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13개 정부청사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 표준화 및 빅데이터 기술 기반을 구축해 정부청사 시설관리시스템(G-FMS)을 고도화하기로 했다. 그동안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전국 13개 청사를 통합관리 하기 위해 2019년부터 디지털 기반의 정부청사 시설관리시스템(G-FMS)을 단계적으로 구축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시범사업으로 지난 2019년부터 2년에 걸쳐 세종청사 시설관리에 필요한 점검항목과 주요장비, 보수자재 등을 표준화했고, 전용 앱(App)을 개발해 핸드폰으로 시설물을 관리하고 있다. 올해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비콘 기술을 청사관리 업무에 접목해 효율적인 청사관리와 안전한 청사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비콘을 이용한 점검방식은 기존 NFC카드(초근거리 무선통신)를 사용한 점검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점검 기술이다. NFC카드 점검방식은 관리자가 변경이나 착오에 의해 일부 기자재의 점검이 누락 될 가능성이 있었으나, 비콘 이용기술은 비콘에서 전송된 점검대상물의 위치정보를 관리자가 핸드폰으로 수신받도록 해 점검 대상이 누락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점검자는 주변의 시설정보와 점검항목을 확인할 수 있고 점검
헬로티 김진희 기자 | NHN페이코는 자체 개발한 ‘페이코(PAYCO) 결제 단말기’의 보급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 인프라 확대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페이코 결제 단말기(C2100)’는 서명 패드와 각종 결제 리더기를 일체화한 올인원 단말기로, IC, 마그네틱, NFC, QR·바코드, 비자(VISA) 컨택리스(비접촉식) 결제를 모두 지원한다. 전후면에 고해상도 LCD와 IC 카드 슬롯을 각각 탑재해 가맹점주, 고객의 양방향 결제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언택트 결제’에 최적화된 기능들도 한 곳에 담았다. 코로나19로 수요가 확대된 QR·바코드 결제는 별도 리더기 없이 내장 카메라를 통해 지원한다. 카드를 긁거나 삽입하지 않고 단말기에 대는 것만으로 결제가 이뤄지는 비자 컨택리스 결제도 가능하다. 비자 컨택리스는 EMV 규격 기반의 IC칩 보안 기술 및 비자 토큰 서비스(VTS·Visa Token Service)를 적용해 편의성과 보안성을 높인 결제 기술이다. ‘페이코 결제 단말기’는 큰 공간 차지 없이 단말기 하나로 모든 결제 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매장이 협소한 소형 가맹점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중대형 가맹점의 경우 POS 결제 기능을 보완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는 지그비(Zigbee) 3.0 및 스레드(Thread)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초저전력 커넥티드 인텔리전스를 제공하는 JN5189 와 JN5188 IEEE 802.15.4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 (MCU)를 신규 출시했다. JN5189와 JN5188은 NXP의 JN 시리즈에 추가된 최신 장치로 폭넓은 작동 온도 범위(-40 ℃ ~ +125 ℃)를 지원하면서도 통합형 NFC NTAG를 제공하는 NXP의 첫 제품이다. MCU 주변 장치도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 홈, 자동화 구축,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 조명을 비롯한 기타 수많은 배터리식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JN5188과 JN5189 장치에는 48MHz 속도로 구동하는 Arm 코어텍스-M4가 탑재됐으며, 최고 640KB의 온보드 플래시와 152KB SRAM이 포함되어 있어, 복잡한 애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 무선(OTA) 업데이트에 필요한 스토리지 공간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NFC NTAG는 표준화된 아웃 오브 밴드(Out-of-band) 통신을 제공하기 때문에 페어링(Pairing) 과정을 현격하게 단순화한다. 사용자가 NFC 리더에 연결된 JN5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자사의 자동차용 NFC 리더기 IC(ST25R3914) 및 자동차용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STM8AF)가 로옴(Rohm)의 Qi 호환 자동차용 무선 충전 레퍼런스 설계에 채택되었다고 밝혔다. NFC를 기반으로 한 비접촉식 통신은 스마트폰의 모바일 결제 같은 기능을 위해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에서 산업용 장비, IoT 기기 및 자동차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NFC 사용 범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ST의 NFC 리더기 IC와 8비트 MCU를 채택한 로옴의 자동차용 무선 충전 모듈 레퍼런스 설계는 자동차 중앙 콘솔박스에 무선충전 기능을 더 많이 적용하도록 로옴이 개발한 Qi 표준 15W 무선 충전 IC인 BD57121MUF-M에 기반하고 있다. ST 기술은 충전 시스템에 근접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감지하여 충전을 즉시 중단할 수 있도록 정교한 제어 기능의 이점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Qi 트랜스미터가 생성하는 강력한 자기장 때문에 카드 결함이 발생하는 일을 방지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지원한다. ST의 자동차용 NFC 리더기 IC인 ST2
[첨단 헬로티] 자동차 키를 소지하지 않고도 차량 도어 잠금 해제, 시동 및 주행까지 모든 기능 작동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공유 자동차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키’의 개발을 완료하고 향후 출시될 신차에 순차적으로 적용한다고 4일 밝혔다. 이 디지털키를 이용하면 운전자가 기존의 스마트키를 지니고 있지 않아도 스마트폰만으로 자동차의 출입과 시동, 운행, 차량 제어가 가능하다. 디지털키 기술은 스마트폰과 자동차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및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을 활용해 기존 자동차 스마트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자동차를 운행하려면 항상 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해방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키는 타인에게 공유 가능한 것도 특징이다. 자동차 소유주를 포함해 최대 4명까지 키를 공유할 수 있다. 공동 사용자는 자동차 소유주의 인가에 따라 디지털키를 스마트폰 앱에 다운받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차량 소유주는 키를 공유할 때 사용 기간 또는 특정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제한적 공유도 가능하다. 가령 택배 기사에게 트렁크만 열 수 있는 키를 전송해 배송 물품을 차에 실어놓게
[첨단 헬로티] 국내 거래선 및 파트너사 관계자 200여명 참석...전략 제품 및 신규 서비스 소개를 통해 2019년 사업 방향 제시 국내 POS 솔루션 1위 기업 포스뱅크(대표 은동욱, 엄기형)가 2019년 ‘신제품 발표회’를 진행했다. 이번 신제품 발표회는 주요 거래선 및 파트너사 관계자에게 포스뱅크의 전략 제품 및 신규 서비스를 소개하고, 향후 사업 방향과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이번 행사는 신제품 소개, 신제품 시연, 신규 서비스 소개 등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으며, 행사장 내 별도의 제품 체험 존을 마련하여 참석자들이 직접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국내에서 최초 공개된 ‘BIGPOS’는 27인치 셀프 서비스 키오스크로, 세련되고 슬림한 디자인으로 참석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상하단 분리가 가능한 모듈형 설계로 바닥, 벽면, 카운터 등 매장 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상단부 주요 부품에 대한 접근 용이성으로 편리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옵션형 프린터, 스캐너, 카드 보안 리더기, NFC, 카메라 등을 지원하며 여권 스캐너, 티켓 프린터, 현금 모듈 등을 추가로
[첨단 헬로티] 엄격한 암호화 기술로 오인식 확률 1/50000… 일반 스마트키보다 5배 높은 보안성 현대자동차가 개인화 맞춤형 자동차 기술 시대를 본격화했다. 현대자동차는 지문을 이용해 자동차의 문을 열고 시동도 걸 수 있는 ‘스마트 지문인증 출입·시동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현대차는 이 시스템을 2019년 1분기 중국에 출시될 신형 싼타페 ‘셩다(胜达)’에 우선 탑재할 예정이며 향후 글로벌 시장에 확대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향후에도 운전자 개인별 프로필에 최적화된 맞춤형 기술을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미래 자동차 트렌드에 본격적으로 대응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기술은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하는 미래 공유형 자율주행자동차의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스마트 지문인증 출입·시동 시스템의 상세한 기술 원리와 작동 과정은 자사 미디어 채널인 HMG 저널과 HMG TV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공개된 스마트 지문인증 출입·시동 시스템은 생체 정보인 지문을 차량에 미리 등록해 놓으면 자동차 키 없이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생산라인이나 현장에서 혁신적인 비접촉식 방식으로 제품의 사전설정을 프로그래밍하고, 사용 시점에서 설정이나 세부 조정을 간소화해주는 NFC 다이나믹 태그인 ST25DV-PWM을 출시했다. 이 다이나믹 태그 IC는 ISO15693 RFID 리더기나 NFC 지원 스마트폰 또는 그 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조명, 전동장치, 팬, 온도조절기 등의 PWM(Pulse Width Modulating) 기반 컨트롤러를 갖춘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ST의 검증된 NFC 기술과 PWM 로직을 최초로 결합한 이 다이나믹 태그 IC는 RFID 인터페이스(NFC 타입 5 및 ISO/IEC 15693 호환)를 통해 수신되거나 온칩 EEPROM에 저장된 설정에 따라 임베디드 펄스-폭/주기 메커니즘을 사용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PWM 출력은 디바이스의 PWM 블록에 전원이 공급되면 바로 작동하며, RF 동작과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동안에도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곧바로 PWM 구성을 수정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이 태그 IC는 ST25DV02K-W1 및 ST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NFC(Near-Field Communication) 컨트롤러와 보안소자(Secure Element), eSIM을 통합한 고집적 모바일 보안 솔루션 SoC(System-on-Chip) ST54J를 출시했다. 이번 SoC는 모바일 결제 및 전자 발권 거래에서의 보다 원활한 사용자 경험과 더불어, 다수의 통신사 서비스 지원을 위해 보다 편리한 원격 모바일 프로비저닝에 ST의 소프트웨어 협력사 에코시스템을 통한 혜택을 추가해 모바일 및 IoT 제품에서의 성능 향상을 지원하는 통합 기능을 제공한다. ST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 부문 마케팅 상무인 로랑 드고끄(Laurent Degauque)는 “모바일 기기에서 보다 많은 보안과 연결을 필요로 하지만 오히려 PCB 공간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맞춰, ST54J는 설계자들이 어셈블리를 간소화하고 원자재 비용을 절감하도록 돕는다”고 말하고, “ST 협력업체인 소프트웨어 파트너사들의 입증된 에코시스템을 통해 EMVCo 및 GSMA-SAS 인증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수많은 통신사 및 각 프로파일, 그리고
[첨단 헬로티] RFID 전문업체인 이그잭스가 9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사물인터넷국제전시회에 참가해 듀얼태그와 다양한 RFID 시스템을 선보였다. 듀얼 태그는 UHF와 HF 대역의 태그를 하나의 칩과 하나의 안테나로 구현할 수 있는 이그잭스의 독자 개발 기술이다. 이와함께 이그잭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RFID 시스템을 소개했다. 물류관리 RFID 시스템은 태그간 간섭의 최소화 설계로 다중인식에 최적화된 친환경 프린팅 타입 안테나를 적용해 생산이력 및 수불관리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주로 의류, 제약, 타이어, 쥬얼리 분야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된다. 이력관리 RFID 시스템은 사용환경 및 제품의 재질에 따라 최적화된 안테나 설계, 그리고 친환경 프린팅 타입 안테나를 적용해 제품에 부착 후 이동경로에 따라 데이터 입력으로 생산, 유통이력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응용 분야는 주류유통이력, 가축이력관리, 승용차요일제, 손목밴드 등의 용도로 활용된다. NFC 시스템은 구현이 쉽고 모바일 결제서비스 차원의 데이터 읽기/쓰기가 가능하다. 대량의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처리하고, 보안성과 편리성을 높였으며, 복잡한 유선에서 무선으로 전
[첨단 헬로티] 강력한 복제 방지, 데이터 보호,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 기능과 변형 감지 기능 추가 ST25TV는 변조 방지 패키징 및 전자용품 감시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태그의 안전성을 높이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판독이 용이하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RFID 리더기와 상호 작용할 수 있어 컨슈머 및 전문가용 제품에도 적합하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ISO 15693 주변형 표준(Vicinity Standard)의 편리함에 강력한 복제 방지, 데이터 보호,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 기능과 변형 감지(Tamper Detection)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는 ST25TV 타입 5 NFC 태그 IC를 출시했다. ISO 15693 태그는 ISO 14443 태그에 비해 더 먼 거리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더 작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변조 감지 기능을 갖춘 유일한 ISO 15693 IC인 ST25TV는 변조 방지 패키징 및 전자용품 감시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태그의 안전성을 높이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판독이 용이하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첨단 헬로티] 재고 관리 뿐만 아니라 인증, 소비자 참여를 위한 해결책 ‘NFC’ 알리바바가 NFC 및 UHF 기술을 제공하는 스마트팩 테크놀로지 그룹의 지분을 인수했다. 이는 아시아와 전 세계에서 NFC 기술 채택을 촉진하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소비자의 손에 쥐여져 있는 NFC 기반 스마트폰이 인프라로써의 역할을 한다면 충분히 가능할 전망이다. 글로벌 유통, 전자상거래, 기술 대기업 알리바바(Alibaba)는 스마트팩 테크놀로지 그룹(Smartrac Technology Group)의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브랜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RFID 기술에 투자했다. 스마트랙 측은 알리바바가 인수한 주식의 비율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JP Morgan은 여전히 최대 주주로 남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스마트랙 제품과 솔루션에 관심을 갖고 있던 알리바바의 사장인 마이클 에반스(Michael Evans)는 스마트랙 이사회의 부회장이 될 예정이다. 스마트랙 CEO인 크리스티안 울(Christian Uhl)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스마트랙에 대한 투자는 브랜드 보호와 소비자의 참여에 대한 논의로 약 1년 전부터 시작됐다. 알리바바는 세계에서 가장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ISO 15693 주변형 표준(Vicinity Standard )의 편리함에 강력한 복제 방지, 데이터 보호,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 기능과 변형 감지(Tamper Detection)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는 ST25TV 타입 5 NFC 태그 IC를 출시했다. ISO 15693 태그는 ISO 14443 태그에 비해 더 먼 거리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더 작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변조 감지 기능을 갖춘 유일한 ISO 15693 IC인 ST25TV는 변조 방지 패키징 및 전자용품 감시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태그의 안전성을 높이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판독이 용이하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RFID 리더기와 상호 작용할 수 있어 컨슈머 및 전문가용 제품에도 적합하다. ST의 새로운 NFC 포럼 인증 칩은 명품, 의약품, 기타 고부가가치 제품 분야에서 NFC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관리 기반의 브랜드 보호, 제품의 인증 및 안전 보장, 위조 방지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변조 감지 기능과 함께 제공되는 여러 기능으로
[첨단 헬로티] 스마트팩(Smartrac)이 NFC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최근에 소개된 서커스 플렉스(Circus Flex) 및 서커스 두라(Circus Dura) 태그는 브랜드 및 소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내 환경을 제공하지만, On-Metal 제품은 산업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 금속 표면을 효율적으로 태깅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서커스 플렉스(Circus Flex)는 IC와 안테나와의 연결을 보호하는 'glop top'씰을 사용하며 고도로 보호된 유연한 태그에 대한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설계되었다. 서커스 두라(Circus Dura)는 고도로 보호된 딱딱한 태그를 위한 것이다. 스마트랙 관계자는 "강성과 유연성은 상호 배타적인 경향이 있다"며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인레이와 태그를 사용하여 브랜드와 소매 업체는 자신의 필요에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 및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산업에 속한 기업들은 금속 부품, 공구, 기계, 장비 또는 금속 도어에 태그를 부착해야 하므로, 광범위한 표면에 대해 유연한 On-Metal NFC 인레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마트랙은 롤투롤(roll-to-roll) 제조 공정에 적합할 정
[첨단 헬로티] 아이디어만 있다면 NFC의 활용도는 ‘무궁무진’ 프리미엄 와인 코르크, 명품 가방에 NFC 기술 도입 양태영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메모리 사업부 마케팅 과장 인터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일반 소비자에게 스마트폰을 통한 전자 결제와 파일 전송을 위한 기술로 익숙했고, 물류 시장에서는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태그를 위한 기술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NFC가 최근 자동차의 ‘전자 키’로 활용되기 시작했고 브랜드의 정품을 인증하기 위한 기술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NFC 선두 기술을 보유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의 양태영 메모리 사업부 마케팅 과장을 만나 최근 NFC 기술 동향과 ST의 기술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Q. NFC 기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NFC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해 약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기술이다. NFC 는 근거리로 통신을 하기에 사용자의 태깅(Tagging)이라는 행동이 요구된다. 이에 비해 WiFi 혹은, Bluetooth 등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