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SK실트론은 글로벌 안전인증기업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폐기물 매립 제로(Zero Waste to Landfill, ZWTL)' 골드 등급 인증을 추가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UL이 매년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총 폐기물 중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을 제외한 뒤 재활용률을 수치화해 우수 사업장에 플래티넘(재활용률 100%), 골드(95~99%), 실버(90~94%) 3단계의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다. SK실트론은 지난 5월 웨이퍼 업계 최초로 구미 제3공장에 대해 골드 등급 인증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 구미 제2공장도 98%의 재활용률을 달성해 골드 등급 인증을 받았다. 회사측에 따르면, 일본·대만·유럽 등에 위치한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업체 중 UL의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을 받은 곳은 SK실트론이 유일하다. SK실트론은 내년 상반기중 남은 제1공장까지 골드 등급을 획득하고, 향후 전 사업장에서 폐기물 매립을 제로화한다는 계획이다. 연말에는 카본 트러스트 물 발자국 인증을 추가 획득하는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지속적으로 실천해간다는 방침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에너지 저장 장치(SLBESS)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 안전인증 기업인 UL과 전략적인 협업을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UL과 'SLBESS 제품 인증·실증 관련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5일 밝혔다. 120년 역사를 가진 UL은 안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의 성능, 환경 등과 관련해 전 세계에 시험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철저한 UL 안전규격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시에 필수인 안전 인증과 제품 검증 등을 제공한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SLBESS 개발 초기 단계부터 특정 제품의 안전성을 엄격하게 검증하는 'UL 시그니처 솔루션'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SLBESS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안전 인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현대차그룹의 SLBESS 기술과 모듈·팩 단위 등 전기차 배터리의 세부 구조적 특징까지 반영한 UL평가기준을 공동 개발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SLBESS 관련 북미 실증 사업에도 협력한다. 현대차그룹은 SLBESS 개발과 실증에 주력하고, UL은 개별제품에 대한 인증을 제공,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뛰어난 내구성과 야외 시인성으로 실외 환경에서도 고화질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삼성전자 아웃도어 TV ‘더 테라스’가 업계 최초로 미국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야외 시인성 화질 검증을 획득했다. 지난 1894년 설립된 UL은 글로벌 안전 인증 전문기관으로, 미국 일리노이주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전세계 46개국에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야외 시인성 화질 검증은 1만 LUX 이상의 야외 환경 조건에서 3000~4000 nits 이상의 밝기와 1000:1 이상의 명암비, 80% 이상의 컬러 볼륨을 구현해야 하며, 더 테라스는 이번 인증을 통해 야외 환경에서의 우수한 성능을 검증 받게 됐다. 더 테라스는 한낮에도 야외에서 영상을 편안히 즐기도록 밝은 화면을 표현할 뿐 아니라, QLED 디스플레이, 화면에 반사되는 빛을 줄여주는 눈부심 방지 기술, 외부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의 화면 밝기를 조정해주는 AI 화질 최적화 기능 등을 적용해 시인성을 높여주는 성능을 갖추고 있다. 더 테라스 외에도 실외 환경에서 사용하는 상업용 아웃도어 사이니지 제품(OH55A) 또한 야외 시인성 화질 검증을 획득했다. 삼성전자의 더
[첨단 헬로티] 디지털 혁신을 통해 미래 가능성을 확장하고자 하는 UL의 전략과 비전 공유 글로벌 안전과학 회사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은 지난 18일 UL주관 고객 행사인 '이노베이션 서밋(Innovation Summit)'을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개최했다. ▲UL 이노베이션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펼치고 있는 제니퍼 스캔론(Jennifer Scanlon) 회장 겸 최고경영자 이번 이노베이션 서밋은 전문 기술과 데이터 과학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을 통해 미래 가능성을 확장하고자 하는 UL의 전략과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비즈니스 리더와 고객사, 업계 전문가 및 유관 기관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UL의 제니퍼 스캔론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 및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홍석우 이사장(전 지식경제부 장관)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안전 인증의 중요성과 UL의 역할에 대해 기조 연설을 펼친다. 특히, 125년 동안 인증, 검증, 테스트 등 안전 과학 관련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데 이어, 최근에는 진화하는 안전의 개념에 발맞춰 사물인터넷(IoT) 및 사이버 보안
[첨단 헬로티] 글로벌 안전과학 회사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유엘)이 2일 새로운 UL코리아 지사장으로 정현석 사장을 선임했다. 정현석 사장은 최근까지 산업연마재 글로벌 선두기업인 티롤릿(Tyrolit - Swarovski 자회사)과 건설 및 에너지분야 전문 글로벌 기업인 힐티(HILTI)의 한국 법인 대표를 역임했다. 정사장은 포스코산하 연구소(RIST)를 시작으로, 지난 20여년 간 건설, 에너지 및 철강 분야에서 한국과 유럽에 근무하면서 기술개발·전략·마케팅·영업을 총괄해 왔다. UL코리아는 정현석 신임 지사장의 리더십을 기반으로 기업들이 새로운 혁신 제품과 기술을 안전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도울 방침이다. 아울러 배터리, 사물인터넷, 친환경, 헬스케어, 소비재 등 각 사업부별 또 다른 도약을 가속화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현석 신임 지사장은 “지난 125년 동안 과학기술로 안전한 세상을 만드는 데 주력해온 UL의 뜻깊은 미션에 함께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
[첨단 헬로티] UL인증을 받은 신제품 chainflex CF8821 케이블 개발 데이터 케이블은 공작 기계부터 첨단 로봇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에너지체인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지속적인 하중을 견뎌야 한다. 이구스는 가공 기계 또는 컨트롤러나 인코더를 사용하는 등의 특수한 기계적 요구 사항이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비용 효율적인 데이터 케이블을 새로 출시했다. ▲미국 시장 진출에 필수인 UL 인증을 획득한 chainflex CF8821 데이터 케이블 어플리케이션 제조업체가 기존 chainflex 데이터 케이블 대신 신제품 CF8821을 적용할 경우 최대 30%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더불어 케이블에는 차폐 장치가 있어 외부 간섭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케이블에 적용된 고탄성의 PVC 외피는 실리콘 무함유, 난연성 등의 특성을 지닌다. 이구스는 UL 인증을 포함해 다양한 국제 승인을 획득한 업계내 최다 종류의 케이블을 공급하는 업체다. 해외 플랜트 제조업체들이 겪는 크고 흔한 문제 중 하나는 북미 지역의 OEM 및 운영자 측에 요구하는 다양한 기술 표준 및 규정이다. 이구스는 총 1,354종의 케이블 중 1044종에 대해 UL 인증을
[첨단 헬로티] 2007년부터 12년 연속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글로벌 후원사로 참여 글로벌 안전과학 회사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유엘)은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포항에서 진행된 제20회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의 공식 후원사로 참가하고, 안전 기준을 준수한 로봇 출품작을 대상으로 'UL산업안전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UL산업안전상은 창의적인 로봇 기술을 평가하는 지능로봇 부문의 특별상으로 전문적인 평가를 위해 UL 엔지니어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한다. 로봇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인증된 부품과 규격을 준수한 제품을 사용했는지 여부와, 안전(safety) 기준 충족 여부 등을 토대로 안전 의식이 돋보인 팀을 선발한다. 배터리, 가전제품, 사물인터넷(IoT)을 포함한 핵심 산업 군의 안전 규격을 제시하고 있는 UL은 심사 조건을 통과한 3팀을 최종 선발, 과학 역량증진을 위해 각 150만 원(총 450만 원)의 상금을 전달할 방침이다. 사지브 제수다스(Sajeev Jesudas) UL 인터내셔널 사장은 "이번 대회에서 UL이 참여하는 지능로봇 부문은 재난·안전관련 상황을 대비해 실생활에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로봇을 핵심 주제로
[첨단 헬로티] 화면이 깨지지 않는 스마트폰, 상용화 멀지 않았다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이동훈)가 깨지지 않는 스마트폰용 패널을 개발해, 美 산업안전보건청 공인 시험기관인 UL(美 보험협회시험소)로부터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OLED 패널에 플라스틱 소재의 커버 윈도우를 부착해, 기판과 윈도우 모두 깨지지 않는 완벽한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패널을 완성했다. 현재 상용화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지만, 유리 소재의 커버 윈도우를 부착해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윈도우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UL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언브레이커블 디스플레이는 美 국방부 군사 표준규격(US Military Standard)에 맞춰 실시한 내구성 테스트를 완벽하게 통과했다. 1.2미터 높이에서 26회 실시한 낙하 테스트에서 제품의 전면부, 측면부, 모서리 부분 모두 파손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했으며, 극한의 저온(-32도)/고온(71도) 테스트에서도 문제 없이 작동했다. 특히 美 국방부 군사 표준규격보다 더 높은 1.8미터 높이에서 실시한 낙하 테스트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의 언브레이커블 패널은 손
[첨단 헬로티]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의 신뢰성 시험 센터가 TUV 라인란드로부터 전자파 적합성(EMC)과 세이프티(LVD)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공인 시험소로 인정받았다. ▲ 오토닉스는 본사 내 신뢰성 시험 센터에서 TUV 라인란드와 공인 시험소 인증 현판식을 진행했다. TUV 라인란드는 독일 쾰른에 본사를 두고 전 산업 분야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 환경,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험 및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글로벌 시험 인증기관이다. TUV 라인란드는 이번 오토닉스의 공인 시험소 인정을 위해 시험 환경, 시험 장비, 시험 방법, 전문 인력 보유 여부, 품질 관리 절차 등을 엄격하게 평가했으며, 오토닉스는 이러한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토닉스는 공인 시험소 인정으로, 향후 전자파 적합성과 세이프티의 테스트 결과에 대해 북미 최고 권위의 안전 규격 기관(UL)은 물론, 유럽 통합 규격 인증(CE) 기관의 결과와 동일한 신뢰성과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 오토닉스 신뢰성 시험 센터 내 3m EMC Chamber 오토닉스의 관계자는 “이번 오토닉스의 공인 시험소 인정은 전자파와 안전성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가단체인 한국적층제조사용자협회(K-AMUG 협회)가 적층제조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산업용 금속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산업 활성화와 취업 확대에 기여할 전망이다. K-AMUG 협회는 지난 9월 16일 ‘3D프린팅 갈라 인 울산’ 행사에서 울산정보산업진흥원과 미국의 세계적인 안전인증기관 UL, 독일의 금속 3D프린팅 전문기업 오알레이저와 산업용 3D프린팅과 금속 3D프린팅의 교육 및 해외 자격증 인증 사업에 대한 공동 협력한다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MOU 체결을 위해 UL에서는 밥 성 아시아태평양 디렉터와 조황 아시아태평양 담당 매니저가, 오알레이저에서는 Uri Resnik 최고경영 책임자와 Reznik 총괄 담당자가 참석했다. 이번 MOU는 UL, 오알레이저 등이 추진 중인 선진 산업용 및 메탈 3D프린팅 교육을 국내에 도입하고, 해외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관련 자격증을 국내에서 취득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자격증을 취득한 전문인력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취업할 수 있는 길을 여는 것이다. 현재 GE를 필두로 적층제조 시대가 열리면서 2025년까지 미국에
[첨단 헬로티] 글로벌 안전 과학 회사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유엘)과 삼성전자가 8월 31일 열린 삼성 미국법인 및 UL 간 연례 회의에서 삼성 갤럭시 S8 및 S8 플러스가 미국 국립표준협회 'ANSI/UL110 휴대전화 지속가능성 규격'에 따른 친환경 인증인 에코로고(ECOLOGO)를 획득한데 이어, 미국 전자제품 친환경 인증 제도인 EPEAT(Electronic Product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에 등재된 것을 기념하는 행사를 가졌다. 키스 윌리엄스(Keith Williams) UL CEO는 엄영훈 삼성전자 북미 부총괄에 삼성 갤럭시 S8 및 S8 플러스가 지난 6월 ECOLOGO 골드 인증을 받은 데 이어 EPEAT 시스템 등재를 기념하는 인증서를 수여했다. 제조업체로서 휴대전화용 ANSI/UL110 규격 인증을 최초로 획득한 삼성전자는 2017년 7월 31일 신설된 EPEAT에 등재되는 성과를 거뒀다. UL은 삼성전자 협력으로 진행된 이번 ECOLOGO 및 EPEAT 통합 인증 프로그램이 향후 제조업체들이 EPEAT 등재를 위한 새로운 길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했다. 자사 제품에 대
[첨단 헬로티] 글로벌 안전 과학 회사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유엘)은 28일 글로벌 에너지 효율성 인증 기업 ‘어플라이언스 엔지니어링’의 ‘AE 성능시험연구소’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UL은 AE 성능시험연구소 인수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효율 프로젝트에 필요한 서비스를 향상시킬 예정이다. UL에 따르면 이탈리아 바레세에 본사를 둔 ‘어플라이언스 엔지니어링(Appliances Engineering, 이하 AE)’ 검증 서비스 사업부인 ‘AE 성능시험연구소(AE Performance Testing Lab)’는 유럽지역 내 에너지 효율과 성능 시험 분야 기업으로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와 조리 기구 등 백색 가전 제품에 적용되는 글로벌 요구 조건에 기반한 에너지 효율 테스트, 벤치마크 테스트와 시장 감시 테스트를 제공한다. 연구소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 뿐만 아니라 아시아, 태평양, 북미 지역에서도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UL 가전 HVAC/조명 사업부 부사장 겸 총괄인 토드 데니슨은 “AE 성능시험연구소가
[첨단 헬로티] 글로벌 안전 과학 회사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유엘)이 14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정부, 유관기관, 학계, 업계, 사용자 등 국내외 다양한 분야 배터리 안전 전문가를 초청해, 배터리 기술과 안전의 현주소와 미래에 대한 주요 이슈를 논의하는 ‘한국 배터리 안전 서밋(Korea Battery Safety Summit)’를 개최한다. UL 배터리 안전 서밋은 배터리 안전성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미국, 중국, 인도, 캐나다 등에서 개최됐다. 국내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한국 행사는 배터리 안전 연구, 테스트, 인증, 배터리와 배터리 포함 제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이를 통해 배터리 기술에 대한 안전 인식을 고취하고 핵심 이해 관계자 간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고자 마련됐다고 UL측은 설명했다. 한국 배터리 안전 서밋은 UL 비영리부문(ULI)의 최고운영책임자인 클라이드 코프만(Clyde Kofman), UL R&D 부문 부사장 토마스 샤핀(Thomas Chapin) 박사, 그리고 한국기술표준원의 환영사로 시작되며, 리튬
[첨단 헬로티] 글로벌 안전 과학 회사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유엘)이 삼성 스마트폰 갤럭시S8과 갤럭시S8+가 미국 국립표준협회 ‘ANSI/UL110 휴대전화 지속가능성 규격’에 따른 친환경 인증인 에코로고(ECOLOGO) 골드 인증을 획득했다고 8일 밝혔다. ANSI/UL 110 규격은 최근 STP(Standards Technical Panel, 규격 기술 패널)에 의해 미국 국가 표준(American National Standard)으로 승인됐다. UL 110 규격은 2017년 3월 24일 ANSI 규격으로 공표됐다. 이 규격의 새로운 평가기준으로 대체물질 평가(substitutions assessment), 악세서리에 포함된 PCR(Post-Consumer Recycled)과 바이오 플라스틱(bio-based plastic) 함량에 대한 평가,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 감소, 선택적 처리가 필요한 물질과 구성요소에 대한 통지식별, 그리고 LCA(Life Cycle Assessment, 전 과정 평가) 제3자 검증 또는 LCA 공개 사용 가능 여부 등이 추가됐다. 개정된 평가기준에는 휴대전화
[첨단 헬로티] 글로벌 안전 과학 회사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유엘)이 다국적 의료기기 컨설팅 기업인 이머고(Emergo)를 인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머고는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규제 관련 부가가치 서비스와 시장 진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의료과학 산업 분야의 글로벌 규제 승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UL은 의료기기 등록과 관련해 이머고가 보유한 전문성을 확보함에 따라 의료기기 업계에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셜명했다. 규제와 표준을 준수하는 의료기기 사용이 의학적 위협 요소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UL에 따르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은 일본, 유럽과 같은 시장에서의 인구 고령화와 중국, 브라질 등 신흥시장의 경제 성장에 맞춰 확장을 계속하고 있다. 관련 업계의 이같은 행보는 고도화되는 의료기기 관련 규제 요건과 맞물려 규제 관련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이머고의 대표 겸 CEO인 르네 반 데잔드는 “다수 중소 규모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은 국제적인 관점에서 복잡한 규제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충분한 자원과 전문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