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국내 완성차 업체 5개사의 지난해 판매실적이 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완성차 업계에 직격탄을 날렸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2020년 실적이 워낙 부진했던 탓에 기저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된다. 3일 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삼성차·쌍용차 등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실적을 취합한 결과 이들 업체는 작년 한 해 국내 143만3605대, 해외(반조립제품 포함) 599만6860대 등 총 743만465대를 판매했다. 이는 2020년 판매실적 728만4633대(내수 160만7035대, 해외 567만7598대)보다 2.0% 늘어난 수치다. 전 세계 판매실적은 현대차(3.9%)와 기아(6.5%), 르노삼성차(14.3%) 등 3개사가 전년 대비 증가했고, 한국GM(-23.2%)과 쌍용차(-21.3%)는 전년과 비교해 줄었다. 내수 판매 실적에서는 현대차 -7.7%, 기아 -3.1%, 한국GM -34.6%, 르노삼성차 -36.3%, 쌍용차 -35.9% 등으로 5개사 모두 후진했다. 수출의 경우 르노삼성차가 254.3% 증가한 것을 비롯해 쌍용차 44.1%, 기아 9.1%, 현대차 7.0% 등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상반기 호조세를 보이던 수입 전기차 판매량이 하반기 들어 20% 이상 줄었다. 재고 소진과 신차 출시 대기가 원인이다. 와중에 국산 전기차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했다.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과 기아 ‘EV6’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테슬라를 제외한 수입 전기차는 지난 7월 한 달 동안 494대가 팔렸다. 전년 동월 대비 22.8% 줄어든 수치다.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64.3% 증가한 1만1629대를 판매한 테슬라도 재고물량 부족으로 7월 한 달 22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반면 국내 업체의 전기차 판매량은 상승곡선을 이어갔다. 현대자동차그룹의 경우, 7월 판매량이 6607대(현대차 4889대+기아 1718대)로 전년 동월 대비 227.6% 급증했다. 1~7월 누적 판매량도 3만1153대(현대차 2만572대+기아 1만581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9.0% 증가했다. 현대차그룹은 상반기의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 제네시스의 ‘G80 전동화 모델’과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 모델 ‘EV6’를 출시했다. 제네시스는 지난 7월 첫 번째 전기차 ‘G80 전동화 모델’을 출시했다. 제네시스의 첫 번째 대형 전동화 세단이다. 사륜 구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국지엠(GM) 사측이 쟁의권 확보에 나선 노조의 압박에도 내년 이후 인천 부평2공장에 추가로 생산 물량을 배정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부평2공장의 근로자를 창원으로 '전환배치'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라는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노조원들은 구조조정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다. 16일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 등에 따르면, 한국GM 사측은 최근까지 11차례 임금협상 단체교섭을 진행하면서 부평2공장에 생산 물량을 추가로 배정해달라는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앞서 노조는 생산 일정이 내년 7월까지로만 돼 있어 구조조정 우려가 제기된 부평2공장에 내년 4분기부터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를 투입하는 것을 약속해달라고 한국GM 사측에 요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앞선 11차 교섭에서 회사 제시안을 통해 지난해 임단협 합의 내용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만 했다. 지난해 한국GM 사측은 부평2공장에 신차 생산 물량을 배정해달라고 노조가 요구하자 '시장의 수요를 고려해 최대한 부평2공장에서 현재 생산하고 있는 차종의 생산 일정을 연장한다'고만 밝힌 바 있다. 한국GM 노조가 쟁의행위 찬반투표에 이어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하는 등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국GM에 시트와 섀시 등을 납품하는 협력업체 A사는 최근 노조의 부분파업이 일주일째 계속되면서 부품 생산에 차질을 겪고 있다.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이하 임단협)에서 특근 수당을 200%까지 지급해 달라는 노조의 요구안을 사측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하자 파업에 들어간 것이다. A사는 한국GM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의 영향으로 지난 2월부터 감산에 들어가면서 납품 물량이 줄어 지난달 약 3주 가량 공장 문을 닫았다. 그러나 공장을 재가동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노조의 부분파업으로 다시 생산 차질을 빚게 된 것이다. A사는 작년보다 생산량이 절반 가까이 감소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적자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처럼 차량용 반도체 부족 현상으로 경영난이 악화된 부품업체들이 최근 본격적으로 시작된 임단협에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에 부품을 납품하는 자동차 협력업체들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의 영향으로 올해 1∼5월 매출이 40%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지난달에는 한국GM이 일주일에 8시간만 공장을 가동하면서 협력업체의 매출이 60%까지 감소했다. 부품업계에서는 반도체 부족 현상으로 이미 경영난
[헬로티] 국내 완성차 5개사가 지난달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해 공장 가동을 잇달아 중단하는 등 생산 차질을 빚으며 내수 판매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 감소했다. 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기저 효과 등으로 해외 판매가 크게 증가하며 전체적으로는 작년보다 판매가 늘었다. 지난 1일 완성차 5개사의 5월 판매 실적을 취합한 결과 5개사의 국내외 판매는 62만8835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6% 증가했다. 현대차와 기아, 쌍용차의 판매량은 늘었지만, 한국GM과 르노삼성차는 마이너스 성적표를 받았다. 지난달 국내 판매는 12만4145대로 작년 동월 대비 15.0% 감소했다. 내수는 5개사 모두 마이너스였다. 당초 우려했던 '5월 보릿고개'가 현실화하며 현대차와 기아가 아산공장과 울산 5공장 2라인 등 일부 공장의 가동을 2∼3일씩 중단했고, 한국GM이 50% 감산에 들어가며 생산 차질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해외 판매(반조립제품 포함)는 총 50만4690대로 작년 동기 대비 62.3% 증가했다. 작년 코로나19로 판매 부진을 겪은 데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한국GM만 5개사
[헬로티] 한국GM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결국 다음주 부평1공장과 부평2공장의 생산을 중단한다. ▲출처 : 한국GM 한국GM은 차량용 반도체 칩 부족으로 19일부터 일주일간 인천 부평 공장 2곳의 생산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이후 운영 계획은 다음주 중 확정할 예정이다. 한국GM은 국내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먼저 반도체 수급난으로 생산 차질을 겪으며 지난 2월 8일부터 부평2공장의 가동률을 50%로 유지해왔다. 부평1공장과 창원공장은 정상 가동 중이었다. 부평1공장은 트레일블레이저를, 부평2공장은 쉐보레 말리부와 트랙스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GM은 "협력업체의 반도체 수급 해결책을 찾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긴밀히 협업 중"이라며, "이후 부평 공장의 생산 손실을 최대한 회복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