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지난 7월 우리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195억달러를 기록하며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다. 수입 113.2억달러, 무역수지는 81.7억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ICT 수출액(195억달러)은 전년 동월 대비 30.2% 증가하며, 작년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4개월 연속 두 자리 증가다. 수출액 규모는 역대 7월 수출액 중 1위에 해당된다.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110.5억달러로, 38.8% 증가했다.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 등으로 메모리(71.4억달러, 43.8%↑)와 시스템(33.4억달러, 35.8%↑)이 동반 상승하며, 3개월 연속 100억달러대를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는 20.9억달러로, 34.9% 증가했다. 모바일·TV 등의 수요 확대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수출 호조세로 11개월 연속 증가세를 구현했다. 휴대폰은 9.6억달러로 1.2% 소폭 증가했다. 하반기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 등으로 완제품·부분품 동시 확대되며, 증가세로 전환됐다. 컴퓨터‧주변기기는 15.5억달러를 기록하며 28.3% 증가했다. 컴퓨터(2.1억달러, 4.5%↑)와 주변기기(13.4억달러, 3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올해 7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은 195억 달러로 역대 7월 수출액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세, 4개월 연속 두 자리 증가한 실적을 보였다. 일평균 수출도 8억 달러로 32.9% 증가해 이 또한 역대 7월 일평균 수출액 중 1위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2일 발표한 ‘2021년 7월 ICT 수출입 동향’을 보면 지난달 ICT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2% 늘었고, 수입은 113억 2000만 달러로 14.9% 증가해 무역수지는 81억 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을 보면, 반도체는 메모리 및 시스템 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8% 증가한 110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100억 달러대 수출을 달성했다. 메모리는 43.8% 증가한 71억 4000만 달러, 시스템은 35.8% 증가한 33억 4000만 달러로 동반 상승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바일 신제품 출시 등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수요가 확대되며 전년 동월 대비 34.9% 증가한 20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공정 전환(LCD→OLED
[헬로티] 1월에 이어, 2월에도 전년 동월대비 역대 2번째 높은 수출액 달성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은 수출 증가, 컴퓨터·주변기기는 감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152.8억 달러)이 전년 동월 대비 11.5% 증가하며, 작년 6월 이후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고 발표했다. 산업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152.8억 달러, 수입이 91.9억 달러, 무역수지가 60.9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산업부는 지난달 수출액이 역대 2월 수출액 중 2번째로 높은 수출 실적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국가별로는 중국(홍콩포함, 13.6%↑), 미국(6.7%↑), 유럽연합(14.0%↑) 등에서 수출이 증가했고, 베트남(↓0.8%), 일본(↓4.3%)은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84.4억 달러, 12.5%↑), 디스플레이(16.2억 달러, 22.3%↑), OLED(8.4억 달러, 32.9%↑), LCD(4.5억 달러, 4.6%↑), 휴대폰(10.3억 달러,
[헬로티] 반도체,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 경제 회복세 이끌어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이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3.8% 증가하며 역대 3위에 해당하는 수출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작년 우리나라 ICT 수출이 1836억 달러, 수입은 1126억 달러, 수지는 710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작년 상반기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둔화, 글로벌 교역 감소 등 어려운 경제 상황이 지속되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지만, 지난 6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서며 7개월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수출 증가는 반도체(1002.5억 달러, 5.4%↑), 컴퓨터 및 주변기기(139.1억 달러, 53.1%)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반도체는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인한 수요 확대, 5G 서비스 상용화 등에 따른 수요 회복으로 역대 2위 수출액을 달성했다. 작년 640억 달러 수출을 기록한 메모리 반도체는 2분기까지는 수출이 감소했으나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수요가 증가(데이터센터, 피씨 등)하며 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1.5% 상승했다.
[첨단 헬로티 = 김동원 기자] 3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액이 160억 달러(잠정)를 기록했다. 2개월 연속 증가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3월 ICT 수출액은 160억 달러, 수입액은 94억4000만 달러, 수지는 65억7000만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품목별로 보면 휴대폰은 전년 대비 11.3% 늘어난 10억2000만 달러어치를 수출했다. 갤럭시 Z플립, 갤럭시 S20 등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시가 완제품과 부분품 수출을 이끌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액은 12억3000만 달러로 77.6% 늘었다. 이 시장은 SSD를 중심으로 7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 중이다. 반면 반도체 수출액은 88억7000만 달러로 2.7% 줄었다. 시스템 반도체는 26억6000만 달러(32.9%)로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스마트폰, PC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둔화하면서 감소세로 기울었다. 디스플레이 수출액은 4.4% 감소한 16억4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스마트 등에 사용되는 OLED 패널의 수요는 확대됐지만, LCD 패널은 생산량 조절이 이어지면서 감소했다. ▲ 3월 주요 국가별 수출
전 세계 ICT 수출은 2000년 이후 연평균 6∼7%대 성장률을 유지했지만, 2010년 이후 연평균 2%대 수준으로 성장이 둔화됐다. 이처럼 최근 ICT 분야는 수출 측면에서 봤을 때 과거와 달리 성장산업으로서의 면모가 퇴색되고 있다. 또한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선언(2017년 1월), 미국의 TPP 탈퇴 행정명령 서명, NAFTA 재협상, 상반기 환율조작국 지정 시사(2017년 1월) 등 각국의 보호무역정책 강화는 세계 교역 둔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향후 ICT 수출 저성장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ITP(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에서 관세청 통관 기준 통계를 ICT 분류체계에 맞게 재가공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ICT 수출은 138억 3천만 달러(전년 동기대비 16.7% 증가)를, 수입은 77억 9천만 달러(전년 동기대비 14.8% 증가)를 기록했다. 수출의 경우 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이 선전함에 따라 3개월 연속 호조세를 보였다. 그리고 품목별로는 휴대폰과 D-TV 수출이 감소했지만,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증가했으며, 지역별로는 중동을 제외한 중국·미국&mi
5월 ICT 무역수지 약 60억 달러로 잠정 집계 올해 5월 ICT(정보통신기술) 수출은 131억 3천만 달러, 수입은 70억 5천만 달러로, 그리고 무역수지는 60억 8천만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자료에 따르면, 수출의 경우 휴대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 품목 중심으로 전년 동월대비 9.9% 감소했으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입은 시스템 반도체와 컴퓨터 및 주변기기 중심으로 증가했다. ICT 분야에서 60억 8천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며 전체 수지(70억 8천만 달러) 흑자를 이끌었다(2016년 5월). 그 일선에는 메모리 다중칩(MCP: Multi Chip Package) 및 낸드 플래시를 중심으로 감소세가 개선된 반도체와, 수출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있었다. 국가별로는 최대 흑자국인 중국(홍콩 포함, 44억 3천만 달러)을 비롯해 유럽연합(2억 8천만 달러), 미국(9억 9천만 달러)에 대해 흑자 기조를 유지했으며, 일본에 대해서는 적자(5억 2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ICT 수출, 약 131억 달러로 감소세 지속 ICT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