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LG유플러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데이터댐 구축을 위한 국책사업의 '라이프로그(헬스)' 분야 빅데이터 센터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국책과제는 산업 전반에 필요한 데이터의 축적·활용을 활성화하고 데이터의 유통·거래 기반 마련을 위한 빅데이터 센터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라이프로그를 비롯 금융, 유통·소비 등 16개 분야에서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각종 데이터를 수집·분석·관리한다는 계획이다. 라이프로그 분야의 빅데이터 센터로 선정된 LG유플러스는 수행기관인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과 함께 라이프로그 관련된 데이터를 융합 및 생산할 계획이다. 시간대별 유동인구, 통화량, IPTV 및 U+모바일tv 시청이력 등 LG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관련 데이터와 10개 빅데이터 센터에서 축적 중인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연계해 헬스·통신 데이터를 융합·생산한다. 생산된 데이터는 향후 라이프로그 빅데이터 플랫폼 이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예정이다. 박종욱 LG유플러스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중소기업·스타트업 등이 고객가치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유료방송 기술중립성 도입 본격 추진을 위해 ‘중소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사업(이하, ‘IPTV’) 허가 심사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허가심사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 현재, 유료방송사업은 사업 종류에 따라, 전송방식이 특정되어 있어, 유료방송사가 기술발전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기술 선택의 제한은 신규 서비스의 신속한 도입과 고품질 서비스 제공을 어렵게 하고, 전송망 구축·운영의 중복과 주파수의 효율적 사용 저해의 문제가 있어, 유료방송업계와 전문가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여 왔다. 따라서 과기정통부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IP 전송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IPTV 허가를 추진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정책 추진을 통해 종합유선방송사업자도 IP기반의 양방향 서비스와 품질 향상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고, 신규 망 투자, IP 셋톱박스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한 산업 활성화도 기대하고 있다. 또한,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새로운 기술이나 융합기술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 후생 제고에도 기여할
[첨단 헬로티] 2019년 매출 17조 7,437억 원, 영업이익 1조 1,100억 원, 순이익 8,619억 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019년 연간 매출 17조 7,437억 원, 영업이익 1조 1,100억 원, 순이익 8,619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연간 기준 사상 최대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미디어와 보안 등 New Biz. 영역에서 규모 있는 성장을 이어가고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선도하며 1위 통신 사업자로서의 리더십을 공고히 한 결과다. 영업이익은 5G 주파수 비용을 포함한 5G네트워크 투자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7.6% 감소했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의 지분법 이익 영향 등으로 72.5% 감소했다. MNO 매출 작년 2분기 이후 반등…미디어, 보안, 커머스 등 신규 동력 성장 지속 SK텔레콤의 별도 기준 연간 매출은 선택약정할인 가입자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5% 감소한 11조 4,162억 원을 기록했다. 데이터 사용량 증가, 5G 가입자 증가 추세에 힘입어 작년 2분기부터 이동전화 매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올해 매출은 반등할 것으로 기대
[첨단 헬로티] KT(회장 황창규)는 지난 2일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황창규 회장을 비롯한 200여 명의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0년 KT 그룹 신년 결의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KT 황창규 회장, 신임 CEO 내정자 겸 커스터머&미디어(Customer&Media)부문장 구현모 사장,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 이동면 사장, BC카드 이문환 사장, KT 에스테이트 이대산 사장 등 주요 임원과 함께 김해관 KT노조위원장을 비롯한 KT 그룹 임직원이 함께했다. ‘Global No.1 KT, 우리의 도전은 계속됩니다’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신년 결의식은 경자년 새해를 맞아, KT 그룹 임직원들의 땀과 열정으로 이루어낸 세계 최초 5G 상용화, IPTV 800만 가입자 돌파, 기가지니 200만 돌파 등 2019년 성과를 격려하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또한 2020년 글로벌 1등 KT로 다시 한번 도약하기 위해 내부 의지를 결집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는 ‘지난 6년간의 우리의 성과’ 영상 시청을 시작으로 황창규 회장과 김해관 노조위원장 신년사, KT와 KT 그룹사 임직원들의
[첨단 헬로티] KT는 2018년 연결기준 매출 23조4601억원, 영업이익 1조2615억원을 기록했다고 2월 12일 밝혔다. 구 회계 기준으로 보면 매출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23조7517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감소했지만 핵심 사업인 초고속인터넷과 IPTV 사업이 성장하고 그룹사 매출 기반이 확대되면서 서비스 매출은 3년 연속 20조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1.4% 감소한 1조2184억원을 기록했다. 인건비 증가와 무선 매출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다. 아현지사 화재로 인한 요금감면 비용은 4분기에 모두 반영됐다. 무선사업 매출은 선택약정할인과 취약계층 요금 감면 확대, 와이브로 서비스 종료로 전년 대비 2.3% 감소한 7조409억원이었다. 하지만 무선 가입자는 데이터ON, 로밍ON과 같은 고객 맞춤형 신규 요금제가 큰 호응을 얻으며 전년 대비 5.5% 늘어난 2112만명을 기록했다. 일반이동통신(MNO) 순증 규모는 91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고 이 가운데 휴대전화 가입자 순증은 14만명이었다. 유선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2.1% 감소한 4조7990억원이었다. 유선전화 매출이 줄고 있지만 초고속인터넷사업이
[첨단 헬로티] IPTV, 무선인터넷 등 최신 호텔 객실 IT 서비스 및 호텔 객실 관리 지원 노키아는 국내 최대 규모 복합리조트인 제주신화월드의 광 근거리통신망(Optical LAN) 1차 구축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구축되는 노키아의 광 근거리통신망은 리조트 내 1,326개 호텔 객실의 인터넷TV(IPTV), 인터넷전화(VoIP),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IT 서비스는 물론,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을 지원하게 된다. 노키아는 국내 공식 광 근거리통신망 제휴사인 넷큐리티와 함께 제주신화월드에 보다 장기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광섬유 기반 네트워크 솔루션을 구현하였다. 이 솔루션은 기존 구리선 기반 근거리통신망(copper-based LAN) 기술보다 더욱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며, 보안성이 뛰어난 근거리통신망을 제공한다. 동일한 인프라를 이용하여 10G 또는 40G 속도로 쉽고 비용 효율적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중앙의 단일 위치(single central location)에서 구리선 기반 근거리통신망 대비 200배 더 긴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각 층 혹은 100m마다 장비실을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다. 또, 단일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모든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는 ‘2018 iF 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의 커뮤니케이션과 제품 부문에서 U+tv와 ‘U+tv 아이들나라’를 비롯한 6개 서비스가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받아 본상을 수상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가 참가한 iF 디자인 어워드는 독일의 ‘국제포럼 디자인’이 주관하여 1953년부터 시작된 공신력 있는 디자인 공모전으로 이번 공모전에는 전세계 54개국으로부터 6400여개 이상의 디자인 결과물이 접수됐다. LG유플러스는 이 중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에서 U+tv, U+tv 아이들나라, 커넥티드카 서비스와 제품 디자인 부문에서 무선 AP(Access Point), WiFi 폰, NB IoT 기기가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에 출품한 U+tv는 ‘Back to basic’ 디자인 원칙을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하고 채널을 탐색할 수 있는 IPTV 사용자 환경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U+tv 아이들나라는 생동감 있는 인터랙션으로 아이들에게 즐겁고 새로운 감성경험을 제공하는 점, 커
[첨단 헬로티] SK브로드밴드가 업계 최초 8개까지 조건검색어를 복합하여 콘텐츠 음성검색이 가능한 스마트 인공지능(AI) IPTV 서비스를 시작한다. SK브로드밴드는 25일 서울 중구 퇴계로 본사 20층 대강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의수화가 석창우 화백의 ‘수묵 크로키’ 퍼포먼스와 함께 B tv 셋톱박스와 SK텔레콤의 AI 플랫폼 NUGU를 결합한 일체형 AI 셋톱박스 ‘B tv x NUGU’(‘비티비 누구’로 발음)의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SK브로드밴드는 2016년 12월, 국내 IPTV 업체 중 처음으로 음성검색 서비스를 시작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음성검색 기능을 집중적으로 고도화해 업계 최초로 8중 복합 조건(인물, 국가, 장르, 연도, 화질, 가격, 최신, 관객)으로 콘텐츠 음성검색이 가능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설명했다. 윤석암 SK브로드밴드 미디어부문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유료방송 서비스 중 콘텐츠 검색 결과에서 재검색, 재정렬까지 실행하는 고도화된 검색은 오직 ‘B tv x NUGU’에서만 가능하다”
[첨단 헬로티] SK텔레콤이 미국 최대 규모의 지상파 방송사인 싱클레어 방송 그룹과 북미 방송산업의 혁신을 주도할 차세대 ATSC3.0 방송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 SK텔레콤과 싱클레어는 ‘CES 2018’이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차세대ATSC 3.0 방송산업 주도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미국에서 차세대 방송표준으로 제정된 ATSC 3.0 기반의 방송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 이후 미국에서 차세대 방송 시범서비스를 선보이고, 상용서비스도 론칭할 계획이다. 싱클레어는 미국 전역에 173개 TV 방송국과 514개 채널을 보유한 미국 최대 규모의 로컬 지상파 방송사이다. 지난해 싱클레어의 매출은 약 27억 달러이며, 2016년 가구 기준 시청점유율도 40%에 달한다. 미국의 전국 단위 지상파 방송사인 CBS(37.7%), ABC(22.5%)보다 커버리지가 넓다. SK텔레콤은 이번 협력으로 자사의 모바일 IPTV·미디어 기술이 미국 시청자들의 안방까지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SK텔레콤은 미국을 시작으로 차세대 방송을 추진하고 있는 인도 등으로 AT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가 네이버와 함께 인공지능 스마트홈 구축에 나서며 홈 미디어 서비스 분야에서 일등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LG유플러스는 12월 18일 서울 용산 사옥에서 권영수 부회장과 네이버 한성숙 대표이사를 비롯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핵심 홈 서비스인 IPTV, IoT와 네이버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 기반의 AI스피커를 접목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스마트홈을 공동 구축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 권영수 부회장은 “양사의 사업협력으로 LG유플러스는 IPTV와 IoT의 사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고 네이버는 단기간 내 사용자를 확대하여 플랫폼 경쟁력을 높이는 교두보를 확보하게 됐다”며 “인공지능 분야 최고 기술력을 가진 네이버와 함께 홈 미디어 시장 강자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이번 LG유플러스와의 제휴로 네이버의 AI 플랫폼 ‘클로바’는 영역을 한층 더 확장하게 됐다”며, “네이버는 앞으로 ‘클로바’ 파트너들과 함께 이용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는 서울 상암사옥 5G기술시험센터에서 화웨이의 5G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무선으로 IPTV UHD(Ultra-HD)서비스를 제공하는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험은 5G 용도로 유력한 28㎓ 주파수와 고정형 무선 통신기술인 ‘FWA(Fixed Wireless Access)’를 활용해 진행됐으며, 5G기지국 등 네트워크 장비에서 IPTV 및 인터넷까지 별도의 유선망 연결없이 무선으로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FWA는 유선 통신망 구간의 일부를 무선기술로 대체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이 기술을 활용하면 5G기지국에서 집안의 IPTV까지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초고속 인터넷망이 구축되지 않은 지역 거주 고객들에게도 기가 인터넷이나 UHD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선을 무선으로 대체해 UHD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5G기지국과 IPTV 셋탑박스 사이에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라는 별도의 단말이 필요한데, LG유플러스는 향후 5G서비스가 상용화되면 기가 인터넷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지역 거주
▲ 올레 TV 360도 기가 VR [사진=KT] [헬로티] KT는 올레 TV를 통해 IPTV에서 리모컨으로 즐길 수 있는 가상현실(VR) 서비스인 ‘올레 TV 360도 기가 VR’을 8일 전격 공개한다고 밝혔다. KT의 올레 TV 360도 기가 VR은 Full HD급 이상 고화질로 제공되며, VR전용 주문형비디오(VOD)를 재생하고 TV리모컨으로 360도 조종을 할 수 있다. 특히, 헤드셋 등 고가의 VR 전용기기 없이 기존 TV만으로 즐길 수 있어 VR서비스가 낯설고 생소한 일반인도 VR서비스를 쉽게 경험해볼 수 있다. TV로 즐기는 VR서비스는 VR기기 착용으로 인한 멀미나 피로감이 없고, 남녀노소, 온 가족이 큰 TV화면으로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기 VR 콘텐츠로는 KT가 독점으로 제공하는 MBC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 미국편’, ‘쇼핑왕루이 메이킹필름’, ‘복면가왕 특집편’ 등이 있다. 특히, 무한도전 미국편의 경우 IPTV VR서비스 출시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무서운 롤러코스터를 집안에서 가상현실로 체험해볼 수 있게해 이목을 끌고 있다. 이 서비스는
▲ KT 2016년 3분기 매출실적 [자료=KT] [헬로티] KT는 2016년 3분기 영업실적 발표에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한 5조 5299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4016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유선전화 가입자 감소와 실적 하락에도 불구하고 무선 가입자 확대 및 미디어사업의 확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4000억 원을 돌파한 것은 특기할 만한 부분이다. 또한, 지난 2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4000억 원을 돌파한 것은 2011년 이후 5년만에 처음이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무선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1조 8841억 원을 기록했으나 무선기타 매출은 가입비 페지의 여파로 전년보다 7.8% 감소했다. 유선사업 매출은 계속되는 유선전화 이용 감소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한 1조 2550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유선전화 매출은 505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5%가 감소했다. 반면 KT의 초고속인터넷 기가인터넷은 24.1%의 비중을 차지한 데 힘입어 지난해보다 11.4% 증가한 484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미디어·콘텐츠 부문 매출도 전
▲지난 7월 열린 '지상파 UHD 방송 추진위원회'의 모습/뉴스1 © News1 미래창조과학부는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표준 방식과 기술기준을 규정한 '방송표준방식 및 방송업무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고시가 오는 30일부터 확정·시행된다고 밝혔다. 시행되는 방송표준방식은 북미식(ATSC 3.0)으로 지상파 UHD 방송표준방식 협의회에서 검토끝에 선정한 것이다. 협의회는 유럽식(DVB-T2) 방식보다 국내 환경에 북미식이 적합하다는 판단으로 미래부에 정식 건의해 국내표준으로 채택된 것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북미식이 유럽식보다 전송 성능이 더 우수하고 IP기반 통신과 융합된 방송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면서 "TV 이외에 다양한 단말기 및 글로벌 장비시장 확보 측면에서 북미식이 더 유리한 것으로 검토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고시는 규제완화와 사업자 자율성 확대 차원에서 방송표준방식을 핵심기술 위주로 규정했다. 또 기술기준은 전파혼신 방지, 이용자 보호 등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사항만 나열해 최소화하는 등 간소화된 것이 특징이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중인 디지털방송(HD)과 케이블TV, 인터넷(IP)TV 등 유럽식이 적용된 유료방송사
사진=LG유플러스 제공 [헬로티] LG유플러스가 IPTV서비스 U+tv에서 인기 유튜브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 'U+tv 유튜브 채널'을 출시한다고 28일 밝혔다. U+tv 유튜브 채널 서비스는 인기 유튜브 영상을 검색 없이 리모컨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다. 또한 기존 VDO 영상에서 지원되는 ▲구간점프 ▲빨리 감기 ▲다시 보기와 같은 다양한 조작 기능을 유튜브 채널에서도 제공한다. U+tv 내 유튜브 채널은 900번대에 배치되며, 유아·뷰티·게임·음악·엔터테인먼트 등 장르별로 인기 유튜브 채널을 제공한다. 유튜브 채널로는 ▲구독자 90만, 누적조회 수 10억 건의 어린이들의 캐통령 '캐리와 장난감친구들'(유아) ▲구독자 150만의 스타 BJ '영국남자'(엔터테이너) ▲구독자 127만의 '대도서관'(게임)은 물론 ▲구독자 100만의 '씬님'(뷰티) 등이 선정되었다. LG유플러스 측은 "IPTV 서비스 U+tv는 인기 유튜브 제작자와의 협력으로 보다 많은 콘텐츠를 제공하고, 유튜브 개인 제작자들의 미디어 플랫폼으로 입지를 굳혀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LG유플러스는 U+tv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