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화학 분야 신규 연구단을 KAIST 캠퍼스에 출범시킨다고 밝혔다. 지난 23일부터 연구에 착수하는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Center for Advanced Reactions Dynamics)의 단장으로는 이효철 KAIST 교수가 선임됐다. 이로써 IBS는 수학‧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융합 분야 31개 연구단, 1개 연구소(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를 구성하게 됐다. 이 신임 단장은 KAIST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에서 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과학원 및 미국 시카고대에서 연구했으며 2003년부터 KAIST 교수를 역임했다. 2012년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그룹리더, 2015년부터는 부연구단장을 역임하며 화학반응 연구에 매진해왔다. 이 단장은 X선 산란‧회절을 통한 화학 및 생물학적 시스템의 분석 분야 연구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해왔다. 대표적인 성과로 X선을 이용해 화학결합을 형성하는 분자 내 원자들의 실시간 위치와 운동을 관측한 연구들이 있다. 이효철 단장은 “화학반응 및 생물학적 반응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 및 분석법을 개발해 나가려한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25일인 오늘 차세대 메모리 소재인 스핀 메모리 소자를 초고속·초전력 대용량으로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IBS 소속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과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은 자석 성질을 띠는 자성 반도체 물질에서 '초거대 각자기저항' 현상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이는 자기장 크기가 일정할 때 '스핀' 각도에 따라 자기저항 크기가 10억 배까지 변화하는 현상을 뜻한다. 자석의 원인인 스핀은 전자가 자기장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는 물성이다. 보통의 반도체에서 전기장으로 전류 흐름을 조절하는 것처럼 스핀 방향을 이용해 전류 흐름을 조절하게 됐다. 연구진은 기존 반도체 특성과 위상 자성체 특성을 결합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외부 잡음에 강하고 정보 손실이 없는 스핀 정보 소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위상 상태는 고체 물질의 전자구조가 뫼비우스의 띠처럼 꼬여진 구조를 말하는데, 위상 자성체는 기존 위상물질과 달리 자성에 따라 위상학적 전자 상태 특성이 변화되는 물질이다. 스핀 정보 소자 기술(스핀트로닉스)은 에너지 효율이 높고 정보 연산·저장을 동시에 할 수 있어 기존 반도체 기술의 한계를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제4대 상임감사로 최도영(崔道榮, 58세) 전(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단장을 선임했다. 임기는 2021년 10월 5일부터 3년이다. 최도영 신임 감사는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지원과장, 미래창조과학부 통신자원정책과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초조정과장, 연구예산총괄과장 등을 역임했다. 2020년 5월부터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단장으로 역임하며 과학벨트의 과학기반 혁신 성장을 견인했다. 최도영 신임 감사는 30여 년간의 공직 경험에서 쌓은 연구개발 활동 및 제반업무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IBS의 비전 및 목표 달성을 위한 감사업무를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고 있다. IBS 감사는 공개모집 절차, 이사회 선임 과정을 거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임명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롤러블폰 등 이형(異形) 폼팩터를 가진 전자기기가 상용화 초읽기에 들어선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기존 평면 디스플레이로는 구현하기 힘든 정보까지 표현할 수 있는 3차원 디스플레이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과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 공동연구팀은 종이처럼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는 3차원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개발에 성공했다. 양자점(Quantum dot)을 발광물질로 활용하는 QLED는 기존 액정디스플레이(LCD)와 달리 백라이트 등 부피가 큰 요소가 필요 없어 훨씬 얇은 두께를 가진 디스플레이 제작이 가능하다. IBS 나노입자 연구단 역시 2015년 머리카락 두께의 약 30분의 1정도인 3μm 두께의 초박형 QLED를 개발하고, 이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제작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종이접기를 하듯, 초박형 QLED를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게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나비, 비행기, 피라미드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진 3차원 폴더블 QLED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
[헬로티] IBS 나노입자 연구단, 반도체 클러스터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유용 원료로 전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은 원자 26개로 이뤄진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를 만들고, 이를 촉매로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 원료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 연구진이 합성한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의 현미경 이미지(출처: Nature Materials) 우선, 연구진은 원자 26개를 뭉쳐 ‘반도체 클러스터’를 제작했다. 반도체 클러스터는 여러 원자를 뭉쳐 하나의 원자와 유사한 성질을 보이게 만든 것이다. 기존 나노입자보다 크기는 작지만, 원하는 물성을 정확하게 구현한다는 것이 장점이다. 지금까지는 클러스터가 상온 및 공기 중에서 불안정해 쉽게 분해되기 한계가 있어 산업적 응용이 어려웠다. 연구진은 반도체 클러스터의 안정성을 개선해 이 한계를 극복했다. 기존 클러스터의 단일 자리 리간드를 이중 자리 리간드로 대체했다. 두 손을 마주잡는 것이 한 손으로 잡는 것보다 더 견고한 것과 같은 원리다. 연구진은 이 방식으로 카드뮴(Cd)과 아연(Zn) 원자 각각 13개를 결합해 총 26개 원자로 이뤄진 카드뮴-아연
[헬로티] 2차원 반도체 물질을 빛만으로 도핑할 수 있게 됐다.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조문호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2차원 반도체 물질을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이용해 도핑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실시간 및 자유자재로 반도체 기능을 바꿀 수 있는 원자층 집적회로 소자를 구현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빛과 물질의 광화학반응으로 탄생하다 이 연구는 빛이 일으키는 결함을 역이용해 n형과 p형 도핑 모두를 가장 간편하게 구현한 연구다. 2차원 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와 특성이 전혀 다르다. 얇고 유연한 전자기기, 극초소형 컴퓨터 등을 구현할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상용화를 위해서는 실리콘 반도체처럼 내부 불순물 종류와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반도체는 도핑하는 불순물 따라 전자가 많은 n형과 양공이 많은 p형으로 나뉘는데, n형과 p형을 접합시켜야 트랜지스터가 돼 비로소 단일 집적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에는 표면에 화합물을 도포하거나 물질 합성 단계에서 도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n, p형 도핑에 각각 다른 처리가 필요하고 도핑 후에는 성질을 바꿀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첨단 헬로티] 0.02nm 해상도 초고속카메라로 찍고, AI로 입체 구조 파악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박정원 연구위원(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호주 모나쉬대,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와 함께 0.02nm까지 관찰할 수 있는 분석기법을 개발해 개별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포착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IBS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진 연구진은 액상 투과전자현미경(liquid cell TEM)을 이용해 가장 작은 원소인 수소보다 1/6 작은 수준의 정확도로 나노입자를 관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IBS는 이번 성과가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IF 41.037) 4월 3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고 밝혔다. 고성능의 나노소재를 설계‧합성하기 위해서는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노입자의 원자 배열이 미세하게 바뀌면 촉매의 활성이 저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색 순도가 바뀌는 등 물성이 달라진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나노입자의 전체적 형상만 관찰할 뿐, 원자 배열을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에 연구진은 나노입자가 녹아 있는 극미량의
[첨단 헬로티]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성능을 향상시킬 신소재가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대행 김영덕)은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단장 로드니 루오프) 연구진이 대용량 ESS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자성과 전도성을 동시에 지닌 NiTAA-MOF다. ▲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단장 로드니 루오프) 연구진은 향후 에너지 저장장치 등에 적용 가능한 금속유기구조체(MOF)의 전도성 향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사진 : UNIST> ESS 성능 높일 MOF, 그 전도적 특성을 연구하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발전과 함께 이를 저장하고 높은 출력을 내는 ESS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갈수록 향상되는 전자기기의 성능 탓에 더 높은 출력을 낼 수 있는 ESS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돼왔다. 여기서 주목받은 소재가 금속유기구조체(MOF)다. MOF는 금속과 탄소 물질(유기물)이 결합해 이룬 다공성 소재다. 이 소재를 전극으로 사용할 경우 넓은 표면적에서 산화-환원 반응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 저장능력 및 성능을 갖는 에너지 소자를 만들기 유리하다고 평가 받아왔다.
[첨단 헬로티]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에 대한 첫 성과평가 결과 김빛내리 단장, 현택환 단장, 그리고 오용근 단장이 이끄는 3개 연구단의 과학적 수월성이 세계 선도적 수준으로 평가되는 등 연구단 구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기초과학연구원(원장 김두철, 이하 ‘IBS’)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은 밝혔다. IBS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한 기초과학의 특성에 맞게 연구 착수 5년 후 처음 평가를 하며, ‘12년 최초 출범한 9개 연구단에 대해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첫 성과평가를 실시했다. 첫 성과평가 결과, 지난 5년간 연구단 구축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앞으로 연구그룹 간 협업과 집단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과제를 남겼다. 이번 평가는 연구단 특성에 맞게 평가단이 자율적으로 평가했으나, 수월성 검증을 위해 연구단의 과학적 우수성에 대해서만 6단계 등급을 부여했다. RNA연구단(단장 김빛내리), 나노입자연구단(단장 현택환), 기하학수리물리연구단(단장 오용근) 등 3개 연구단은 해당 연구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 연구영역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어 최고등
오토메이션월드(Automation World, 이하 AW)는 aimex, IBS, Korea Vision Show를 아우르는 산업자동화 전시회다. 1990년 국내 최초의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KOFA로 시작한 aimex(국제공장 및 공정자동화전)는 2012년 23회를 맞이하 며, 제5회 IBS(국제빌딩자동화전), 제1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 과 공동개최 된다. AW 2012는 4월3일부터 6일까지 코엑스 1층 전관에서 열린 다. 특히 한국머신비전산업전은 2011년 머신비전 파빌리온의 성공적인 개최에 힘입어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와 코엑스가 MOU를 체결하고 맞이하는 첫 전시회라 업계의 관심이 모이 고 있다. 또한 3S 특별관을 통해 Smart, Safety, Saving을 주 제로 자동화 산업의 트렌드를 보여줄 예정이다. 더욱 새로워진 AW 2012...한국에서 만나는 하노버메쎄 AW는 제조공정에 따른 전시품목을 분류하고 전문화하여 독일의 하노버메쎄 와 같은 전시회로 거 듭나고 있다. 또한 AW 3S 특별관을 통 해 산업용 통신망관 (Smart), 산업안전 관(Safety), 친환경에너지관(Saving)을 선보일 예정이다. 더욱 강력해진 바이어마케팅 AW는 전시회 개
2012년 오토메이션 월드는 aimex(제23회 국제공장및공정 자동화전), IBS(제5회 국제빌딩자동화전), Korea Vision show(제1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로 구성되어, 자동차, 반도 체, 조선, 화학 등 약 3만 명의 제조산업계 종사자들이 참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3S(Smart, Safety/Security, Saving) 특별관을 구성하여 관련 기업들과 공동 기획, 선보일 예정이어서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기신청 전체 70% 마감 2012년 4월3일부터 6일까지 코엑스 A, B홀에서 개최 예정인 오토메이션 월드(Automation World 2012, AW 2012)의 조기 신청이 지난 10월 31일 성황리에 마감됐다. 이번 조기 신청에는 지멘스, ABB코리아, LS산전 등 산업 자동화 업계‘Big’기업이 참가를 확정지었으며, 슈나이더일렉트릭, 한국에머슨일렉트릭,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 등 업계 리더들이 연달아 참가 신청을 완료함으로써 오토메이션 월드 개최 최초로 조기 신청 내 참가 신청 70% 마감이라는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해 냈다. 한편, 일반 신청 마감은 2012년 1월 31일까지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