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는 22일 글로벌 버추얼 이벤트를 열고 신규 5G 네트워크 솔루션을 대거 공개했다. 전경훈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이 직접 진행한 이날 행사는 ‘삼성 네트워크 : 통신을 재정의하다(Samsung Networks: Redefined)’라는 주제로, 삼성전자 뉴스룸과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가 단독으로 행사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국 1위 이동통신사업자인 버라이즌에 이어 올해 일본과 유럽의 1위 사업자인 NTT도코모, 보다폰 등과 잇따라 5G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차세대 이동통신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전경훈 사장은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는 4G 이동통신이 보급되기도 전인 지난 2009년에 선제적으로 5G 연구를 시작해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성공하는 등 전 세계 5G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며, “급성장하고 있는 5G 시장에서 이미 4G 사업 계약 건 수보다 더 많은 사업 계약을 수주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20년 이상의 자체 칩 설계 경험과 독보적인 소프트웨어 역량을 바탕으로 5G 시장에서 어느 때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선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자일링스(Xilinx)의 Kria KV260 비전 AI 스타터 키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Kria KV260을 사용하면 AI 개발 경험이 없는 설계 엔지니어도 FPGA 플랫폼에 설계와 알고리즘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키트는 가속화된 비전 애플리케이션의 지원을 위해 특별 제작됐다. 소비자 및 산업 개발자가 FPGA 또는 FPGA 도구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1시간 이내에 시작 및 실행할 수 있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Kria KV260 비전 AI 스타터 키트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 AI 모델, FPGA 설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추상화 수준에서 선호되는 설계 환경을 통해 사용자 지정 및 차별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아웃오브더박스(out-of-the-box, 즉시 사용 가능한) 플랫폼이다. 이 키트는 Kria K26 SOM(system-on-modules)을 이용해 대량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Kria KV260 비전 AI 스타터 키트에는 최대 8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다중 카메라 지원, 3개의 MIPI 센서 인터페이스, USB 카메라, 내장 ISP 컴포넌트, HDMI
헬로티 서재창 기자 | AMD가 첨단 공간 업스케일링 기술 AMD 피델리티FX 슈퍼 해상도(AMD FidelityFX Super Resolution, 이하 FSR)을 발표했다. AMD FSR은 프레임률 향상과 탁월한 고해상도 게이밍 환경 제공을 위해 설계된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기술로, 앞서 40개 이상의 개발사가 자사 인기 게임 타이틀 및 게임 엔진에 해당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MD는 개발사들과 함께 '22 레이싱 시리즈', '아노 1800', '갓폴', '킹스헌트', '터미네이터 : 레지스탕스' 및 '더 리프트브레이커' 등 7개 게임 타이틀에 FSR 기술을 지원하며, 2021년 말까지 '도타 2', '파 크라이 6', '바이오하자드 빌리지'에도 FSR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100개 이상의 AMD 프로세서 및 GPU에서 지원되는 AMD FSR은 특정 게임 타이틀의 4K 해상도 '성능 우선'모드에서 활용 시 네이티브 해상도 대비 평균 2.4배 높은 성능을 지원한다. FSR은 개선된 엣지 재구성 알고리즘 기반의 소스 이미지 분석으로 목표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샤프닝 패스를 통해 텍스처 디테일을 높여 보다 뛰어난 그래픽을 구현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3D 프린팅 선도 기업 스트라타시스의 자회사 메이커봇이 클린 에어(Clean Air) 스마트 필터링 시스템을 새롭게 선보였다. 클린 에어 시스템은 업계 안전성, 지속 가능성 및 규정 준수에 부합하는 3D 프린팅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트라타시스와 메이커봇의 노력의 일환으로 탄생한 신제품이다. ‘메이커봇 클린 에어(MakerBot Clean Air) 시스템’은 스마트 컨트롤 HEPA 필터링 시스템으로 메이커봇 METHOD®와 METHOD X® 3D 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메이커봇 클린 에어 시스템에는 프린팅 공정 중 발생하는 초미세 입자를 걸러 내기 위한 HEPA 필터가 포함되어 있다. 메이커봇 내부 테스트 결과, 클린 에어 시스템 없이 프린팅 작업을 했을 때와 비교해 최고 95%까지 초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HOD의 직관적인 워크플로와 원활하게 통합되는 이 시스템은 자동으로 HEPA 리드를 제어하고 주변 환경, 챔버 온도와 모델 재료를 고려한다. 메이커봇 나다브 고쉔(Nadav Goshen) CEO는 "메이커봇은 3D 프린팅 사용 범위를 전 세계로 확대하는 동시에 안전성 면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을 보장하고자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위성 통신 시스템은 동영상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복잡한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RF(무선 주파수) 출력 파워를 제공하는 동시에 신호가 이상적인 특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아시아 총괄 및 한국대표 한병돈)는 RF 파워와 신호 충실성(signal fidelity)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새로운 파워 증폭기 GMICP2731-10 GaN MMIC를 출시했다. 새로 출시된 이 디바이스는 마이크로칩 최초의 GaN(질화갈륨) MMIC(단일마이크로파집적회로)로, 상용 위성 및 방위 위성 통신, 5G 네트워크, 기타 항공우주 및 방위 시스템용으로 설계됐다. GMICP2731-10은 GaN-on-SiC (Silicon Carbide) 기술을 사용해 제작됐다. 27.5~31GHz 범위에서 3.5GHz 대역폭으로 최대 10W의 포화 RF 출력 파워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력부가효율은 20%, 소신호이득은 22dB, 반사손실은 15dB다. GMICP2731-10은 균형 잡힌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있어 50옴(ohm)에 잘 매칭되며, 설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온세미컨덕터는 커넥티드 조명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NCL31000, NCL31001 LED 드라이버 두 가지 제품을 발표했다. 새롭게 공개된 LED 드라이버 솔루션을 통해 제조업체는 조명 기반 위치확인과 가시광선 통신(VLC) 기능을 갖춘 LED 조명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데이터 인텔리전스와 정확한 위치확인(최대 30cm) 기능을 추가한 해당 제품은 슈퍼마켓, 창고, 병원, 공항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조명 기능을 혁신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온세미컨덕터는 밝혔다. 온세미컨덕터의 광범위한 LED 드라이버 제품군 중 하나인 NCL31000은 조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용으로 특별 설계된 제품이다. NCL31000은 고대역폭 아날로그 디밍과 제로 전류까지 PWM 디밍을 모두 지원하는 고에너지 효율의 벅 LED 드라이버다. 벅 LED 드라이버에는 통합형 3V3 고정 DC-DC 컨버터와 추가적으로 조정 가능한 DC-DC(2.5-24V)가 포함돼 있다. 센싱 디바이스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시스템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런 전력 솔루션을 드라이버에 통합하면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시스템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 N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와 메타-표면 설계 및 상용화 분야를 선도하는 메타렌즈가 차세대 스마트폰, 컨슈머 기기, 헬스케어,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렌즈의 메타-광학 기술을 위해 제조공정의 공동 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타렌즈는 이 기술을 개발한 하버드대의 페데리코 카파소 그룹에서 분사한 기업이다. 양사는 올해 말까지 이 혁신적 기술의 양산 준비를 완료할 계획이다. 메타렌즈의 다기능 메타-표면 광학장치는 차세대 스마트폰을 비롯해 다양한 컨슈머 기기와 의료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감지 기능을 구현한다. 이 새로운 평면 렌즈 기술로 구현된 카메라의 경우, 더 많은 빛을 모아 더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기존 굴절 렌즈와 동일하거나 더 나은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하면서도 전력소모와 차지하는 공간은 더 적다. ST는 프랑스 크롤에 위치한 당사의 300mm 웨이퍼 팹의 기존 회절성 광학장치 제조 공정에 메타렌즈의 메타-표면 광학 기술을 통합하고, 급성장 중인 근적외선 광학 감지 시장을 이끌어가는 ST의 입지를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ST는 ToF 근접 센서 및 거리 센서 시장에서 1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가 21년형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 ‘오디세이(Odyssey)’ 4종을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 주요 시장에 21일 출시했다. 오디세이 G70A(28형)는 미래 지향적 디자인과 오디세이 최초의 UHD(3840×2160) 해상도를 갖춘 평면 광시야각 패널을 적용했다. 오디세이 G70A는 GTG 기준 1ms의 빠른 응답속도와 144Hz의 높은 주사율로 잔상과 끊김 없는 화면을 구현해 최적의 게임 환경을 만들어준다. 이 제품은 최고 밝기 400니트를 지원할 뿐 아니라 차세대 영상 표준으로 각광받는 HDR 기술이 적용돼 화면 속 어두운 곳은 더욱 어둡게, 밝은 곳은 더욱 밝게 표현함으로써 생생한 게임 환경을 제공한다. 오디세이 G70A는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와 엔비디아 지싱크 컴패티블 호환 등을 지원해 고사양 게임 중 PC와 모니터 간 통신 문제로 화면이 끊기는 티어링 현상을 줄여준다. 이 밖에도 HDMI 2.1, 화면의 색상을 자동으로 인식해 제품 전·후면 라이팅과 색상을 맞춰주는 코어싱크, 21:9 비율로 화면 조절이 자유로운 울트라 와이드 게임 뷰, 모니터에 연결돼 있는 콘솔 등 IT 기기를 켰을 때, 자동 인식해 화면을 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광기술원과 에니트가 광센서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경계감시용 광센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발전소, 철도시설, 송유관 등 국가 주요 인프라와 보안시설 등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보안용 CCTV나 적외선 영상시스템은 사각지대나 낮은 해상도로 인해 감시범위가 좁고, 상시 모니터링 요원이 지켜봐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전자기파센서 및 압전센서 등은 침입체에 대한 정보 분석이 어렵고, 바람이나 낙엽 등에 의한 오경보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광기술원 광정밀계측연구센터와 에니트가 공동으로 개발에 성공한 해당 기술은 수 km 이상 길이의 광섬유를 경계망에 설치해, 주변의 진동 때문에 달라지는 이상신호를 1m 정도의 정밀도로 수집한 실시간 정보로 3D 분포도를 만든 후, 딥러닝 방식의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해 침입여부와 침입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국광기술원 측은 기술을 활용하면 침입체 규명과 침입체의 진행방향, 속력, 규모 등도 판별해 낼 수 있으며, 수십 km 이상 넓은 범위에서 경계감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광케이블이 센서와 신호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작업자가 1번만 시연해줘도 스스로 작업방식을 학습해 공정 자동화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해주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로봇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공정 자동화는 현장에 맞는 설비와 로봇을 사전에 제작·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제한된 상황에서 미리 입력된 작업만 단순 반복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작업 환경이 바뀌면 데이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로봇을 매번 새롭게 학습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의 손실이 상당했다. 생기원 스마트제조혁신연구부문 이상형 박사 연구팀은 모방과 강화 학습을 적용해 프로그래밍 절차를 제거함으로써, 스스로 무엇을 배워야 할지 판단하고 최적의 작업방식을 알아낼 수 있는 스마트 머신 솔루션을 구현했다. 작업자가 어떻게 일하는지 1번만 보여주면, 로봇은 가상세계에서 이를 따라하려고 노력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작업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후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현실에서 작업하면서 최종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작업방식을 배우는 강화학습이 일어난다. 이처럼 로봇이 알아서 최적 작업방식을 도출해내기 때문에 사람이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하거나 불필요한 설비를 추가 설치하
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텔레다인 플리어(이하 플리어)는 반도체 패키징 장비 제조기업 프로텍의 첨단 LAB 장비에 자사의 FLIR A315 열화상 카메라가 채택됐다고 밝혔다. FLIR A315는 프로텍의 LAB 장비에서 열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에 대한 정밀 온도 측정 솔루션으로서 활용된다. LAB 장비는 회로 형성을 마친 다이에 대한 본딩 작업에 필요한 열원으로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으로, 기존 리플로우 솔더링 기술보다 제조 생산성과 신뢰성을 크게 높일 뿐 아니라 리플로우 방식의 단점도 개선하는 차세대 기술로 평가된다. 열풍을 이용해 오븐의 전체 실내 온도를 300°C까지 높여야 하는 기존의 리플로우 방식과 달리, LAB는 필요한 면적만큼 레이저를 조사하므로 목표 온도까지 초 단위, 심지어 밀리초 단위로 도달이 가능하고, 열 스트레스를 줄인다. 또한, 패널 단위로 한꺼번에 여러 개의 제품을 처리할 수 있어 시간당 생산량도 크게 높인다. 하지만 LAB 장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레이저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고 전체적인 열 분포를 확인하는 열 및 온도 측정 계측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 프로텍 시스템사업부Ⅲ CS팀 임석지 과장은 “프로텍은 온도 센서를 이용한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세연테크(대표이사 김종훈)는 공공기관용 IP 카메라 보안, 상호 연동 및 품질 인증(TTA)이 가능한 정부기관 및 관공서 납품은 물론 가격 경쟁이 치열한 민수용 IP 카메라를 개발하려는 제조사들에게 성능 및 기능, 가격, 납기 문제를 해결한 IP 카메라 패키지를 개발, 출시한다고 밝혔다. IP 5M 카메라 모듈은 밝기 대비 차량이 크거나, 흔들림이나 잡음 등의 악조건 환경에서도 안정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객체 트래킹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라인 크로싱, 침입탐지, 배회 탐지는 물론 차량인식, 휴먼(얼굴) 검출 등 AI 기반의 다양한 지능형 기능들도 제공된다. 목적에 따라 고정 초점 렌즈와 자동 초점 렌즈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IP CCTV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Full HD 2M 모델과 5M의 기본 기능 모델이 6월말에 출시되며 4K 모델 및 AI 기반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델들이 순차적으로 구현 및 출시될 예정이다. 지난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으로 촉발된 중국 반도체 제품 보안 문제 및 대만 파운드리 TSMC의 공급 제한으로 대부분의 IP 카메라 제조사는 화웨이의 자회사인 하이실리콘(Hisilicon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ST의 새로운 지능형 및 통합 GaN(Gallium Nitride) 솔루션 제품군인 STi2GaN을 출시했다. STi2GaN은 전기화 플랫폼으로 전환 중인 자동차 산업에 필요한 소형 고성능 솔루션에 전력 및 지능형 기능을 결합한 혁신적이고 독보적인 제품이다. STi2GaN 제품군은 자동차 분야에서 보여준 ST의 리더십과 엄청난 경험 그리고 혁신적 스마트 전력 기술과 와이드 밴드갭(Wide Bandgap) 반도체 소재 및 패키징 전문성을 바탕으로 구현됐다. 이에 따라 GaN 기술의 드라이버 및 보호 기능과 모놀리식 전력단은 물론, 추가 프로세싱 및 제어 회로를 갖춘 애플리케이션별 IC를 지원하는 SiP(System-in-Package) 솔루션을 결합하고 있다. STi2GaN 솔루션은 와이어 본딩이 필요없는 ST의 새로운 패키징 기술을 사용해 뛰어난 견고성과 신뢰성, 성능을 제공한다. 알피오 루쏘(Alfio Russo) ST Low Voltage 및 STI2GaN 솔루션 매크로 사업부 사업본부장 겸 그룹 부사장은 “STi2GaN은 주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과 고밀도, 고신뢰성, 고전력 요건을 대상으로 하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마이크로일렉트로니카가 18일인 오늘 SiBRAIN 소켓이 장착된 개발 보드에 마이크로 컨트롤러(MCU)의 간단한 설치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추가 기능 개발 보드인 'SiBRAIN'을 출시했다. SiBRAIN은 임베디드 설계자가 고가의 하드웨어에 투자하거나 새로운 도구를 배우지 않고도 프로토타입 시스템에서 다양한 MCU를 적용해볼 수 있는 제품이다. 현재 SiBRAIN 카드는 마이크로칩,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NXP 및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주요 제조업체의 MCU를 지원하며 다른 업체들의 MCU에도 조만간 적용될 예정이다. 네보야 매틱(Nebojsa Matic) 마이크로일렉트로니카 CEO는 "그동안 표준화된 툴이 없었기에 설계자들이 모든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대한 운영 지침, 배워야 할 새로운 도구, 새로운 보드와 라이센스를 구입하고 채택해야만 했다"고 말했다. 네보야 매틱 CEO는 “SiBRAIN 카드와 소켓 표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새로운 솔루션으로서 수 개월에 걸친 개발 시간과 비용을 줄여주면서도 엄청난 설계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SiBRAIN은 마이크로일렉트로니카의 클릭 보드 제품 범위를 뒷받침하는 '플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스트라타시스가 연구 및 패키징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한 신규 폴리젯 3D프린터 2종인 스트라타시스 J35 프로, 스트라타시스 J55 프라임과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출시했다. J35 프로는 스트라타시스 최초의 다소재 데스크탑 3D프린터다. J55 프라임에는 풀컬러 기능과 함께 촉감, 질감, 감각을 표현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재료가 추가돼 기존 J55 프린터의 성능을 확장시켰다. J35 프로 3D프린터는 컨셉 모델링부터 정교함과 사실성을 갖춘 기능성 모델링까지 다양한 작업을 지원한다. 올인원 다소재 데스크탑 3D프린터인 J35 프로는 특히 엔지니어링 및 디자인 오피스 환경에 이상적인 제품이다. Vero UltraClear 소재 등 다양한 소재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어, 엔지니어와 디자이너의 니즈에 정확히 들어맞는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유연함을 제공한다. J35 프로는 단일 소재로 프린팅하거나 최대 세 가지 소재를 결합해 동일한 트레이에서 출력할 수 있으며, 오버몰딩, 필링 시뮬레이션, 풀 그레이 스케일 프린팅 등도 지원한다. 디자이너와 엔지니어는 J35 프로의 다소재 기능을 활용해 복잡한 형태나 정교한 디테일, 섬세함을 구현하면서도 광범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