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안랩이 23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열린 금융정보보호 콘퍼런스 ‘FISCON 2021’에 참가해 금융권 IT 담당자 및 산학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자사의 다양한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을 소개했다고 24일 밝혔다. 금융정보보호 콘퍼런스 ‘FISCON 2021’은 금융보안원, 금융정보보호협의회, 금융보안포럼이 공동 주최하고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가 후원하는 국내 최대 금융보안 전문 콘퍼런스다. ‘디지털 플랫폼 시대, 금융보안의 도전 과제와 미래 전략’이란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금융보안 위협 및 정책·기술·대응과 관련한 20여 개의 강연과 16개 부스가 참여한 ‘정보보호 제품 전시회’로 구성됐다. 안랩은 행사장 내 전용 부스를 설치하고 △차세대 방화벽 ‘안랩 트러스가드’ △차세대 네트워크 침입 방지 솔루션 ‘안랩 AIPS’ △디도스 대응 전용 솔루션 ’안랩 DPX’ △네트워크 통합위협관리 솔루션 ’안랩 TMS’ 등을 전시했다. 또한 안랩은 금융권 IT 담당자, 금융당국 관계자, 산학연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직접 보안 솔루션을 시연하고 상담을 진행했다. 안랩 이상국 마케팅 본부장은 “금융 산업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이하 ‘협회’)는 기업과 개인의 정보보호 인식 및 침해사고 예방·대응 활동 등에 대한 ‘2019년 정보보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정보보호 실태조사는 기업부문 종사자수 1인 이상 사업체 9,050개사, 개인 부문 만 12~69세 인터넷 이용자 4,5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 정보보호 예산 보유율과 예산 비중 우선 기업들의 정보보호 기반 및 환경을 조사한 결과, 정보보호 중요성 인식은 87.0%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정보보호 정책수립(23.1%, 7.1%p↑), 정보보호 조직운영(12.3%, 6.8%p↑) 및 교육실시(29.4%, 1.4%p↑) 등 정보보호를 위한 노력이 전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보호 예산편성 관련해서 기업의 32.3%가 정보보호 예산을 편성했으며,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정보보호 예산 보유율이 높았다. 아울러 정보통신 예산 중 정보보호(또는 개인정보보호) 예산을 1% 미만으로 편성한 기업은 감소(20.2%, 5.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