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NXP 반도체는 현재 상위 20개 글로벌 OEM에서 설계되는 자동차 레이더 포트폴리오에 S32R45 및 S32R41 관련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NXP는 업계 최초의 전용 16nm 이미징 레이더 프로세서인 NXP S32R45의 초기 고객이 2022년 상반기부터 증가함에 따라 S32R45 양산에 돌입했다. 또한 4D 이미징 레이더의 장점을 보다 많은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 신제품 NXP S32R41을 도입했다. 두 프로세서는 360도 서라운드 감지를 위한 4D 이미징 레이더를 제공해 자율주행 L2에서 L5까지의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 이미징 레이더는 부피가 큰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넘어 환경 매핑과 장면 이해를 향상시키는 고해상도 포인트 클라우드를 통해 차량 주변의 환경을 보는 레이더의 능력을 확장한다. 이미지를 활용해 대형 배달 트럭에 근접해 주행하는 오토바이나 주차된 자동차 사이로 진입하는 어린이와 같이 복잡한 도시 속 취약한 도로 이용자 및 차량과 같은 물체를 구분한다. 이뿐 아니라 이미징 레이더는 인간의 시력 범위를 넘어 최대 300m 거리에서 속도를 측정하고 물체를 분류해야 한다. 또한, 도로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차량을 속도가 느린
헬로티 이동재 기자 | NXP 반도체가 자사의 WLAN8101H 및 WLAN8201C 프런트 엔드 모듈(이하 FEM)을 통해 삼성 갤럭시 Z 플립 3에 와이파이 6 연결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FEM은 출력 전력, 선형성, 효율성의 탁월한 조합을 제공해 배터리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고 안정적인 와이파이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와이파이 6은 최신 세대로 디바이스 수 무제한, 대기 시간 감소, 네트워크 용량 및 효율성 증가를 포함해 많은 성능 향상을 제공한다. NXP의 와이파이 6 FEM은 이러한 새로운 표준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데 필요한 RF 성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삼성 갤럭시 Z 플립 3는 소비자들에게 빠르고 안정적인 와이파이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NXP의 WLAN8101H 및 WLAN8201C 디바이스는 QUBiC SiGe WLAN 포트폴리오의 일부로서 출력 전력, 선형성 및 효율성의 최적화된 조합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가장 까다로운 와이파이 6 변조 형식에서도 전송 범위가 확장되고 수신 감도가 향상돼, 속도와 적용 범위 면에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또한 WLAN8101H는 블루투스 성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NXP 반도체는 최신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세서 S32G3를 발표했다. S32G3는 2021년 2분기에 본격 생산되기 시작한 인기 시리즈 S32G2 시리즈와 소프트웨어 및 핀 호환이 가능하며, 현재 최고 성능의 S32G2 시리즈 디바이스보다 최대 2.5배 높은 성능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과 온칩 시스템 메모리, 네트워킹을 제공해 더 많은 ECU 통합을 구현하고 지능형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지원한다. S32G3 시리즈가 추가되면서 S32G 제품군은 이제 안전한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고성능 도메인 컨트롤러, 안전 프로세서, 영역 차량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차량 애플리케이션을 다루게 됐다. 도메인 및 영역 아키텍처로의 차량 아키텍처 발전과 ECU 통합이 빠르게 이뤄지며,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프로세싱, 메모리, 네트워킹 대역폭, 자원 격리의 통합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은 스마트 모빌리티와 스마트 시티를 지원하는 새로운 차량 및 데이터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다 발전된 ADAS 안전성, 실시간 보안,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을 요구한다. S32G3 시리즈는 현재 S32
헬로티 서재창 기자 | NXP 반도체(이하 NXP)는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팩토리 애플리케이션용 i.MX 93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제품군을 발표했다. NXP의 i.MX 9 시리즈의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인 i.MX 93 제품군은 사용자의 니즈를 예측해 자동화해주는 머신러닝 기능을 활용한다. 또한, 업계 최초로 Arm Ethos-U65 microNPU를 구현하고 이를 최첨단 보안 및 높은 수준의 통합 기능과 결합해 엣지에서 빠르고 효율적인 보안 머신러닝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품군의 속성을 통해 개발자는 음성 지원 스마트 홈이나 스마트 빌딩 시스템에서부터 저전력 산업용 게이트웨이 및 자동차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을 다룰 수 있게 된다. i.MX 93 제품군은 256 MAC/사이클 Arm Ethos-U65 microNPU를 포함한 모든 SoC 주변 장치에 완벽하게 액세스하는 최대 2배 1.7GHz Arm Cortex-A55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실시간 Cortex-M33 마이크로컨트롤러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 이기종 멀티 코어 아키텍처를 활용한다. 이 아키텍처는 배터리 수명을 더 오래 유지하기 위해 효율적인
헬로티 서재창 기자 | NXP 반도체는 무선전력위원회(WPC)에서 최초로 신규 Qi 1.3 표준 인증을 받은 새로운 자동차 무선 충전 레퍼런스 디자인을 발표했다. 레퍼런스 디자인은 NXP 무선 충전 MWCT 제품군 MCU가 포함된 Qi 인증 보드, NFC 옵션, 보안 요소, CAN/LIN 트랜시버로 구성된다. 이 솔루션은 NXP의 무선 충전 Qi 1.3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개발자가 Qi 인증 무선 충전기를 보다 쉽게 시장에 출시하도록 지원하는 완벽한 맞춤형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품군을 제공한다. WPC의 Qi 표준은 애플, 삼성, 샤오미 등 대부분의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사용하고 있다. 새로운 Qi 1.3 표준에는 스마트폰 또는 기타 무선 전력 장치가 Qi 인증을 받았는지 확인하는 새로운 보안 인증 기능이 포함된다. 인증되지 않은 장치가 감지되면 무선 전력 전송을 낮은 수준으로 줄여 사용자 안전을 보장하고 장비 손상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는 NXP의 자동차용 무선 전력 트랜스미터에 보안 스토리지를 추가해야 한다. 데니스 카브롤(Denis Cabrol) NXP의 IoT 및 보안 솔루션 부문 이사 겸 총괄 매니저는 “NXP는
헬로티 서재창 기자 | NXP 반도체와 RIL의 자회사인 인도의 지오 플랫폼은 NXP의 레이어스케이프 멀티코어 프로세서 제품군이 적용된 5G NR O-RAN 소형 셀 솔루션을 구현하기 위한 협업을 발표했다. 이 통합 솔루션은 고성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RAN 네트워크를 지원해 광대역 액세스뿐 아니라 원격 의료, 원격 교육, 증강·가상 현실, 드론 기반 농업 모니터링을 포함한 4차 산업 및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광범위한 5G 사용 사례를 가능하게 한다. JPL은 혁신적인 4G 및 5G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술 선도 기업이며 인도 최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이자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인 지오의 지주회사다. JPL은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활용해 방대한 고객층을 지원하고 있으며 인도의 5G 기회에 대응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JPL은 새로운 5G NR 솔루션에서 NXP의 레이어스케이프 프로세서의 뛰어난 성능과 유연성을 활용했다. 이 조합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이 1Gbps 이상인 3.5GHz 대역에서 100MHz 채널 대역폭을 성공적으로 테스트한 강력한 오퍼링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광범위한 분야의 성능 확장으로 이어
[헬로티] NXP 반도체는 사물 인터넷(IoT) 엣지 디바이스를 공격이나 위협으로부터 지능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사전 구성된 자율 관리형 온다이(on-die) 보안 서브시스템인 엣지락(EdgeLock) 보안 엔클레이브(enclave)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출처 : NXP NXP는 신규 i.MX 8ULP, i.MX 8ULP-CS 및 i.MX 9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내장된 보안 서브시스템으로 완벽 통합된 제품으로, IoT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강력한 시스템 차원의 보안 인텔리전스 구현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개발자는 이 보안 엔클레이브를 통해 보안 목표를 더욱 쉽게 달성할 수 있으며,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차별화하는 새로운 방법에 더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안 엔클레이브를 엣지버스 프로세서 제품군에 통합함으로써 NXP는 스마트 홈 디바이스, 웨어러블, 휴대용 의료 기기, 스마트 어플라이언스, 임베디드 제어 및 산업용 IoT 시스템을 포함한 수천 개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에 최첨단 보안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광범위한 확장성 옵션을 개발자에 제공한다. 울프강 스타인바우어(Wolfgang Steinbauer) NXP 부사장 겸 암호화 및 보안 부문
자동차 제조사, 충전을 위한 비용과 공간 줄일 수 있어 [헬로티 = 김동원 기자] NXP 반도체가 한 개의 콘솔로 두 대의 스마트폰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NXP는 단일 MWCT 컨트롤러로 구동되는 차량용 멀티 비다이스 무선 충전 솔루션이 현재 양산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 NXP는 단일 MWCT 컨트롤러로 구동되는 차량용 멀티 비다이스 무선 충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사진 : NXP) 이번 솔루션은 승객과 운전자가 하나의 컨트롤러로 동시에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 15W 무선전력 표준을 적용했기 때문에 충전 속도도 빠르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이번 솔루션으로 단일 MWCT 장치를 차량에 탑재함으로써 기기 충전을 위한 비용과 물리적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번 솔루션은 Qi 표준에 기반해 아이폰, 삼성, 화웨이, 샤오미 등 모든 Qi 인증 기기를 지원한다. 데니스 카브롤(Denis Cabrol) NXP 시니어 디렉터는 “콘솔을 더 깨끗하고 깔끔하게 만들어 주는 무선충전은 소비자에게 편리함과 단순함을 제공한다”며 “듀얼 충전은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간 기술이다. 차내 충전의 선도 기업으로서
[헬로티] NXP 반도체는 글로우 신경망(NN: neural network) 컴파일러를 위한 eIQ 머신 러닝(ML) 소프트웨어를 지원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로써 NN 컴파일러 실행을 통해 NXP의 i.MX RT 크로스오버 MCU상에서 적은 메모리 사용량(footprint)으로 우수한 성능을 구현하게 되었다. 페이스북(Facebook)이 개발한 글로우(Glow)는 타깃 별 최적화를 통합할 수 있다. NXP는 NN 오퍼레이터 라이브러리(operator library)를 사용해서 이 기능을 Arm 코어텍스(Cortex)-M 코어와 카덴스 텐실리카(Cadence Tensilica) HiFi 4 DSP에 적용하여 i.MX RT685, i.MX RT1050, RT1060의 추론 성능을 최적화했다. 이 기능은 NXP MCUXpresso SDK에서 제공되는 NXP eIQ 머신 러닝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Machine Learning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에 통합됐다. 글로우(Glow) 이용해서 MCU 아키텍처 특징 활용 2018년 5월, 파이토치(PyTorch)의 선도 기업인 페이스북은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신경망 성능을 가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 가능한 씨큐어 UWB(Ultra-Wide Band, 초광대역) 정밀탐지 칩셋 SR100T를 18일 공식 발표했다. 이 칩셋에 대해 ST는 "차세대 UWB 지원 모바일 장치에 고도의 정확성과 맞춤형 포지셔닝 성능을 제공한다. SR100T을 탑재한 모바일 장치는 커넥티드 도어(connected doors), 출입지점, 자동차 등과 소통해 사용자가 가까이 다가가면 자동으로 문을 열어준다. UWB 탐지 기능이 적용된 조명, 오디오 스피커 등 커넥티드 기기는 사용자가 한 방에서 다른 방으로 이동 시에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커넥티드 기술은 향후 우리의 일상에 직관적인 방식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이다."고 전했다. 새로운 UWB기반 칩셋인 SR100T는 NFC와 SE(보안요소) 하드웨어를 적용해 모바일 결제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에 탑재돼 NXP의 연결성, 모바일 생태계의 전문성, 그리고 보안 아키텍처를 한단계 더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NXP 반도체는 "기존 장치에 UWB 기능을 추가하면 실내외에 상관없이 최소한의 간섭요소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여러 장치 간 상대적 포지셔닝을 할 때 새로운 차원의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는 실리콘 밸리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NXP 커넥트 2019(NXP Connects 2019)에서 모바일, 자동차, IoT(Internet-of-Things), 산업 시장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UWB(Ultra-Wide Band, 초광대역) 기술을 발표했다. NXP의 UWB 기술은 공간, 상황 정보를 생성해, 무선 기기에 필요한 보안 제공 및 측정과 정밀 탐지를 가능케 한다. NXP는 이번 전략적 발표로 빠르면 2020년 시장에 UWB를 지원하는 활용 사례를 선보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했다. 커트 시버스(Kurt Sievers) NXP 사장은 “NXP의 UWB 기술은 전에는 불가능했던 흥미로운 새로운 사용 사례를 등장시키는 촉발제가 될 것이다. 이 기술은 움직임과 실내·외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공장에서 효율성 개선이나 쌍방향 게임 또는 휴대 전화에서 AR/AI 앱 사용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직관적인 온 디맨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앞당길 UWB 측정 기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이하 NXP)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스피어(Microsoft Azure Sphere) 인증을 거친 크로스오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개발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와 협업한다고 13일 발표했다. 이번 협업은 NXP의 i.MX 8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확장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NXP는 “협업을 통해 엣지 노드(Edge Nodes)를 위한 안전한, 초효율 지능형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ded Processor)를 개발하게 된다. 애저 스피어 보안 플랫폼(Azure Sphere security platform) 위에서 원활하게 실행하도록 하며, 동시에 멀티코어 이기종 컴퓨팅, 풍부한 그래픽 경험, 저전력 오디오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제품은 제한적으로 2020년 4분기에 샘플링될 예정이다”고 말했다. 애저 스피어 보안 플랫폼은 안전한 커넥티드 디바이스 제작을 위해 설계됐다. 애저 스피어 인증된 신규 프로세서는 MS 플루톤(Pluton) 보안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애저 스피어 운영체제(Azure Sphere OS)를 실행하며, 애저 스피어 보안 서비스(Azure Sphere S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NXP Semiconductors)의 소형 자율 주행 차량용 산업 및 자동차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코딩 대회가 열린다. NXP 반도체는 챌린지 기반의 인터랙티브 방식의 코딩 대회인 호버게임(HoverGames)을 개최한다고 5월 30일 발표했다. 이 대회는 시스템 제어, 네트워킹, 보안 및 모터 제어에 사용되는 NXP의 광범위한 자동차, 산업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 포트폴리오를 활용하며 엔지니어와 프로그래머들이 드론과 로버 개발에 더 친숙해 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러한 신기술 학습 외에도, 챌린지 시리즈는 개발자들이 재난 관리, 건강 위기, 환경 악화와 같은 긴급한 세계적 문제의 해결책을 강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첫 번째 호버게임 챌린지인, ‘Fight Fire with Flyers(비행체로 화재 진압)’는 도시 및 시골의 심각한 화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가자들이 소방관들이 직면한 전반적인 어려움을 깊이 살피고, 그 문제에 대해 독특하고 전혀 새로운 방식의 해결책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대회는 각각의 가상 코딩(virtual coding) 및 하드웨어 챌린지가 수개월에 걸쳐 이루어지며
신박제 NXP반도체 코리아 회장 월간 전자기술이 창간 3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뜻 깊은 날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지난 30년동안 월간 전자기술은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급 기술 대표지로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통해 전자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함께 해 왔습니다. 오랜 시간동안 전자산업 전반의 발전에 공헌하고 계신 월간 전자기술 임직원분들의 끊임없는 노고와 열정에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전자산업은 지금까지 우리 나라 경제성장을 이끌어 온 주 성장 동력이었습니다. 한 때 세계 전자 강국으로 떠오르기도 했지만, 선진국의 기술 발전과 개발도상국의 추격으로 인해 거센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전자산업은 새로운 변화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모바일 등과 같은 기술은 제조, 의료, 바이오, 금융 등에 접목되어 이종산업 간 융합을 확산시키고 있고, 산업 간경계를 무너뜨려, 새로운 제품과 산업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물결에서 우리가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서는 전자기술 역량이 중요하며,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혁신이 필요합니다. 월간 전자기술과 같은 전문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이유 입니다. 모든 것이
[첨단 헬로티] NXP가 GCL 테크놀로지스와 함께 NFC를 통합한 조작 방지 마개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솔루션은 와인 및 주류 업계에 특화된 것으로 향후 구알라의 IoC(Internet of Closures, IoT 마개) 스마트 제품군을 구성하게 될 예정이다. 구알라의 스마트 제품군은 NFC 조작 방지 기능을 갖춘 마개로 브랜드 가치를 보호하고, 위조를 방지하며, 조작이 불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기업들의 경우 소비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NFC를 한 번 탭(Tab)함으로써 소비자들은 해당 주류 제품의 원산지와 칵테일 레피시, 후기 등의 더 자세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주류를 개봉 후에도 대화의 내용을 확장하여 독점적인 VIP 제품 제안이나 로열티 보상 등의 제공이 가능하다. NFC 마개는 NTAG 213 태그 템퍼(Tag Tamper) 기술에 기반한다. NTAG 213 태그 템퍼는 ECC 기반 정품 인증 서명(브랜드 고유 서명 옵션 포함),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포함한 조작 방지 기능, 현재 상태에 기반한 이중 상태 애플리케이션, 칩 상의 고유 URL 생성 기능을 지니고 있다. 어떤 NFC 장치이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