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미래테크놀로지는 심플랫폼과 사물인터넷(IoT) 보안 및 인증 서비스의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IoT 보안 인증 사업협력 위한 MOU 체결 이번 협약으로 심플랫폼의 누비손 IoT 플랫폼과 미래테크놀로지의 IoT 보안 플랫폼인 AnyIoT를 융합한다. 이를 통해 SaaS형 누비손 IoT 서비스의 보안성을 한층 강화한다. 향후 보안뿐 아니라 다양한 IoT 서비스 분야에서도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임대근 심플랫폼 대표는 “반도체 장비나 하이엔드급 특수 장비에 구현되는 스마트팩토리의 경우 강력하고 안전한 보안 인증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미래테크놀로지와 파트너십을 통해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보안 서비스 적용을 시작으로 플랫폼의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확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임수익 미래테크놀로지 대표는 “IoT 기술 발전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안 문제 해결이 선행돼야 하며 각 분야 특성에 맞게 보안을 설계하고 적용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번 협약으로 심플랫폼의 누비손 IoT 클라우드와 융합된 보안인증 서비스를 발판 삼아, AnyIoT 플랫폼이
[첨단 헬로티] 동아전람이 주최하는'2019 서울 방범ㆍ보안 엑스포'가 오는 9월 27일부터 9월 29일까지 대치동 학여울역 SETEC에서, 그리고 '제2회 부산 방범ㆍ보안ㆍ안전 엑스포'는 12월 20일부터 12월 2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각각 개최된다. 두 엑스포는 산업 및 오피스 보안ㆍ방범, 출입통제 보안ㆍ방범, IT보안, 사회 보안ㆍ방범, 사물인터넷(IoT)보안, 생활안전, 산업안전, 영상안전, 사회 보안ㆍ방범ㆍ안전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동아전람 관계자는 "이번 박람회는 참가업체에 보다 많은 홍보와 최고의 마케팅 장소를 제공하여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과 부산에서 개최되는 방범ㆍ보안 엑스포 관람을 원할 경우, 동아전람 홈페이지에 사전등록을 하면 무료관람 초청장을 받을 수 있다.
[첨단 헬로티] 무선 네트워크 및 IoT 보안 기업 노르마가 6일부터 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세계보안엑스포(SECON) & 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eGISEC) 2019’에 참가, IoT 디바이스 해킹을 시연하고 AI 기반 보안 솔루션 ‘IoT 케어(IoT Care)’를 집중 소개할 예정이다. 올해로 3회째 세계보안엑스포에 참가한 노르마는 그동안 차량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성을 보여줬다. 이번에는 중국 최고의 인터넷 보안 회사 ‘치후(Qihoo) 360’과 공동으로 ‘RF 통신을 이용한 IoT 기기 해킹 시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 디지털 도어락 해킹 시연 노르마는 홈 IoT 기기의 보안 취약성을 알리기 위해 RF 통신 기반의 디지털 도어락을 모의 해킹한다. 도어락은 ‘신호 재전송 공격’을 통해 10초 내에 해킹이 가능하다. 문을 열 때 월패드에서 발생하는 무선신호를 송수신기기로 잡아낸 뒤 무선신호를 복사하고 증폭해 공격하는 해킹 수법을 시연을 통해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치후 360은 건물 출입
[첨단 헬로티] 임베디드 가상화 및 보안 SW 전문기업 쿤텍(대표 방혁준)이 모바일 앱과 IoT 기기 사용자 정보 보안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보호 솔루션 ‘화이트크립션 코드 프로텍션(whiteCryption Code Protection)’과 ‘화이트크립션 시큐어 키 박스(whiteCryption Secure Key Box)’를 국내에 출시하고, 모바일 및 IoT 보안 시장 공략 강화에 나섰다. 최근 ICT 기술은 의료, 가전, 건축 등 다양한 전통적인 산업 분야와 융합하여 홈IoT, 커넥티드카, 스마트 빌딩, 의료 IT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를 적용한 스마트 기기는 결제 정보, 개인 생체 정보, 보험 기록 등 매우 민감한 정보를 다루고 저장한다. 하지만 기존의 서버와 네트워크 중심의 보안과 달리 주요 정보와 암호키가 스마트 기기에 있기 때문에 공격자의 위협에 상시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 기기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게이트웨이, 단말기 같은 장비들은 장비의 무결성을 보호하고 검사하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보안 신뢰성 플랫폼 모듈인 TPM(Trusted Platform Module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가 에지 노드와 게이트웨이 등 차세대 IoT 디바이스용 보안 솔루션이자 트러스트 앵커(trust anchor)인 A71CH 보안 요소(Secure Element; SE)를 발표했다. 안전한 P2P(peer-to-peer) 또는 클라우드 연결을 위해 설계된 A71CH SE에는 자율 클라우드 온보딩 및 P2P 인증에 필요한 자격 증명이 갖춰져 있다. 또한, 이 솔루션은 암호화 키 저장, 키 생성 및 유도 등 보안 기능을 통해 개인 정보 및 상호 인증에 필요한 자격 증명을 보호하는 실리콘 수준의 RoT(Root of Trust)이다. 필립 뒤부아(Philippe Dubois) NXP IoT 보안 솔루션 총괄은 “기업들이 미래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위한 안전한 IoT 디바이스 및 연결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 지식이나 통합할 만한 올바른 보안 솔루션은 부족한 상황이다. A71CH은 보안에 대한 대량 시장 수요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술 자료를 갖고 있다. IoT 시장을 성장 및 발전시키기 위한 수요와 요구에 RoT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고 설명했다. A71CH 칩만의 특징인 &
▲인피니언의 새로운 보안 솔루션 'OPTIGA™ Trust X' 시리즈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하드웨어 기반 보안 솔루션인 'OPTIGA™ Trust X' 시리즈를 출시했다. 이 시리즈는 스마트홈부터 드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에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게 된다. OPTIGA Trust X는 보안 통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상호 인증 등을 제공한다. 또한 플러그-앤-플레이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제조 업체들은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보안에 관한 전문 지식 없이도 쉽게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인피니언의 칩 카드 및 보안 사업부의 토마스 로스텍(Thomas Rosteck) 사장은 “IoT를 개발할 때는 처음 시작부터 보안을 고려해야 한다.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은 중요한 데이터들을 실행과 분리하여 안전하게 보호함으로써 공격을 더 잘 막아낼 수 있다. 제조업체들은 OPTIGA Trust X를 사용하여 자사의 IoT 디바이스에 강력한 보안을 쉽게 통합할 수 있다”고 말했다. eluminocity의 스마트 가로등에 적용된 인피니언의 OPTIGA Trust X는 클라우드부터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 보안 솔루션 잇따라 출시 중 2017년 한 해동안 첨단 전자기술이 끊임없이 쏟아져나왔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전자 기술들의 핵심은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사람을 연결한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이 기술들의 끝에는 결국 ‘보안’이라는 꼭 풀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전자기술 12월호에서는 이러한 보안의 중요성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 해동안 쏟아졌던 첨단 기술들, 결국 핵심은 보안”이라는 특집을 준비했다. 본 기사에서 보안 기술 동향과 마켓 트렌드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다. 약 1년 전, 다인(Dyn)에 가해진 디도스 공격으로 인해 아마존, CNN, 넷플릭스, 옥타, 핀터레스트, 레딧, 트위터 등 대형 인기 웹사이트의 운영이 방해된 적이 있다. 이 사건은 보안이 취약한 IoT 장치가 어떤 혼란을 불어일으키는지 잘 보여주는 예가 됐다. 글로벌 방위 기업인 탈레스(Thales)가 지난 10월, 2017 PKI 글로벌 트렌드 리포트(2017 PKI Global Trend Report)를 발표했다.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란 공개 키 암호 방식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인증서를 활용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이 오는 15일(수)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사물인터넷(IoT) 보안 인증서비스 시행에 대비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사물인터넷 보안 인증서비스란,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제품과 연동 모바일 앱에 대해 일정 수준의 보안을 갖췄는지 시험해 기준 충족시 인증서를 발급해주는 제도이다. 해당 인증은 IoT 공통보안가이드(2016. 9)와 홈·가전 IoT 보안가이드(2017. 7) 등 주요 보안가이드에서 제시됐던 보안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인증, 암호, 데이터보호, 플랫폼보호, 물리적보호 총 5개 영역에 대해 평가한다. 평가 후 사물인터넷 제품의 다양한 유형과 인증 수요를 반영해 두 개의 등급 Lite, Standard로 구분해 시행된다. 사물인터넷 보안 인증 평가항목은 초기 비밀번호 무작위 대입 공격으로 인한 IP 카메라 사생활 정보 유출, 스니핑 공격을 통한 중요정보 탈취 등 주요 해킹 위협에 대한 보안성이 강화되도록 구성됐다. 인증서비스는 민간 자율의 임의인증으로 11월 말부터 시행할 계획이며, 통신사, 사물인터넷(IoT) 기업, 공공기관 등과 협력하여 이
IoT 보안 의식, 이제는 하드웨어로 옮겨져야 할 때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지난 10월 17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된 한국반도체대전(SEDEX)에 참가해 ST의 반도체 칩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IoT 솔루션을 선보였다. 전시된 제품들 중 가장 눈에 띈 것은 바로 STSAFE 시리즈. 최근 보안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높은 보안성을 자랑하는 ST의 STSAFE 제품 라인이 보안 문제의 해결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ST 마케팅팀의 곽재현 부장을 만나 STSAFE에 대해 들어봤다.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곽재현 부장 곽재현 부장은 먼저 STSAFE를 ‘하드웨어 기반 시큐리티 솔루션(Hardware based Security solution)’이라고 소개했다. ‘하드웨어’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보통의 보안 솔루션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있는데 ST는 반도체 칩 기반으로 솔루션을 구현하기 때문이다. ST는 현재 IoT 분야 중 스마트 띵(Smart Things), 스마트 홈&시티(Smart Home&City), 스마트 인더스트리(Smart Industry)에 사업을 진
[첨단 헬로티] 시퀴터 랩스와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가 빠르게 증가하는 IoT 보안 수요에 발맞춰 마이크로칩의 SAMA5D2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용 IoT Security Suite를 새로 출시했다. 양사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 제조업체들은 이 Suite를 통해 시퀴터랩스와 마이크로칩이 제공하는 보안 기술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OEM 업체들은 이 솔루션을 바탕으로 하드웨어 기반 차단 및 암호화를 사용할 수 있고 개발 작업에 필요한 투자와 노력도 줄일 수 있다. 이 Suite는 제품 수명 전반에 걸친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무결성 유지와 다른 디바이스 및 IoT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과의 안전한 통신 등 IoT 제품 제조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주요 요건을 충족시킨다. 구체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IP보호-임베디드 펌웨어 암호화 및 인증된 펌웨어 실행 ▲신뢰 디바이스ID-고유의 장치 인증서와 신뢰 루트(root)를 결합함으로써 ID 인증 강화 ▲보안 스토리지 – 시스템 내 스토리지에 코드와 데이터를 고유 암호화하여 저장 ▲보안 통신-클라우드 디바이스 및 서버로 통신 인증 및 프라이버시 보호 ▲보안 펌웨어 업데이트-MPU 펌웨어를 원격으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가 nRF5 SDK의 OTA 펌웨어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nRF5 SDK v12.0은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보안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한 서명 기반의 OTA-DFU(Over-The-Air Device Firmware Update)를 지원한다. 이 SDK는 인증된 보안 서명을 이용해 신뢰할 수 있는 입증된 소스에서만 해당 디바이스의 업데이트가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악의적인 디바이스 업그레이드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공개/비밀(Public/Private) 키 보안 구조는 공개 키는 배포되고, 비밀 키만 단독으로 송신 측에 남아 있는 형태로 1:1 보안을 유지하게 된다. 노르딕의 nRF5 SDK v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키를 생성하여 암호를 사용할 수 있다. 노르딕의 제품 마케팅 매니저인 존 레오나드는 “노르딕은 상당한 개발 노력을 통해 개발자들이 자신들이 선호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암호를 생성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BLE)의 안전한 무선접속을 위해 P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