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메이커 제조사 포던테크가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소형압출기 '필리봇(FILIBOT) H400)'을 출시한다. 필리봇 H400은 소형(무게 12kg, 크기 195×440×270(㎜))으로 설계돼 데스크톱용으로 공간 제약 없이 소재 개발·시험·연구가 쉽다. 압출용으로 사용하는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에 나노 분말의 철·구리·텅스텐 등 이종 합금을 혼연할 수 있으며 분산이 이뤄져 필라멘트화가 가능하다. 필리봇 H400, H450은 기존 필리봇 H303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혼연 시 분산 효과가 크도록 업그레이드됐다. 또 실린더 내부 스크루에 남은 이물질 제거 시 더 빠르게 클린이 가능해 다양한 원료의 시험·연구 시간을 줄여주고, 사용도 쉽고 편리하다. 기존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머가 범용 폴리머에 한정됐다면 이번에 출시된 모델은 엔지니어링 폴리머, 슈퍼엔지니어링 폴리머, 나노 크기의 이종 합금까지 다양한 원료의 필라멘트를 제작할 수 있다. 필리봇 H400, H450은 에어쿨스테이션(직경 제어 보조 장치)과 노즐을 추가 장착해 사용자 편의도 극대화했다. 필리봇 H400은 최대 용융점이 450℃로 PA, PO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와 SK하이닉스가 올해 상반기에 기본급 100% 수준의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5일 사내망을 통해 올해 상반기 '목표달성 장려금(TAI)' 지급률을 공지했다. TAI는 삼성전자의 성과급 제도 중 하나로, 매년 상·하반기 한 차례씩 실적을 토대로 소속 사업 부문과 사업부 평가를 합쳐 최대 월 기본급의 100%까지 차등 지급한다. DS부문 메모리 사업부, 소비자가전(CE) 부문 생활가전,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 IM부문 네트워크 사업부는 각각 기본급의 100%를 받을 것으로 공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 공장 장기 가동 중단으로 예상보다 실적이 좋지 않았던 DS부문 파운드리 사업부와 시스템LSI 사업부,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IM부문 무선사업부의 지급률은 75% 수준으로 전해졌다. SK하이닉스도 이날 오후 기본급 100%에 해당하는 상반기 생산성 격려금(PI)을 9일 지급한다고 공지했다. SK하이닉스의 PI는 생산성 목표 달성에 따라 지급하는 격려 차원의 인센티브다. SK하이닉스는 2010년 이후 10년 간 빠짐없이 상·하반기에 기본급 100%(연간 200%)에 해당하는 PI를 지급해왔다. 2
[첨단 헬로티] FieldComm Group, ODVA 및 PI는 산업용 이더넷을 위한 고급 물리 계층(APL)에 공동 업데이트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에머슨이 업계 파트너로서 APL 프로젝트에 합류했다고 발표했다. 산업 이외에 파트너인 APL 프로젝트 멤버에는 3개의 주요 표준 개발 조직인 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PI), FieldComm Group(FCG) 및 ODVA가 포함된다. 에머슨은 11 개의 다른 산업 파트너와 함께 산업용 이더넷을 위한 고급 물리 계층 개발 프로젝트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합류를 결정했다. 계측기의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에 사용 적합한 Ethernet-APL은 최근 개발에 대한 중요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먼저, Ethernet-APL의 기반이 되고 IEEE 10d-T1L(10BASE-T1L) 표준(옵션 전원 공급 장치가 있는 단일 트위스트 페어 이더넷에서 10Mbit/s를 정의 함)이 2019년 11 월 7 일 목요일 IEEE 표준으로 승인됐다. 앞으로 몇 달 안에 표준이 발표될 예정이다. 장거리 단일 페어 이더넷을위한 IEEE 802.3 표준의 향상된 기능은 2020년 PI, FC
[첨단 헬로티] 공장 자동화 및 첨단화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줄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이하 SF+AW 2019)'가 지난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PI는 SF+AW 2019에서 Q-845, A-311 에어베어링 XY 스테이지 등 자사의 솔루션을 선보였다. PI의 Q-845는 작은 크기와 나노미터 분해능이 특징이며, DC 모터나 보이스코일 드라이브로 구동됐던 일반 헥사포드와는 달리 피에조 관성 드라이브로 구동된다. 특히 Q-845는 크로스 롤러 베어링을 사용해 더욱 강하고 예하중도 적기 때문에 마찰을 줄이고 매끄럽게 달릴 수 있으며 높은 가이딩 정확도를 보장한다. 또한, 최대 20kHz의 피에조 주파수 구동에 의해 5mm/s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 Q-Motion SpaceFAB의 적용 분야는 측정기술, 현미경, 생명공학, 자동화 산업 등이며 10-6 hPa의 진공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A-311 에어베어링 XY 스테이지는 마찰이 없는 고정밀 포지셔닝이 가능하며 우수한 속도와 속도 안정성, 가이딩 정확도가 장점이다. 효율적이고 소형화된 디자인으로 설치 공간이 한정적인 곳에 적합하며, 이동 범위는 200mm×200m
CC-Link협회(CLPA)와 프로피버스 & 프로피넷 협회PI(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는 개방형 산업 네트워크 사용을 촉진하고 전파하려는 목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사용자들이 인더스트리 4.0 또는 산업용 IoT(IIoT) 기반 제조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CC-Link IE와 PROFINET 등 여러 네트워크의 통합을 용이하게 만드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Getty images Bank 필드버스 혹은 산업용 이더넷을 사용하는 디지털 통신은 현대의 생산 공장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생산성 증대를 위한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인더스트리 4.0과 IIoT와 같은 메가트렌드로 인하여 지능형 통신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수년간 존재해 온 다양한 산업용 이더넷 규격으로 인해 이종 통신 시스템상의 기기와 기계들이 서로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그로 인해 기계 제조사들은 어쩔 수 없이 자사의 기계들이 다양한 네트워크와 호환되도록 만들어야만 했고, 사용자들은 적합한 기계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제한을 받게 되었다. 그 결과 그런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