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자사의 데스크톱 PC용 nRF Connect(nRF Connect for Desktop PC) 툴을 위한 저비용의 USB 동글(Dongle)을 출시했다. 개발자는 이 제품으로 무선 링크의 한쪽 종단만 사용해 무선 장치와 PC를 즉시 연결할 수 있다. 개발자는 풀 개발 키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무선 장치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PC 상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프로그램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다. ‘nRF52840 동글’은 노르딕의 nRF52840 멀티 프로토콜 SoC에서 실행되는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블루투스 메시(Bluetooth Mesh), 스레드(Thread), 지그비(ZigBee), 802.15.4, ANT 및 독자적인 2.4GHz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한 모든 주요 무선 표준을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 프로그램이 가능한 RGB LED와 기계식 푸시-버튼, 그린 LED와 더불어 가장자리에 15개의 GPIO에 액세스할 수 있는 솔더 포인트를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사용
[첨단 헬로티] 전력반도체 전문업체인 실리콘마이터스는 신제품 USB 타입C 케이블 전용 eMarker IC(모델명: SM5516)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eMarker IC는 USB 타입C 케이블 단자 안에 들어 가는 칩으로 케이블의 전류 허용량, 성능, 벤더 식별 등을 결정하는 핵심 회로다. 이번에 출시된 SM5516은 현재 시장에서 가장 작은 1.1mm x 1.5mm 패키지 크기 IC칩으로 ISO 다이오드, Ra 저항 및 액티브 스위치가 통합 내장된 것이 장점이다. 실리콘마이터스의 SM5516은 MTP(Mui-Tme Pogrammable)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2.7V에서 5.5V까지 광범위한 작동 전압 범위(VDD)를 지원한다. 또 USB PD(Power Delivery) 3.0을 지원해 다양한 충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제품은 6 범프(Bump) WLCSP(Wafer level chip scale package) 패키지와 DFN(Dual flat no leads) 패키지 제작이 가능하다. 현재 USB 타입C 케이블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모니터, 프린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연결이 가능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에도 채택이 증가하고
[첨단 헬로티] 아이센스는 3월 28일(수)부터 30일(금)까지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18’에 참가해 에어 프리젠터마우스를 선보였다. 아이센스는 철저한 품질관리 제조 시스템을 바탕으로 제2의 창업이라는 신념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었다. 수년간의 IT 정보 서비스와 판촉물 유통 판매 경험을 바탕으로 최신 버전의 판촉물 사이트를 구축, 판촉물 시장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에어 프리젠터마우스는 에어마우스, 무선마우스, 프리젠터, 레이저 포인터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제품으로 10mm의 최저 두께에 40g의 최저 무게감을 실현했다. 일반 마우스와 동일한 사용법과 건전지가 아닌 USB 충전 방식과 UV 고광택 하이그로시 코팅으로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세련미를 자랑한다. 또한 자동절전 기능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주)첨단, 코엑스, 스마트공장추진단,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18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
[첨단 헬로티] 실리콘랩스(Silicon Labs)가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및 노트북 PC, 무선 헤드폰, 기타 휴대기기의 충전에 사용되는 USB Type-C™ 리튬이온 배터리 팩 개발을 간소화 하는 포괄적인 레퍼런스 디자인을 발표했다. 이 레퍼런스 디자인은 USB Type-C PD(power delivery)를 지원하는 듀얼 롤 포트(dual-role port, DRP)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좀 더 빨리 USB Type-C 배터리 팩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기존 USB Type-A 배터리 팩 설계를 USB Type-C 설계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실리콘랩스의 USB Type-C 배터리 팩 레퍼런스 디자인은 개발 보드, USB Type-C PD 스택, 예제 코드, 회로도 및 하드웨어 매뉴얼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DRP 배터리 팩 레퍼런스 디자인은 실리콘랩스의 심플리시티 스튜디오(Simplicity Studio)에 포함된 PD 스택을 이용한다. 개발자는 이 스택을 활용하여 전력을 보내고 받는 USB Type-C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위 수준의 함수를 만들 수 있다. 유연한 보드 설계는
[첨단 헬로티] 실리콘랩스가 USB와 I2S(inter-IC sound)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전송시 사용되는 간편한 턴키 솔루션인 고정 기능 오디오 브리지 디바이스를 출시했다. ▲실리콘랩스의 CP2615 오디오 브리지 이번에 출시된 CP2615은 USB와 I2S간의 연결을 단순화한다. 또 헤드폰, 헤드셋, 스피커, MP3 액세서리,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PoS 단말기나 전력에 민감하고 윈도우 리눅스, 매킨토시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공간 제약적인 USB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의 시장 출시를 앞당기도록 돕는다. 싱글칩 CP2615 오디오 브리지는 컴팩트형 5mm x 5mm QFN 32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는 PCB 공간이 제한적인 휴대용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CP2615 디바이스는 USB 2.0 풀스피드 컨트롤러, USB 트랜시버, 온칩 오실레이터, I2S 오디오 인터페이스, I2C 제어 인터페이스 및 디바이스 구성을 저장하기 위한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도 포함하고 있다. 집적도가 높은 편이어서 외부 부품이 필요 없으며, 결과적으로 PCB 사이즈를 줄이고 BOM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CP2615는
[헬로티] TI는 5종의 새로운 USB 타입-C 및 PD(Power Delivery) 제품을 출시했다. 이들 신제품은 개발자들이 보다 우수한 신호 품질을 제공하고 시스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USB 타입-C 전자제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TUSB1046 선형 리드라이버 제품군은 10G USB 데이터 및 DisplayPort 1.4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고, 신호 무결성 저하 없이 더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TPD8S300 제품군은 현장에서의 까다로운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USB 타입-C 및 PD 시스템을 과전압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단일칩 솔루션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TPS65983B USB PD 3.0 컨트롤러는 내장된 파워스위치와 신속한 롤스왑 기능, 인증 기능 및 표준화된 전압을 지원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시스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TUSB1046 및 TUSB1002 리드라이버는 현행 5G USB 솔루션 대비 두 배의 데이터 대역폭을 지원함으로써 최대 8K 해상도로 10G 데이터 및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고, 10G USB 속도에서 335mW의 유효 전력만 소모한다. 이들 제품은 긴 거리의 트레이스나
USB Type-C 코드, 새로운 전력 공급 표준에 따라 올인원 케이블로 기대 수년간 이론상으로만 존재했던 내용이 새로운 표준으로 발표되면서 Type-C 커넥터에 대한 반응이 뜨겁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Type-C 커넥터의 수많은 특징들 가운데 핵심이 되는 USB 전력 공급 표준이다. 이에 대한 테스트 방법론에 대해 알아본다. 오늘날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는 USB Type-A, Type-B 커넥터들은 향후 수년에 걸쳐서 새롭게 발표된 USB Type-C 커넥터로 이동할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외형적 변화를 훨씬 뛰어넘는 것으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연결 기술들인 DisplayPort(비디오용), MHL(오디오 및 비디오용) 및 Thunderbolt (데이터 및 비디오용) 등이 모두 USB Type-C 커넥터 채택을 발표했다. 소비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들이 Type-C 커넥터 하나로 통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에 환영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이러한 변화를 더욱 반기는 또 다른 이유들도 많다. 즉, USB 커넥터를 위아래/앞뒤 구분없이 꽂을 수 있는 더 나은 편리성, 보다 높은 전력 공급 능력(최고 100W) 및 USB T
[헬로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가 USB시행자 포럼(USB Implementers Forum, USB-IF)의 고속 데이터 전송 및 전자 디바이스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는 최신 기술사양을 공식 채택했다. 이번에 채택된 기술 사양은 USB 타입-C(USB Type-C) 케이블 및 커넥터, USB 전력 전송(USB Power Delivery) 및 USB 3.1(수퍼스피드 USB 10 Gbps) 등이다. 이들 사양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및 전력 전송을 위한 진정한 단일 케이블 솔루션의 규격을 정의하는 것이다. 이들 표준 규격은 전세계가 전자 폐기물을 줄이고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 용 전원공급 장치의 재사용 비율을 높이는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디오,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장비를 위한 USB-IF의 기술 사양은 IEC TC(기술위원회) 100에 제출됐으며, 이들은 위에서 언급한 목표를 지원하는 ‘USB데이터 및 전력 인터페이스’로서 IEC 국제표준인 ‘IEC 62680시리즈’에 포함하도록 승인됐다. 승인된 I
텍트로닉스는 제품 설계, 스펙트럼 관리 및 무선 트랜스미터 설치와 유지보수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 4개의 새로운 고성능 모델들로 혁신적인 USB 기반 실시간 스펙트럼 분석기 제품 군을 확대했다. 새로운 RSA500과 RSA600 시리즈 분석기는 9kHz에서 최대 7.5GHz의 주파수 범위, 40MHz의 획득 대역폭, -161dBm/Hz의 표시되는 평균 노이즈 레벨에서 최대 +30dBm의 최대 입력 측정 다이나믹 레인지를 지원한다. 새로운 USB 기반의 스펙트럼 분석기들은 작년에 매우 큰 성공을 거둔 6.2GHz RSA306 USB 기반 실시간 스펙트럼 분석기의 설계 방식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두 개의 초소형, 경제적 패키지로 더 뛰어난 장비 성능을 제공한다. 새로운 이 모델들은 USB 기반 스펙트럼 분석기 장비의 성능을 새로운 등급으로 혁신시킴과 동시에 라인 운영 방식의 연구소 패키지와 태블릿 PC 옵션을 갖춘 견고한 배터리 구동 패키지 모두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다. RSA500과 RSA600 모두 기본 장치, 케이블 및 안테나 테스팅을 위한 내부 브리지가 통합된 선택형 트래킹 발생기를 탑재하고 있다. 기존의 스펙트럼 분석기와 비교했을 때 텍트로닉스의
USB-C 디스플레이포트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TV에 연결 SlimPort 나노 콘솔 USB-C는 스마트 폰과 TV에 USB-C를 통해 디스플레이 포트를 지원하는 태블릿을 연결. 아날로직스 세미컨덕터(Analogix Semiconductor, Inc.)가 ‘슬림포트 나노·콘솔(SlimPort® NANO·CONSOLE™) USB-C’를 출시했다. 무선 리모콘을 갖춘 모바일 지원 도크로 USB-C™를 통해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를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및 윈도우 기반 모바일 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단순한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의 ‘슬림포트 나노·콘솔’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해 디지털 미디어를 스트리밍하고 홈 오피스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며 모바일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디스플레이포트 오디오/비디오 출력(audio/video-out)으로 모바일 기기를 어떤 HDMI 지원 디스플레이에나 연결해 미디어와 앱을 공유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액세서리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USB C타입
TI는 업계 최초의 독립형(stand-alone) USB 2.0 리드라이버 제품을 출시했다. 고속의 양방향 리드라이버인 TUSB211은 AEC-Q100 규격을 만족하며, 오토모티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USB 신호 무결성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됐다. 또한 기존의 허브 솔루션보다 40% 이상 전력 소모를 줄이고, 고유한 핀배열(pinout)로 전체적인 솔루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정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시스템을 평가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임재덕 기자 (eled@hellot.net)
SiI7012, SiI7013, SiI7014는 래티스 반도체의 최신 포트 컨트롤러 3종이다. SiI7012/SiI7013 포트 컨트롤러는 별도 부품 없이도 USB 타입-C 연결에서 설정채널(Configuration Channel, CC)과 복상 마크코드(Biphase Mark Code) 메시징을 감지, 해독하는 단일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SiI7014 IC는 USB 타입C에서 디스플레이포트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보조채널(AUX)과 핫플러그 감지(Hot Plug Detect, HPD) 신호를 지원한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ANX74xx 제품군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한 싱글칩으로 케이블 설정 컨트롤러, 포트 컨트롤러 및 매니저, USB-3용 고속 스위치, 디스플레이 포트가 내장돼 있다. 또한 고속 스위치에는 특허 출원 중인 회로가 탑재돼 신호 감쇠를 줄여 주며 USB-C 시스템에 외장 리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솔이 기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컴퓨텍스 타이페이(Computex Taipei)에서 첫 번째 USB 3.0 스마트 허브(Smart Hub) 제품인 USB5734와 USB5744을 출시했다. 이 새로운 제품군은 호스트와 디바이스 포트의 스와핑, I/O 브릿징 및 기타 다양한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USB5734와 USB5744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탑재하여 USB 허브로서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며, BOM 비용 전반과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USB5734/44 제품군은 USB-IF 로고 인증(TID 330000058)을 받았으며, 우수한 신호 무결성을 갖추고 있어 보다 견고한 PCB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며 케이블, 커넥터 및 레이아웃 변화에 대한 민감성을 줄여준다. 스마트 허브는 별도의 MCU나 프로세서와 연관된 시스템 수준의 기능이 통합된 USB 허브이다. 마이크로칩의 새로운 USB 3.0 스마트 허브는 USB와 I2C™, SPI, UART 및 GPIO 인터페이스의 직접 브릿징을 통해 업스트림 호스트 컨트롤러로 다양한 종류의 외부 주변장치와 통신할 수 있어 USB 연결 이상의 성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합 기능은 추가적인 외부 마이크로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