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3D 카메라 솔루션 전문 기업 ㈜딥인사이트(대표 오은송)가 휴대용 3D 공간 정보 스캐너 ‘디멘뷰 프로(DIMENVUE Pro)’로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CES 혁신상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에서 권위 있는 상으로, ㈜딥인사이트는 창립 4년 만에 국제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는 성과를 거뒀다. 디멘뷰 프로는 건축, 토목, 공학 및 건설 분야 전문가들을 위해 설계된 3D 공간 정보 스캐너로, 고사양 LiDAR와 고해상도 글로벌 셔터 방식의 RGB 센서를 결합해 고밀도 PCD(Point Cloud Data)를 효율적으로 생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AI 영상 처리를 적용해 불필요한 객체를 제거하고 최적화된 3D 도면을 제공한다. OLED 터치스크린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춰 사용자는 현장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딥인사이트 관계자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에서 혁신상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 기반 3D 카메라 솔루션의 고도화를 통해 기술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딥인사이트는 건축, 건설, 인테리어, 모빌리티,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
[첨단 헬로티] 인아텍이 1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세미콘코리아(Semicon Korea) 2019’에 참가한다. ‘세미콘코리아 2019는 국내외 반도체 재료 및 장비 업체들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의 전시회로, 올해 4만명 이상의 반도체 엔지니어와 업계 관계자들이 자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아텍이 ‘세미콘코리아 2019’에서 선보일 주력제품 인아텍은 반도체, Display, 공장자동화 장비를 제조해 국내외로 납품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스마트팩토리 수요에 발맞춰 로봇 솔루션 국내시장 공급 및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인아텍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스마트 자율주행 로봇 MiR, 비전이 내장된 세계 최초의 협동로봇 TM Robot, 팔레트 운송 로봇 Nipper 등을 소개한다. 우선, MiR은 레이저 스캐너 및 3D 카메라를 통해, 주변 경로 및 상황을 파악해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로봇이다. 최대 500kg 중량물 및 팔레트를 이송할 수 있으며, 시간 당 7.2km 운행이 가능하다. 인아텍에서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더해 상위 통신까지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TM Rob
[첨단 헬로티] 머신비전 분야 세계적인 선도기업인 코그넥스가 빠른 속도로 정밀한 3D 측정 및 검사가 가능한 고성능 3D 카메라인 ‘코그넥스 3D-A5000’을 출시했다. ▲ 코그넥스 3D-A5000 코그넥스의 3D-A5000은 특허출원 중인 3D LightBurst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3D 스캐너보다 빠른 속도로 3D 이미지 스캔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대상 물체에 고유한 청색광 패턴을 비추며 0.1초의 짧은 시간 동안 150만개 이상의 3D 포인트 클라우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시간이 중요한 인라인 애플리케이션 등의 영역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D-A5000와 같이 제공되는 비전프로(VisionPro) 소프트웨어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인 코그넥스 디자이너(Designer)는 사용자가 손쉽게 3D 애플리케이션을 구성 및 적용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다양한 3D 툴 세트를 통해 조립 검증부터 인라인 계측, 로봇 가이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3D-A5000은 IP65등급의 하우징을 갖추고 있어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산업환경을 고려한 견고한 디자인
[첨단 헬로티] 인더스트리 4.0 및 전산업 자동화로 인해 3D 기술 증가 3차원은 이미지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D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3 차원이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에 가치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기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 2D 카메라 기술 에어리어 스캔 및 라인 스캔 카메라는 2D 카메라 기술로 제공된다.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는 단일 이미지로 분석할 장면을 캡처하는 반면, 라인 스캔 카메라는 이미지가 라인 단위로 기록되는 스캔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선택된 카메라 모델에 따라 장면은 RGB 값에서 i.e, 단색 또는 컬러 이미지로 표현된다. 1.1 응용 분야 2D 이미지 처리는 응용 프로그램이 높은 대비를 제공하거나 객체의 구조와 색상이 최종 결과에 결정적인 경우에 적합하다. 현재 2D는 이미지 처리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2D 카메라용 응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위치 확인, 감지, 측정 및 읽기와 같은 이미지 처리의 모든 영역에서 찾을 수 있다. 2D 카메라의 일반적인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한국 대표 이승수)가 개발한 REAL3 이미지 센서 칩이 에이수스(ASUS) 증강현실 스마트폰에 채택됐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가전전시회(CES)에 선보인 에이수스 젠폰(Zenfone) AR 스마트폰은 얇은 두께에 3D ToF(time-of-flight) 카메라를 탑재하여 주변을 실시간으로 3차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내부에 탑재된 REAL3 이미지 센서 칩은 스마트폰용 소형 3D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핵심 부품이다. ToF(time-of-flight) 원리를 사용해 적외선 신호가 카메라에서 물체까지 갔다가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다른 3D 센싱 기술과 비교해 ToF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모바일 기기 성능, 크기, 전력 소모 면에서 이점을 제공한다고 인피니언 측은 강조했다. REAL3 카메라 모듈은 높이가 5.9mm여서 작은 스마트폰 폼팩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전력 소모량도 적다. 동작 시에 150mW 미만을 필요로 하므로 젠폰AR에 탑재된 3,300mAh 배터리로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 젠폰 AR 스마트폰은 올해 하반기 출시될 예정이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3D 이미징 부문 마틴 갓쉴리치(Mar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