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최근 산업 환경에서 중요한 현안 중의 하나는 안전이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로이체는 효율적인 안전 솔루션 LBK 안전 레이더 시스템을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분진이나 스파크, 수분 등이 많은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또한, 2차원이 아닌 3차원 공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과 정밀한 센서 감도로 작업자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미세한 움직임을 포착하는 LBK 안전 센서 LBK 레이더 시스템은 작업자가 모니터링 된 영역에 진입하면 그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작업자가 위험 구역에 남아 있는 동안에는 기계의 재시동을 방지하여 작업자를 보호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위험 구역으로부터 벗어나면 다시 진입 접근 보호 모드로 변경되어 사람의 진입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이 시스템의 레이더 기술은 모션 감지 알고리즘을 통해 사람과 고정된 물체를 명확히 구별한다. 따라서 팔레트 또는 컨테이너와 같은 고정 물체는 작업 영역에 남아 있어도 기계나 시스템은 중단되지 않고 문제없이 가동된다. 쉬운 설치와 유연한 시스템 운영 LBK 안전 레이더 시스템은 재시동 방지와 사각 지대 모니터링에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필츠가 안전 레이저 스캐너 PSENscan 새로운 버전을 추가하면서 디지털 입력 및 출력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새로운 17핀 및 마스터 엔코더 타입 덕분에 최대 70개의 전환 가능한 구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됐으며, 최대 3개의 별도 안전 구역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영역의 경우에는 더욱 생산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새로운 부분 동적 뮤팅을 사용할 수 있다. 엔코더 평가, 대기 모드, 더욱 정교한 주행 등 내부 물류 섹터를 위한 새로운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안전 레이저 스캐너에서 새로 발생된 엔코더 입력을 직접적으로 빠르게 평가하므로, 추가 배선에 소요되었을 노동력과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PSENscan은 30, 40, 50, 70 또는 150mm의 높은 분해능과 여러 번에 걸친 스캔 평가 덕분에 극도로 유연하고 다재다능하다. 교체 가능한 새 메모리 모듈을 사용하여 다른 레이저 스캐너로 쉽게 구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손상된 경우 개별적으로 교체 가능한 스캐너 헤드가 있으므로 설치 및 플랜트 가동 중단 시간이 최소화된다. 동적 안전 가딩 세부적인 특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차량용 인캐빈 모니터링 시스템(ICMS)이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을 한 차원 향상한다. 차 안에 방치된 아동 감지, 운전자 상태 및 탑승자 감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도입되고 있으며 레이더가 핵심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레이더는 미세한 움직임과 생체 반응을 감지한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는 XENSIV BGT60ATR24C AEC-Q100 레이더 센서, AURIX 마이크로컨트롤러, OPTIREG PMIC의 제품 구성으로 ICMS 서브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는 초광대역, 초저전력,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나고 확장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 제품은 새로운 신호 프로세싱 기법을 가능하게 해 시스템의 견고성을 높이고 시스템 필요에 따라 계산 비용과 정보 수준 및 전력 소모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XENSIV BGT60ATR24C 레이더 센서는 △가상 어레이 구성을 위한 다중의 송신/수신 △매우 민첩한 변조 생성 메커니즘 △자동 전력 모드 구성 △RF와 프로세싱 간의 단순화된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AURIX TC3xx MCU 제품군은 높은 성능과 강력한 안전 아키텍처를 결합했으며, 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마이크로소프트는 차세대 운영체제 윈도우 11(Windows 11)을 공개했다. 윈도우 11은 업무, 학습, 게임 등에 최적화돼 뛰어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단순화된 디자인 ▲업그레이드된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개방된 에코시스템 구축 ▲최신 게이밍 기술 구동 등의 주요 기능을 발표했다. 윈도우 11은 올해 안에 신규 생산되는 PC에서, 그리고 적격한 윈도우 10 기반 PC에서 무료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 가능해질 예정이다. 단순화된 디자인으로 생산성 향상 먼저 윈도우 11은 새롭고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직관적인 기능으로 사용자의 생산성과 창의성 증대를 지원한다. 시작 버튼은 화면 중간에 위치하며, 사용자는 클릭 한 번으로 필요한 항목을 보다 간편히 찾을 수 있다. 시작 메뉴는 사용자가 이전에 열었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데, 클라우드와 마이크로소프트 365(Microsoft 365) 기술 적용으로 안드로이드와 iOS 디바이스에서 작업하던 문서도 연동되어 쉽게 업무를 이어갈 수 있다. 스냅 레이아웃(Snap Layouts), 스냅 그룹(Snap Groups), 데스크톱(Desktops) 등 사용자가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절삭공구 전문기업 비디아(WIDIA)는 오늘 스틸 및 주철 소재의 중황삭 밀링 작업을 위한 M8065HD 인덱서블 밀링 플랫폼 출시를 발표했다. 8개의 절삭날과 매우 넓은 칩 배출구가 설계된 M8065HD는 페이스 및 숄더 밀링 작업에서 깊은 절입량으로 높은 소재 제거율을 달성할 수 있다. WIDIA 선임 글로벌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Christine Schneider는 "페이스 밀링은 가장 일반적인 가공 작업 중 하나이므로, 스틸 및 주철의 소재 제거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비용 효율적인 다목적 솔루션을 설계했다"면서 "M8065HD는 페이스 밀링 공구 재고를 줄이고 가공 생산량을 높이려는 일반 엔지니어링, 에너지 및 자동차 고객을 위한 턴키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6.35mm 두께의 인서트를 사용하여 65도 절입각으로 설계된 M8065HD는 WP35CM, WK15CM 및 WU20PM의 세 가지 다목적 재종에 하나의 범용 인서트 형상을 갖추고 있다. WP35CM 재종은 모든 유형의 스틸을 대상으로 하며, WK15CM 재종은 주철 소재용으로 설계되었으며 건식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지만 습식 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범용 W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엘리먼트14가 DFRobot의 교육용 장치 제품군을 확장했다. DFRobot의 사용자 친화적 오픈 소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도구는 전자 프로젝트 설계를 소개함으로써 미래의 창작자에게 영감을 불어 넣도록 고안됐다. 엘리먼트14는 로봇 키트 시리즈는 물론, 2018 Teach Primary Resource Awards에서 Five Stars를 수상한 인기 제품 micro:bit용 Boson Starter Kit 등 DFRobot의 140여 제품을 재고로 보유하게 됐다. DFRobot의 키트는 실제 장비와 애플리케이션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로봇 공학과 프로그래밍을 사용자에게 소개한다. Max:Bot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입문 단계의 DIY 로봇으로 모터, 스피커, 센서 기능이 주요 특징이며, 어린 학생들이 다이렉트 프로그래밍과 원격 제어 작동을 통해 로봇을 제작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Maqueen Mechanic Kit는 물건을 적재하고 제품을 분류하는 등 실제 과제를 완수하는 로봇 불도저와 로딩 머신 조립을 통해 기능적 기계 실습을 직접 해볼 수 있게 한다. 고급 수준의 학생들의 경우, 4-Soldering Light Chaser Bea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뷰웍스가 세계 최초 1억5,200만 화소 하이엔드 산업용 카메라를 출시했다. 152메가픽셀(Megapixel·1억5,200만 화소) 하이엔드(High-end) 산업용 카메라 'VP-152MX'는 세계 최초 종횡비가 16대9인 이미지 센서에 초고해상도를 구현했다. 주로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검사에 사용되는 VP-152MX는 세계 최초 독자기술로 개발한 대면적 고속 이미지 센서(CMOS)를 장착해 저조도 환경에서도 고품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카메라 영상 획득 속도의 경우, 16.0fps로 기존 모델인 'VP-151MX' 대비 3배 가까이 빨라져 검사 효율과 함께 생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 뷰웍스에 따르면 이번 VP-152MX는 삼성, LG 등 세계 3대 디스플레이 제조사 검사라인에 최적화됐다. 이미지 센서의 종횡비가 16대9이기 때문에 모바일은 물론 노트북, 태블릿 등의 평판디스플레이(FPD),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검사에도 효과적이다. 또 인쇄회로기판(PCB), 반도체 기판(Wafer) 등 반도체 후공정 검사에 적용할 경우 검사라인의 생산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초고해상도 산업
헬로티 서재창 기자 | KLA는 자동차 반도체 칩 제조를 위한 신제품 4종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에는 8935 고생산성 패턴 웨이퍼 검사 시스템, C205 광대역 플라즈마 패턴 웨이퍼 검사 시스템, Surfscan SP A2/A3 비패턴 웨이퍼 검사 시스템, 그리고 I-PAT 인라인 결함 부품 평균 테스트 선별 솔루션이 포함된다. 현재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EV), 연결성,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및 자율 주행 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차량에 더 많은 전자 장치가 필요하며 그만큼 반도체 칩 수요가 늘어난다는 것을 뜻한다. 반도체 칩은 차량 운용 및 안전과 관련한 응용 분야의 핵심이기에 신뢰성이 중요하며 자동차 반도체 칩은 반드시 엄격한 품질 표준을 충족해야 한다. KLA이 새롭게 선보이는 Surfscan SP A2/A3, 8935, C205 검사 시스템, 그리고 혁신적인 I-PAT 인라인 스크리닝 솔루션은 자동차 칩 수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아흐매드 칸(Ahmad Khan) KLA 반도체 공정 제어 사업부 사장은 “최신 차량은 주변을 감지하고 운전 결정을 내리고 행동을 제어하는 수천 개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고 있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미쓰비시전기는 EPLAN의 새로운 파트너 프로그램인 'EPLAN 파트너 프로그램(이하 EPP)'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EPLAN은 다년간 미쓰비시전기의 e-F@ctory Alliance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 연계 강화로 스마트 매뉴팩처링 분야에서 디지털 연계와 솔루션 제공을 더욱 강화해갈 것으로 보인다. EPLAN 파트너 프로그램은 EPLAN의 소프트웨어와 파트너 기업의 PLC나 시뮬레이터 등 생산 현장의 기기, 부품 간의 인터페이스를 공동 개발해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을 추진 및 강화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부가가치나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미쓰비시전기와 EPLAN이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은 EPLAN의 Electric P8과 FA기기의 프로그래밍, 제어를 담당하는 미쓰비시전기의 MELSOFT iQ Works를 접속해 소프트웨어 간에 심볼릭주소, I/O리스트, 프로세스 변수 등의 데이터를 오픈데이터 형식으로 송수신 가능하게 한다 . EPLAN의 데이터셋을 MELSOFT iQ Works의 PLC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며, 사용자는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임의의 데이터를 교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노키아는 디지털 빔 포밍(beamforming) 기능을 갖춘 다중입출력 활성 안테나(massive MIMO active antennas), 베이스밴드(baseband, 기저대역), 원격 무선헤드(remote radio heads)가 포함된 에어스케일(AirScale) 5G 기지국 제품군 최신 라인업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했다. 노키아의 최신 리프샤크 SoC(ReefShark System-on-Chip) 칩셋을 기반으로 제작된 에어스케일 5G 솔루션은 최고의 용량과 네트워크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 구축과 관리가 가능하다. 노키아의 새로운 에어스케일 5G 기지국 제품군은 이미 상용화 중이다. 에어스케일 다중입출력 안테나는 32TRX, 64TRX 제품군에서부터 8T8R 원격 무선헤드 솔루션까지 제공한다. 32TRX는 경량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높은 무선 주파수 대역폭(200MHz 점유 대역폭과 400MHz 순간 대역폭) 지원은 물론, 손상 없이 높은 무선 주파수 전력 출력이 가능하다. 새롭게 출시된 32TRX와 64TRX 다중입출력 안테나는 조각 스펙트럼(fragmented spectrum)과 네트워크 공유(network sharing c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씨크(SICK)가 다양한 품질 검사를 위한 간편한 자동화 솔루션인 'Quality Inspection SensorApp'과 새로운 올인원 비전 센서 'InspectorP62x'를 출시했다. 높은 생산 품질과 공정 품질을 준수하는 것은 모든 생산 공정에서 중요한 과제다. 발전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기업은 품질 검사 자동화를 통하여 불량률과 다운 타임은 줄이고, 생산량과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고객에게 높은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2D 비전 센서 InspectorP6xx 시리즈에 탑재된 새로운 Quality Inspection SensorApp은 제품 생산, 조립, 포장 검사 또는 부품 위치 결정 및 치수 측정을 간편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SensorApp은 제품의 가공 및 조립 상태와 치수 등을 검사하여, 기업의 품질 기준 요건에 충족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웹 브라우저 방식의 설정 프로그램인 Sopas Air에서, SICK Nova를 기반으로 이미지 처리 및 통합 도구를 설정 및 조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해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탑재된 표준형 도구에 사용자 정의 도구를 추가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파나소닉코리아가 새로운 L-마운트 표준 단렌즈 루믹스(LUMIX) S 50mm F1.8 (이하 S-S50)을 출시한다. S-S50은 루믹스 S 시리즈의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L-마운트 F1.8 단초점 렌즈 85mm에 이은 두 번째 모델이다. 이 렌즈는 소형, 경량 및 조작디자인을 동일하게 하여 소비자 편의성과 실용성을 극대화했다. 파나소닉이 새롭게 선보이는 루믹스 S-S50는 ED(Extra-low Dispersion) 렌즈 1매와 UHR(Ultra-High Refractive index) 렌즈 1매를 포함한 8군 9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3개의 비구면 렌즈는 고해상도뿐만 아니라 F1.8 시리즈의 특장점인 아름다운 보케를 구현한다. 특히, 이번 신제품에서는 리니어 모터 채용, 고속·고정밀 AF성능 및 AF동작 시의 정숙성도 양립하는 등의 광학설계를 적용해 높아지는 동영상 촬영요구에 부응했다. 또한 세밀하게 조리개 값을 조정할 수 있어 부드럽게 노출을 변화시킬 수 있고, 포커싱 시의 핀트 위치 이동에 따라 화각이 변화하는 브리딩(breathing) 현상을 억제하여 전문가 수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루믹스 S-S50은 인물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에 들어서며 차량 내부 공간 활용성이 중요해진 가운데 현대모비스가 자율주행과 전동화에 최적화된 신개념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제적으로 선보였다. 현대모비스가 클러스터와 HUD(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통합한 ‘클러스터리스 HUD’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클러스터리스 HUD는 클러스터에 표시하는 각종 주행정보를 운전자 정면의 HUD(Head Up Display)와 AVNT(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텔레커뮤니케이션)로 분산시켜 운전자들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한 차세대 운전석 기술이다. 클러스터리스 HUD는 속도와 RPM 등 상시 필수 주행정보를 운전자 눈높이로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길 안내 등 HUD 본연의 주행보조 기능까지 더해 안전과 편의성을 대폭 개선했다. 디자인 차별화를 이뤄내고 주행정보표시 시인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른 보조적인 주행 정보는 AVNT에 표시된다. 클러스터리스 HUD는 상단의 세 구역과 하단의 한 구역 총 4개의 표시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에는 속도, RPM, ADAS 관련 정보, 길안내 정보 등을 보여준다. 하단에서는 변속 모드, 냉각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비바도 ML 에디션은 기존의 비바도 HLx 에디션에 비해 복잡한 설계에서 5배 더 빠른 컴파일 시간과 결과품질을 평균 10%까지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한다. 자일링스가 머신러닝 최적화 알고리즘과 첨단 팀 기반 디자인 플로우를 기반으로 설계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FPGA EDA 툴인 비바도 ML(Vivado ML) 에디션을 출시했다. 자일링스의 소프트웨어 및 AI 솔루션 부문 마케팅 디렉터인 닉 니(Nick Ni)는 “오늘날의 EDA 설계자들은 끊임없이 증가하는 설계 복잡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머신러닝은 이러한 설계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고, 결과품질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미래를 위한 새로운 도약이 될 것이다. 비바도 ML은 개발자가 설계 주기를 단축하고, 설계 생성에서 마감까지 새로운 차원의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비바도 ML 에디션은 설계 마감을 가속화하는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지원한다. 이 기술은 머신러닝 기반 로직 최적화를 비롯해 지연시간 예측 및 지능형 설계 실행을 지원하며, 타이밍 마감 반복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자동화할 수 있다. NI의 최고
헬로티 김진희 기자 | “PIC 및 AVR MCU용 MPLAB 클라우드 툴 에코시스템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부터 생산 단계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경험을 향상시키고 개발자가 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아시아 총괄 및 한국대표: 한병돈)는 24일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디자인 간소화를 위한 PIC 및 AVR MCU용 MPLAB 클라우드 툴 에코시스템을 새롭게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무료로 제공되는 이 올인원 클라우드 플랫폼은 협업 환경에서의 간편한 통합 검색 및 예제 코드 발견, 프로젝트의 그래픽 구성 및 코드 디버깅을 하나로 결합한다. 이러한 협업 환경은 보다 사용하기 쉬운 브라우저 기반 인터페이스 및 클라우드 연결을 통해 모든 기술 수준의 사용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설계를 단순화하는 동시에 엔터프라이즈 규모의 신속한 개발을 지원한다. 마이크로칩의 MPLAB 클라우드 툴 에코시스템은 PIC 및 AVR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개발 워크플로우를 현대화하도록 디자인된 세 가지 강력한 구성 요소를 통합하였다. 사용자는 MPLAB Discover의 이해하기 쉬운 카탈로그를 사용하여 완벽하게 구성된 완전한 소스코드, 프로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