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세연테크(대표이사 김종훈)는 공공기관용 IP 카메라 보안, 상호 연동 및 품질 인증(TTA)이 가능한 정부기관 및 관공서 납품은 물론 가격 경쟁이 치열한 민수용 IP 카메라를 개발하려는 제조사들에게 성능 및 기능, 가격, 납기 문제를 해결한 IP 카메라 패키지를 개발, 출시한다고 밝혔다. IP 5M 카메라 모듈은 밝기 대비 차량이 크거나, 흔들림이나 잡음 등의 악조건 환경에서도 안정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객체 트래킹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라인 크로싱, 침입탐지, 배회 탐지는 물론 차량인식, 휴먼(얼굴) 검출 등 AI 기반의 다양한 지능형 기능들도 제공된다. 목적에 따라 고정 초점 렌즈와 자동 초점 렌즈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IP CCTV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Full HD 2M 모델과 5M의 기본 기능 모델이 6월말에 출시되며 4K 모델 및 AI 기반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델들이 순차적으로 구현 및 출시될 예정이다. 지난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으로 촉발된 중국 반도체 제품 보안 문제 및 대만 파운드리 TSMC의 공급 제한으로 대부분의 IP 카메라 제조사는 화웨이의 자회사인 하이실리콘(Hisilicon
[헬로티] 세연테크는 최근 IP 카메라가 신규 설치되는 현장은 물론이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서도 지능화 할 수 있도록 컨버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NX 기반의 캐리어 보드 ‘젯슨 나노(Jetson Nano)’와 ‘젯슨 자비어(Jetson Xavier)’ 두 종류의 온라인 판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 보드는 실제로 jetson 모듈을 이용하여 상품화를 준비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나 SI 업체에게 많은 활용이 기대되는 제품이다. 젯슨 나노는 소형 캐리어 보드(모델명 FWS100-BB)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기로 활용이 가능하다. 젯슨 자비어 보드(모델명 FWR2P4-BB)는 4개의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가 지원되는 형태로 소형 컴퓨터 및 레코더로 활용이 가능하다. 두 제품 모두, 2개의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와, 스피커/마이크 단자, 그리고 HDMI, USB2.0, USB3.0 단자, 디지털 입출력 단자를 지원한다. 472GFlops의 GPU 성능과 Quad-core ARM CPU 모듈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대 21Tops의 GPU 성능과 6-core ARM CPU 모듈도 함께 지원한다.신제품 캐리어 보드는 고객들이 하드웨어만 구매하여 우
[헬로티] 세연테크(대표이사 김종훈)는 최근 IP 카메라가 신규 설치되는 현장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현장도 지능화할 수 있는 일종의 외장형 컨버터 제품을 출시했다. AI 브리지라는 제품인 ‘FWS100-NN’은 임의의 IP카메라 신호를 등록하여 선택된 영상에서 지능형 메타 정보 추출이 가능하다. 2개의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와, 스피커/마이크 단자, USB2.0 단자, USB3.0 단자, 디지털 입출력 단자를 지원한다. ▲ AI 하드웨어 플랫폼 ‘FWS100-NN’ 이 기기에는 세연테크가 자체 개발한 펌웨어와 개발 환경이 지원되며, 자동차 번호판 인식, 객체검출, 연기, 화재, 그리고 이상행동 검출 등의 응용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개방형 구조로 개발환경을 제공하여, 고객사가 개발한 자체 AI모델이나 학습 AI모델을 활용 가능토록 개발 환경(SDK)을 지원하며, 자사의 기술지원 없이도, 고객 스스로 하드웨어만 구매하여 자체 소프트웨어를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세연테크는 AI 브리지를 IP카메라 영상의 지능화 용도로 상품화했지만, AI 분야의 다양한 응용에 따라, 타 분야에서 임베디드 기반의 하드웨어(CP
[헬로티] IP 카메라 개발 제조 전문업체 세연테크(대표이사 김종훈)는 암바렐라 기반의 SOC를 적용한 IP카메라용 보급형 IP 모듈 ‘FW1172-A3B’를 양산한다고 밝혔다. 최근 대만 TSMC에서 중국 H사의 반도체 생산이 중단됨에 따라, 현실적으로 IP카메라용 칩의 납기가 불안정해져, 많은 제조사에서 다른 대안을 찾고 있음에 따라, 세연테크는 국내외 시장을 확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화소에 대응할 수 있는 IP카메라용 모듈을 출시하고, 공격적으로 고객을 발굴하고 있다. ▲ 암바렐라 SOC 기반의 범용 IP 카메라 모듈 ‘FW1172-A3B' 세연테크는 신제품 IP 모듈이 2메가 화소 수 ~ 5메가 화소 수까지 지원한다. 이와 병행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서까지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자동차 번호판 감지에 많이 사용되는 글로벌 셔터 센서와도 연동되며, PTZ 카메라에도 활용이 되고 있어 시장 모가 크다. 현재, 세연테크는 이스라엘, 이태리, 대만, 미국 등 해외 제조사에서 성능 검증이 완료돼 납품하고 있으며, 사용 목적에 맞는 센서와 함께 모듈을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IP 비디오가 필요한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드
[첨단 헬로티] 글로벌 인터넷 프로토콜 카메라 생산 업체 비보텍이 인공지능 얼굴인식 엔진을 전 모델에 탑재한다. 비보텍의 한국 총판점 한성SMB솔루션은 비보텍이 인공지능(AI) 안면인식 기술 분야의 세계 1위 업체인 사이버링크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최첨단 AI 안면인식 엔진을 비보텍 IP 카메라 전 모델에 통합 적용해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 비보텍이 자사 카메라에 인공지능 얼굴인식 솔루션을 탑재하기로 했다. 페이스미(FaceMe)라는 이름의 이 기술은 AI 안면 인식 엔진과 비보텍 네트워크 카메라가 비디오 관리 소프트웨어에 통합돼 보안 관리자가 정확한 안면 인식 경고를 수신할 수 있게 한 세계 최고 수준의 솔루션이다. 비보텍 한국 담당인 버지니아 친은 “사물인터넷(IoT) 과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의 혁신과 기술 발전과 맞물려 보안은 물론 공공의 안전, 뱅킹 등 거의 모든 산업과 업계 전반에 걸쳐 안면 인식 기술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며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면인식 기술을 통하면 인터넷 네트워크로 인식된 인물에 대한 동선을 정밀 추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기술의 핵심 요소는
[첨단 헬로티] IP 카메라, NVR 및 원격제어 솔루션 전문업체인 세연테크는 최근 성남도시개발공사에 자사의 엣지핸들러 솔루션을 활용해 성공적으로 관제센터를 구축하여 호평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는 안산도시개발공사의 통합 모니터 센터에 CCTV 및 녹화기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엣지핸들러를 공급하여 모니터링 센터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밝혔다. ▲ 세연테의 엣지핸들러 솔루션을 활용해 구축한 관제센터 이미지 엣지핸들러를 활용한 종합 상황실이나 관제센터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를 위하여 기존에 야외의 주차시설, 상가시설, 체육시설 등 여러 곳에 분산 설치한 제조사가 서로 다른 이기종의 DVR, NVR시스템을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기존 자원을 폐기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비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별성이 장점이다. 무엇보다도 엣지핸들러를 사용하면, 1,000여 대의 CCTV카메라가 70여 대의 NVR, DVR로 분산 관리되고 있는 환경에서도, 기존 시스템의 수정이나 업그레이드 없이 엣지핸들러 어뎁터와 엣지핸들러 디코더를 이용하여 통합 모니터링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다. 최근 전국 각
[첨단 헬로티] 세연테크는 공공기관용 IP 카메라 보안, 상호 연동, 품질 인증(TTA)이 가능한 IP 카메라 패키지 모듈(모델명, FWC-F3B-FX7)을 개발 출시하며, 이번 모듈은 정부 기관이나 관공서에 납품하는 CCTV IP 카메라 제조사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세연테크 김종훈 대표는 “최근에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중국 계열의 SOC가 아닌 암바렐라 플랫폼을 사용하여 국내뿐 아니라 화웨이 계열이 아닌 ISP 기반의 IP 카메라를 찾고 있는 해외 고객에게도 적합한 모듈”이라고 강조했다. ▲ IP 카메라 패키지 모듈 'FWC-F3B-FX7' 모듈은 IP CCTV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풀 HD 2M 영상을 고압축률의 H.265를 이용하여 최대 60fps로 전송할 수 있고, 특히 고성능의 SoC를 사용하여, 타 카메라에 비하여 복수개의 원격접속이 있더라도 안정적인 속도를 제공한다. 또한 저조도 특성이 우수한 SONY CMOS 최신 센서를 탑재했고, 고정 초점 렌즈의 보급형 카메라뿐만 아니라 Motorized Lens를 사용하는 고사양의 카메라 제품 개발까지 활용이 가능하며, H.265, H.264, MJPEG, JPE
[첨단 헬로티] 세연테크(대표이사 김종훈)가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동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리눅스 기반의 엠베디드 NVR ‘FWR224-01N’과 ‘FWR228-01N’ 모델을 출시했다. ▲ 32인치 FWR224-01N ▲ 64인치 FWR228-01N IP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동보 방송이란, 세연테크 NVR에 연결된 마이크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연테크의 IP 카메라 여러 대에 동시에 음성을 전송하는 기능이다. 신제품 NVR FWR224-01N은 32채널용으로 NVR 8TB HDD를 4대까지 장착 할 수 있으며, FWR228-01은 64채널용으로 8TB HDD를 8대까지 장착 할 수 있다. 이번 신제품은 특히 NVR에 카메라 그룹을 설정하고, 그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카메라에 음성 전송이 가능하며 각각의 그룹별로 음성 전송 기능을 ON/OFF 할 수 있다. 또한 CCTV를 위해 설치되는 NVR과 카메라 외에 추가적인 PA(Public Address)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아 안내 방송 및 보안 목적의 음성 방송을 사용하는 경우에 세연테크의 NVR 음성 동보 방송 시스템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특히
[첨단 헬로티] 영상 장면에 메타데이터 추가되어 특정 상황에 대한 경보 신속한 수신 가능 보쉬시큐리티시스템즈(사업부장 엄상윤)가 영상 보안계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지능형 IP 카메라 AUTODOME IP 4000i 및 5000i 시리즈를 출시했다. 영상 보안의 혁신을 이끌 보쉬의 새로운 IP 카메라는 ▲ 메타데이터가 추가되어 보안규칙을 설정해 관리가 가능하고 ▲ 카메라 스스로 영상 장면을 이해할 수 있으며, ▲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의 동선을 수동으로 파악이 가능한 기능 등을 갖춰 최고 수준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번 신제품 IP카메라는 캡처된 모든 영상 이미지에 메타데이터(데이터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데이터로, 속성정보라고도 한다.)가 추가되어 사전에 정의된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이 발생할 시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관리자가 기존에 설정해 둔 경보 규칙에 위배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곧바로 경보시스템이 작동해 보안 요원은 중요한 보안 상황을 놓치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보안뿐 아니라 교통규제 및 불법 주정차 단속,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 등의 분야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내장된 영상 분석 기능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