스 하고 자산 상태, 원자재 사용량, 공정 매개 변수와 같은 요인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제 보다 깔끔한 제조가 가능해졌다. 아나로그디바이스의 자동화 및 에너지 사업을 총괄하는 마크 배리 제너럴 매니저는 “많은 공정 플랜트와 건물들이 서비스 담당자가 로컬에서 수동으로 계속해서 작업에 관여해야 하고 기업 차원에서의 자산 최적화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10BASE-T1L 이더넷 표준을 준수하는 산업용 장거리 이더넷(LRE)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우리는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밀워키가 사용자 맞춤형 공구함 ‘팩아웃 시스템(PACKOUT SYSTEM)’라인업의 신제품, ‘팩아웃 작업대’와 ‘팩아웃 XL 툴박스’를 출시했다. 이번 ‘팩아웃 작업대’는 기존 팩아웃 제품의 상단과 체결하여 더욱 편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제품이다. 충격 저항에 강한 폴리머 구조로 제작돼 작업대 무게의 약 10배에 달하는 무게(최대 23Kg)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13mm 두께의 마린용 재질 합판을 사용하여 습기에 강하며 타공이 되어 있는 상판은 고정장치와 연결하여 더욱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밀워키의 모든 팩아웃 제품과 체결할 수 있다. ‘팩아웃 XL 툴박스’는 넉넉한 내부 사이즈(길이 485mm X 너비 371mm X 높이 353mm)가 돋보이는 제품으로, 밀워키가 지금까지 출시한 팩아웃 중 가장 수납공간이 크다. IP65 등급의 방진방수 성능을 갖춰 먼지와 습기로부터 공구를 완전하게 보호한다. 최대 45kg의 무게를 견딜 수 있으며, 모서리와 잠금 고리를 메탈로 보강하여 내구성이 한층 강화됐다. 내부에는 공구와 액세서리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내부 정리형 트레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제품 역시 XL 툴
시멘트보드용, 폴리크리스탈린 다이아몬드(PCD) 톱니 적용 알루미늄용, 높은 내구성의 ‘MicroteQ’ 카바이드 톱니 적용 얇은 커프 디자인으로, 자재 손실 없이 깔끔한 절단 가능 바이터보 원형톱과 무선 플런지쏘와 호환 가능 보쉬 전동공구가 시멘트보드(CRC보드)와 알루미늄 소재를 깔끔하게 절단할 수 있는 충전용 원형톱날 2종을 출시했다. 신제품은 시멘트보드용 톱날 ‘엑스퍼트 포 파이버 시멘트’(Expert for Fiber Cement), 알루미늄용 톱날 ‘엑스퍼트 포 알루미늄’(Expert for Aluminium)이다. 엑스퍼트 포 파이버 시멘트 제품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폴리크리스탈린 다이아몬드(PCD) 톱니를 적용해 연마성이 높은 시멘트보드 절단에 적합하다. 또한 엑스퍼트 포 알루미늄 제품은 높은 내구성의 ‘MicroteQ’ 카바이드 톱니로 알루미늄 뿐만 아니라 기타 비철 금속, 플라스틱, 에폭시, 목재 절단에 적합하다. 두 제품 모두 매우 얇은 커프(kerf) 디자인으로 마찰 및 자재 손실이 적고 깔끔한 절단이 가능하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해 무선 공구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극대화한다. 여기에 보쉬만의 특수 기능형 코팅인 ‘ProteQtion’ 코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는 AP-635를 시작으로, 업계 최초의 엔터프라이즈급 Wi-Fi 6E 솔루션 세트인 630 시리즈 캠퍼스 액세스 포인트(AP)를 발표했다. Wi-Fi 기술의 최신 혁신 기술인 Wi-Fi 6E는 6GHz 대역에서 작동하는 Wi-Fi 기기를 의미한다. 2020년 4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6GHz 대역을 비면허 사용을 위해 개방하면서 근 20년 만에 와이파이 용량이 가장 크게 확장됐다. 국내에서는 2020년 10월 6GHz 대역을 광대역 비면허 통신용 주파수로 공급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6GHz 대역을 개방하면 Wi-Fi에 사용하는 RF 스펙트럼의 양이 두 배 이상 증가하게 되므로 혼잡도가 낮은 공중파와 채널의 확장, 고속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혁신이 이뤄진다. FCC가 6GHz 대역을 개방하기로 결정한 이후, 약 13억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39개국이 6GHz 비면허 대역을 Wi-Fi 6E용으로 추가로 개방하게 됐다. 현재, 조직들이 대역폭을 많이 사용 중인 영상의 사용을 늘리고,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IoT 기기 증가에 대처하고,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자사의 ST8500 및 S2-LP 칩셋이 전력선 및 무선 미디어의 원활한 커넥티비티를 규정하는 G3-PLC 하이브리드 통신 표준에 대한 인증을 최초로 획득했다고 밝혔다. G3-PLC 하이브리드 사양은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시티, 산업 및 IoT 장비들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무선 채널이나 전력선 채널을 자동 및 동적으로 언제든 선택하게 해준다. 이로써 탁월한 커버리지, 안정성, 확장성을 제공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과 새로운 적용 사례를 구현할 수 있다. ST는 2020년 G3-PLC 얼라이언스 상호운용성 플러그페스트에서 ST8500 하이브리드 칩셋 데모를 선보였다. 이 칩셋은 현재 하이브리드 프로파일 테스트와 함께 2021년 3월 발표된 최신 G3-PLC 인증 체계를 완료한 최초 제품이다. 인증된 칩셋은 ST8500 프로그래머블 다중 프로토콜 전력선 통신 SoC와 STLD1 라인 드라이버 및 ST의 S2-LP 초저전력 서브 GHz 무선 트랜시버로 구성돼 있다. SoC의 프로그래밍 기능을 통해 소프트웨어 정의 구현이 가능해 CENELEC 및 FCC처럼 전 세계 주파수 대역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고해상도 영상의 끊김없는 스트리밍과 고사양 게임은 물론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메타버스까지 5G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가 5G 스마트폰 시대를 주도할 고성능 모바일 D램과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결합한 LPDDR5(Low-Power Double Data Rate) uMCP 신제품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한 멀티칩 패키지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것과 동일한 성능 메모리인 LPDDR5 제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낸드 플래시 역시 최신 인터페이스인 UFS 3.1을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이번 제품은 모바일 D램과 UFS 3.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하나로 패키징해 모바일 기기 설계에 장점을 갖춘 제품으로, 삼성전자는 모바일 D램과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다양한 용량으로 제공해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폭넓게 탑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모바일 D램은 6GB부터 12GB까지, 낸드 플래시는 128GB부터 512GB까지로 구성된 다양한 멀티칩 패키지로 출시한다. 이번 제품에 탑재된 LPDDR5 모바일 D램은 이전 LPDDR4X 대비 1.5배 빠른 25GB/s의 읽기/쓰기 속도를 지원하고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엔비디아가 안전성과 신뢰성이 최우선인 까다로운 엣지 환경에서 AI 기능을 제공하는 엔비디아 젯슨 AGX 자비에 인더스트리얼 모듈(Jetson AGX Xavier Industrial Module)을 발표했다. 공장, 농장, 정유소, 건설 현장과 같은 장소에서는 일상적인 작업은 물론 검사와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하다. 이처럼, 안전이 담보되지 못하는 까다로운 작업환경에서 사람이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최상의 방법이 아니다. 로보틱스와 자동화 기술은 제조업, 농업, 건설업, 에너지업, 정부산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AI와 딥러닝의 이점을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젯슨 AGX 자비에 인더스트리얼 모듈은 AGX 자비에 시스템 온 모듈의 기능을 확장했으며, 개발자가 고급 AI 러기다이즈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지원한다. 이는 까다로운 환경에서 지능형 비디오 분석, 광학 검사, 로보틱스, 컴퓨터 비전, 자율화, AI 작업을 지원하도록 구축됐다. 젯슨 AGX 자비에 인더스트리얼 모듈은 컴팩트한 크기와 높은 전력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됐으며, 최대 30 TOPS(초당 테라연산) 이상의 AI 성능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자율 모바일 로봇 기업인 MiR(Mobile Industrial Robots)는 현재 시장에서 유일하게 카트를 자동으로 수거하고 견인할 수 있는 자율 모바일 로봇 솔루션인 ‘미르후크(MiRHook)250’를 출시했다. 미르후크250은 2016년에 출시된 미르후크의 업데이트 버전으로, 최대 500kg까지 적재된 카트의 내부 운송을 쉽게 자동화할 수 있다. MiR의 쇠렌 E. 닐슨(Søren E. Nielsen) 사장은 “이 솔루션은 기업들과 물류센터, 병원 등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카트 및 운송 케이지의 내부 운송을 쉽고, 경제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으며 관리 또한 용이하다”며 “미르후크는 QR 코드나 에이프릴태그(AprilTag)를 통해 거의 모든 유형의 카트를 찾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카트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미르후크250은 자동으로 카트와 연결할 수 있어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도 카트의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다. 최대 2m/s의 속도로 이동하면서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미르후크250 로봇이 수거하고 다른 위치로 견인할 수 있는 카트 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크기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신일본무선은 누름식 버튼을 비접촉화하는 광학식 터치리스 센서 'NJL5830R'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하 코로나19)으로 인해 식당, 병원 등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 이전보다 청결한 위생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오늘날 비접촉식 기술이나 제품이 주목받는 이유다. NJL5830R은 발권기, 화장실 콘트롤러, 커피머신, 자판기, 병원 정산기 등과 같이 누름식 버튼이 채용돼 있는 주로 공공시설 장비를 주 타겟으로하는 터치리스 센서다. 신일본무선은 이 센서를 제품에 적용함으로써 버튼에 직접 닿지 않고 조작하는 터치리스화가 실현 가능하며, 공공성이 높은 장비에 적용해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 위생 등급을 높이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센서는 3.6 x 5.8 x 1.2(mm)의 소형·슬림형 패키지에 IR LED와 수광 IC를 탑재했으며, 광변조 방식 채용으로 외란광 허용조도 1만 럭스를 실현해 실외 설치 장비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실사용 시에는 센서 위에 버튼커버가 존재하는데, 이 때 IR이 버튼 커버에 반사돼 수광IC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으나, 이 터치리스 센서는 L자 차광구조를 채용해 반사광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스탠리블랙앤데커코리아의 전동공구 브랜드 ‘스탠리’가 강력한 파워로 높은 퍼포먼스를 발휘하는 ‘V20 FATMAX 시리즈’ 드릴 4종을 출시했다. ‘V20 FATMAX 시리즈’ 드릴 4종은 스탠리만의 고효율 FATMAX 모터 및 배터리 기술을 적용해 작업 효율을 강화한 제품군이다. 강력한 파워는 물론, 메모리 현상 없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자연 방전을 최소화하고 제품 수명을 연장했다. 드릴 드라이버 제품군에는 하이 퍼포먼스를 발휘할 수 있는 스위치 모듈을 장착해 섬세한 속도조절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과열이나 과부하가 되지 않게 제품을 보호한다. 미끄럼 방지를 위한 소프트 그립 핸들, 거친 작업 환경에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모터 보호 댐퍼 등의 디자인 개선으로 최적의 그립감과 내구성도 갖추었다. 이번 출시 라인업은 ▲햄머드릴 드라이버 ▲드릴 드라이버 ▲임팩 드라이버 ▲로터리 햄머드릴 등 20V MAX 충전 드릴류 4종다. ‘햄머드릴 드라이버(SBD721M2K)’와 ‘드릴 드라이버(SBD720M2K)’는 최대 토크 80Nm, 무부하 회전 수 2,100RPM으로 강력한 파워를 자랑한다. 각각 2단 스피드 기어박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헬로티 김진희 기자 | IT전문매체 '더버지'와 CNBC 방송 등은 지난 10일 구글이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설계용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고 보도했다. AII 칩 설계용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다는 것은 AI에 들어가는 칩을 AI가 설계한다는 의미다.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사람이 하면 수개월이 걸릴 일이지만 이번에 개발한 AI 소프트웨어는 6시간도 안 걸려 칩 설계를 할 수 있다고 과학 저널 '네이처'에 9일 게재한 논문을 통해 밝혔다. 이 논문의 공동 저자인 구글의 머신러닝 책임자 아잘리아 미르호지니는 "우리의 방법이 차세대 구글 TPU(텐서프로세싱유닛) 칩을 생산하는 데 이용됐다"고 설명했다. TPU는 구글의 머신러닝용 칩이다. 구글의 전문가들은 이 논문에서 "이번 AI 성과는 반도체 산업에 중요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와 관련해 네이처는 "공급망 속도를 올리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AMD가 AMD 라데온 PRO W6000 시리즈 워크스테이션 그래픽 카드를 발표했다. 고난도 건축 및 설계,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초고해상도 미디어 프로젝트, 고급 이미지 및 영상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AMD 라데온 PRO W6000 시리즈 그래픽 카드는 탁월한 성능과 안정성을 기반으로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는 워크스테이션 전용 그래픽 카드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혁신적인 AMD RDNA 2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차세대 고성능 PC와 노트북, 최신 게임 콘솔을 위해 설계된 AMD 라데온 PRO W6000 시리즈는 AMD 역사상 가장 빠른 워크스테이션 전용 그래픽 카드인 AMD 라데온 PRO W6800을 필두로 고성능 워크플로우를 위해 설계된 AMD 라데온 PRO 6600W,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전용 AMD 라데온 PRO 6600M을 포함한다. 스콧 허클만(Scott Herkelman) AMD 그래픽 사업부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AMD RDNA 2 아키텍처는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과 워크로드에 걸쳐 선도적인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워크스테이션 전용 그래픽 카드에 RDNA 2 아키텍처를 적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자일링스는 엣지에서 엔드포인트까지 AI 혁신을 달성하도록 설계된 '버설 AI 엣지' 시리즈를 출시했다. 버설 AI 엣지 시리즈는 GPU 대비 와트 당 AI 성능이 4배, 컴퓨팅 밀도가 이전 세대 적응형 SoC 대비 10배 향상돼 분산 지능형 시스템을 위한 차세대 적응형 포트폴리오다. 버설 AI 엣지 적응형 컴퓨팅 가속 플랫폼은 최고 레벨의 기능 안전을 갖춘 자율주행과 협업 로봇, 공장의 예측 유지보수 및 헬스케어 시스템, 항공우주 및 방위 시장을 위한 다목적 페이로드 등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지능형 기능을 제공한다. 이 포트폴리오는 AI 엔진-ML을 기반으로 기존 AI 엔진 아키텍처에 비해 4배의 머신러닝 컴퓨팅을 제공하며, 진화하는 AI 알고리즘을 위해 향상된 메모리 계층과 새로운 가속기 RAM을 통합했다. 이러한 아키텍처 혁신으로 GPU 대비 최대 4배의 와트 당 성능과 보다 짧은 지연시간을 제공함으로써 훨씬 더 뛰어난 기능을 갖춘 엣지 장치를 구현한다.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은 센서에서 AI 및 실시간 제어에 이르기까지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가속화하는 높은 컴퓨팅 밀도를 필요로 한다. 버설 AI 엣지 디바이스는 징크 울트라스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