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전기차에 들어가는 이차전지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테슬라가 연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기존에 내연기관차를 생산하던 완성차 업체들도 잇따라 전기차 사업에 뛰어들었다. 갖가지 전기차 모델이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지는 늘었지만, 내연기관차와 비교해 주행거리, 안전성 등 성능이 불안정해 보인다는 점은 여전히 소비자들에게 불안요소다. 상기한 전기차의 성능은 탑재되는 배터리와 직결되는 문제다.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끊임없이 배터리의 성능을 개선해야 하는 숙제를 떠안았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순위권을 다투고 있는 우리 기업들도 배터리 관련 R&D(연구·개발)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다. 본 지면에서는 국내 배터리 3사의 지난 1분기 R&D 진행 현황을 정리했다. LG에너지솔루션 국내 3사 중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앞서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스마트폰, 전동공구 등에 들어가는 소형 전지 분야와 전력망, 주택용 등에 사용되는 ESS 분야의 연구·개발을 통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규 사업영역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고용량/고안전성 소재, 전지 제조 공정 고도화 등과 같은 당사의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가 ASIL-D 레벨의 기능 안전과 혁신적인 저전력 기술로 지속적인 배터리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출시된 디바이스들은 전기차(EV) 시장은 물론 재사용 및 재활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다양한 배터리 종류(코발트 제로 리튬인산철(LFP) 포함)를 지원한다. 전 세계적인 친환경 흐름 속에 EV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EV 제품군을 확장하는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강조되는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또 1회 충전당 주행 거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전기차는 주행 중은 물론 주차 중일 때에도 차량의 전력 소비를 관리해야 한다. ADI는 자사 BMS 제품이 멀티 배터리 셀 구성을 지원하고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저전력 기능을 제공해 안전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주행거리를 극대화한다고 밝혔다. EV가 시장의 주류로 떠오르면서 BMS에 대한 요구 사항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기능 안전 ASIL-D 등급을 받았다는 것은 ADI의 새로운 B
[헬로티] 배터리 안전관리·결함조사 역량 강화…"친환경차 보급 확대"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고전압배터리의 제작 안전기준이 강화된다. 또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친환경차 안전관리가 강화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빅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추진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친환경차 보급확산을 위한 안전 기반 확립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등록된 전기·수소차는 9만5천1대로 2017년 말(2만5천278대)과 비교하면 약 3.8배로 늘었다. 또 전기·수소차 화재 발생 건수는 2017년 1건에서 2018년 2건, 2019년 9건, 지난해 10건으로 증가 추세다. 지난해 전기·수소차의 전체 차량 대수 대비 리콜(시정조치) 차량 비율은 62.2%로 전체 리콜 차량 비율(9.1%)보다 높고, 특히 전기·수소차 리콜 10건 중 4건은 배터리 관련 리콜로 나타났다. 배터리 안전성 시
[헬로티] 전압과 전류, 온도, 통신에 대한 높은 안전성 구현, 공간 및 비용 절감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이하 맥심)가 14 채널, 고전압, ASIL-D 등급 데이터 수집 시스템 ‘MAX17852’를 출시했다. ▲MAX17852 오토모티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설계자들은 전압과 전류, 온도, 통신에 대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공간 및 솔루션 비용도 절감하게 됐다. OEM 및 전기차 제조업체는 모든 배터리 시스템에 대해 ISO26262 국제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맥심은 종합적 진단 및 안전 중심의 아키텍처로 전압, 전류, 온도, 통신에 대한 가장 엄격한 ASIL-D 기준을 충족해 안전성을 높인 시스템을 설계하도록 MAX17852를 설계 및 생산했다. MAX17852는 전압, 전류, 온도 감지 등 기능을 통해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한 차량 내부에 탑재하도록 설계돼 스마트 정션박스, 48V 배터리 시스템과 400V 이상인 오토모티브 배터리 시스템에 적합하다. 이 IC는 긴밀한 시간동기화를 통해 전압, 전류, 온도 데이터를 가장 높은 정확성으로 제공하며, 실온에서 ±0.45mV의 일반 셀 전압 측
[헬로티] 자동차 기능 안전성 등급 중 가장 높은 수준인 ‘ASIL D’에 평가 의뢰해 99.999% 네트워크 가용성, 최대 300ms 속도로 네트워크 재시작 가능해 ▲차량 제조업체들은 무선 BMS 솔루션을 통해 설계 복잡성은 낮추면서 신뢰성을 높이고 차량 무게를 줄여 주행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출처 : TI 코리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이하 TI)가 TÜV SÜD(기술감독협회)가 인증하는 기능 안전 컨셉이 적용된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위한 무선 BMS 솔루션을 21일 발표했다. TI는 자사의 무선 BMS 솔루션이 첨단 무선 프로토콜에 우수한 네트워크 가용성을 결합함으로써 무겁고 유지보수가 비싼 케이블을 없애고, EV의 신뢰성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TI에 따르면 차량 제조업체들은 무선 BMS 솔루션을 통해 설계 복잡성은 낮추면서 신뢰성을 높이고 차량 무게를 줄여 주행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 ▲SimpleLink 2.4GHz CC2662R-Q1 무선 MCU 평가 모듈 ▲소프트웨어 ▲기능 안전 관련 자료(안전 매뉴얼, 고장 형태 영향 분석, 고장 형태·영향·진단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전기자동차(EV)의 신뢰성 및 안전성, 주행거리,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배터리 관리 기술을 발표했다. 전기자동차는 향후 10년 내에 기존 연소기관 차량과 동등한 가격대에 도달하고, 2038 년까지 판매량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T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자사의 기술 역량을 적극 활용해 첨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컨트롤러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안전성 향상을 위해 온도 모니터링 입력이 추가됐으며, 주행거리와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 업계 최상의 전압 정확도를 제공한다. L9963 컨트롤러는 ST BMS 프로그램의 최신 제품으로서, 이 프로그램은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개발하는 주요 조직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첨단 반도체를 구현해 왔다. 2008년 시작된 LG화학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비롯해 2017년 발표된 중국 R&D 연구소 IMECAS와 전기자동차 배터리 기술 회사 EPOCH와의 협력도 본 프로그램에 속한다. ST의 스마트 전력 솔루션 MACRO 부문 사업본부장 겸 ADG 부사장인 알베르토 포마(Alberto
[첨단 헬로티] TI(Texas Instruments)가 배터리 관리 및 트랙션 인버터 시스템용 레퍼런스 디자인과 첨단 모니터링 및 보호 기능을 통합한 새로운 아날로그 IC를 출시했다. TI는 이달 9일, TI 코리아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신제품 출시와 관련 시장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 칼 하인츠 스타인메츠(Kari-Heinz Steinmetz) TI 오토모티브 시스템 비즈니스 부문 이사 이 자리에 참석한 칼 하인츠 스타인메츠(Kari-Heinz Steinmetz) TI 오토모티브 시스템 비즈니스 부문 이사는 “세계는 점점 더 이산화탄소 저감을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기차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기초 수준의 전기화에서 전기주행 거리가 향상되고 나중에는 전적으로 전기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내연기관엔진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며 “자동차에서 그리드(Grid)에 이르기까지 시스템을 전기화함으로써 배출가스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어, "TI는 이러한 시장변화를 읽고 관련 시장의 요구를 반영해 새로운 배터리 괸리 시스템(BMS) 레퍼런스 디자인과 온도, 전류, 전압을 모니터링할 때
[첨단 헬로티] ESS와 EMS 통합한 통합 플랫폼 확산 정책을 개발하고 기업 간 협업을 통해 ESS의 확대보급을 위한 글로벌 사업화모델 발굴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업계의 수용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ESS의 에너지 전달시스템에 대한 영향성 분석을 통해 신뢰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전략이 필요하다. Ⅰ. 서언 2015년 말 파리기후협약(COP 21) 체결 이후 세계 각국은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대량방출의 주원인으로 지목되어온 석탄화력 발전소의 신규 건설 및 투자를 거의 중단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복합적인 대안으로 ESS(Energy Storage System : 에너지저장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는 효율적인 투자비용과 단시간의 구축기간에 유휴 전력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관리함으로써 전력부하 평준화, 전력계통 안정화 및 능동적인 전력 수급관리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ESS의 장점들로 인해 향후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되고 있는바 일본, 한국, 독일, 미국 등을 중심으로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다. ESS 시스템은 핵심기술인 CAES(Compre
[첨단 헬로티]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12채널 고전압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솔루션 ‘MAX17843’ 신제품을 발표했다. 자동차 업체는 MAX17843을 사용함으로써 안정성을 검증 받은 데이지 체인 통신 기술과 광범위한 진단 기술을 통해 높은 신뢰성과 낮은 비용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게 됐다. 전기차, 하이브리드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수백 또는 수천 개의 개별 배터리 셀로 구성된 대형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장착한다. 2025년에는 전세계 판매되는 자동차의 25%가 전기 구동 시스템을 장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1차 부품 업체는 최고의 신뢰성을 가진 통신 시스템과 동시에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지능형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 맥심은 MAX17843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스마트한 미래 BMS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 MAX17843은 ISO 26262, ASIL D(및 ASIL C), 독일 TUV 인증을 획득했으며, 이는 최고 수준의 안전 표준을 준수함을 증명한다. 또한 고객의 다양한 EMI/EMC 요구조건을 충족하도록 설계
[첨단 헬로티] 서창전기통신이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풀러스)에 참가해 첨두부하 및 주간 전기사용 시간대 전력량을 감축해주고 연중 최적 전기사용 관리로 전력 운영의 고효율화를 이끼는 서창전기통신의 전기저장장치(ESS)를 소개했다. 서창전기통신은 30여 년간 전력량계 분야에서 양질의 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한 업체로, 스마트그리드 등 전력 통합관리시스템사업으로 비즈니스 다각화를 꾀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한 ESS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소형화, 경량화, 고밀도화가 가능한 배터리와 표준화 모듈을 양산하는 전기 변환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은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지엑스포 및 그린빌드 총 5개의 명성 있는 에너지 분야 전시회들이 한자리에 모여 700개사 1,500부스 규모로 개최된다. Energy Plus 2017은 산업통상자원
루비는 7년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배터리 회사인 바르타 한국 지사를 인수하며 계속해서 배터리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공급하는 업체이다. ESS, BMS 관련 기술을 150여 개나 소유하고 있으며 모두 특허 출원이 완료된 기술이다. 최근에는 주로 BMS에 특화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전시를 통해 루비의 4세대 BMS를 소개했다. Q. 전시 중인 기술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저희가 4세대 BMS를 가지고 있거든요. 4세대 BMS는 기존 active와 passive BMS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호한 기술인데 기존에 셀 밸런싱보다는 CCCV 방식으로 셀 밸런싱을 해요. 그 기술을 일본에서 6년 전부터 선보였는데 일본에서 반응이 좋아요. 그래서 이번에 바이어도 그 기술을 가지고 일본 시장을 공략하자 그래서 4세대 BMS를 채용한 ESS를 출시하고 그것을 가지고 와서 전시하고 있습니다. ESS를 하는 데 가장 큰 문제가 바로 ‘셀 언밸런싱’이에요. 이를 없애야 배터리 수명도 길어지고 성능도 더 좋아지는데 기존의 ESS 방식은 밸런싱 잡기가 매우 힘든 단점이 있어요. 기존에는 높은 전압을 방전하는 방식인데 저희는 낮은 전압을 CCCV로 충
[헬로티] TI는 물품 배송, 감시 또는 장거리 통신 및 지원 등에 활용되고 있는 쿼드콥터와 소비자/산업용 드론의 비행 시간을 늘리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2개의 회로 기반의 서브시스템 레퍼런스 디자인을 출시한다. IHS 마킷(IHS Markit)의 데이터 전송 및 관리 서비스 부문 수석 분석가 스텔리오스 코타키스(Stelios Kotakis)는 “비행 시간은 드론의 최우선적인 설계 과제다. 취미용 쿼드콥터와 전문가용 드론뿐 아니라, 특히 눈에 보이는 가시선 밖의 운행을 위해 기업에서 사용되는 드론의 경우 비행시간은 더욱 중요하다. 택배 회사는 배터리 수명이 향상된 드론을 원하며, 드론이 얼마나 먼 거리를 비행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을 시험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IHS 마킷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시중에 나와 있는 드론의 약 50%는 배터리 수명이 30분 미만이며, 35%는 31~60분간 비행할 수 있고, 나머지 15% 이하만 1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추가 적재 없이 이상적인 비행 조건 기준). TI의 2S1P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레퍼런스 디자인은 드론의 배터리팩을
인천광역시는 버스정보관리시스템(BMS·BIS) 사업을 직영으로 전환하고, 2020년까지 ‘사물인터넷 기반 버스정보 3.0’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재정건전화를 위해 현재 인천교통공사가 대행하고 있는 버스정보관리시스템(BMS·BIS) 사업을 올해 7월 직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한 2020년까지 5년간을 대시민 교통 행복지수 상향 중점시기로 정하고,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버스정보 3.0’을 비전으로 4대 핵심전략과 8대 과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4대 핵심전략은 ▲기존예산 활용 극대화 실행으로 시 재정건전화 추진 ▲최첨단기술(IOT 등) 적용 및 빅 데이터 활용을 통한 시민 맞춤형 융·복합서비스 구현 ▲지역상생 프로젝트 시행 및 민·관 협력 파트너십 관계 형성 ▲교통편의 체감지수 상향을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 등이다. 시는 8대 추진과제를 통해 기존 공공요금을 활용해 버스통신망 고도화 및 LTE 기반 BMS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버스준공영제 투명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해 민간투자방식으로 교통카드단말과 BMS 단말을 통합 구축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