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NSAI 주식회사(이하 TNSAI)는 오는 10월 22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KES 2024(한국전자전)’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55회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전자 부품, AX, 로보틱스, 모빌리티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550개 기업, 1400개 부스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다. TNSAI는 이번 박람회에서 다품종 소량 생산 제품의 외관 불량 검사를 위해 자체 개발한 On-Device AI 기반 자동화 검사 장비를 선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 첫 선을 보이는 ‘SWP-2000EX’는 실시간 비정형 불량 검사가 가능하여, 검사 속도와 정확도를 극대화함으로써 기존의 육안 검사를 100% 대체할 수 있는 장비로 주목받고 있다. 해당 장비는 전 세계 최초로 ‘Swing Robot’을 탑재해, 빛의 난반사로 인해 검사가 어려웠던 입체형 금속 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부터 반도체, PCB, 2차 전지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 불량을 AI 딥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 ‘EZDAVA’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TNSAI는 제조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검사 장비를 찾는 고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또한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되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 전시회 'CES 2022' 현장에 국내 혁신 중소기업 78곳이 참여하는 통합한국관이 마련됐다. 코트라는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남테크노파크 등 관계기관과 함께 통합한국관을 구성해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코트라는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참가하는 CES 통합한국관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참가 준비 단계부터 사후까지 전 과정을 지원한다. 코트라는 행사에 앞서 사전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해 지난해 10월 한국전자전(KES 2021) 행사 때 'CES 2022 유레카 통합한국관 프리뷰 쇼케이스'를 운영하면서 우수기술 보유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CES 참가 안내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전시회 출품 준비 등의 교육을 받은 CES 참가기업 8곳은 'CES 혁신상'을 받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수소 에너지 솔루션 전문기업인 A사는 CES에서 미국 기업 B사와 고객 서비스를 비롯해 기술 지원부터 사후 관리까지 함께하는 기술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를 계기로 A사는 미국 내 수소 인프라 사업 확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코트
헬로티 김진희 기자 | KOTRA는 한국전자전 2021(KES 2021)에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S)와 공동으로 운영한 ‘CES 2022 유레카 통합한국관 프리뷰 쇼케이스(Preview Showcase)’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달 26일부터 29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에는 CES 2022 유레카 통합한국관 참가기업 중 14개사가 참가했다. 품목별로는 △5G 5개사 △ 스마트홈 5개사 △증강현실/게임 3개사 △전기바이크 1개사가 참가해 미래기술을 선보였다. 참관객들의 관심을 끈 주요 제품으로는 △온라인으로 제품 구매 전 가상으로 착용해 볼 수 있는 스타일 AR △거울 속의 트레이너와 함께 운동하며 자세를 교정받는 스마트 미러 △스마트폰으로 홀로그램과 같은 공간 입체영상을 보는 모바일 공간 영상 저장 장치 △손에 착용하는 간편하고 안전한 웨어러블 바코드 스캐너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모바일 공간 영상 저장장치를 출품한 M사는 국내 산업계 관계자들과 활발한 상담을 통해 약 5500만원 규모의 계약이 예상되는 등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 CES 2022 유레카관은 혁신제품, 신기술제품 중심의 전시관으로 바이어들은 전시품의 완성도보다
[첨단 헬로티] “‘DATA의 시대, 그 중심에는 메모리 반도체가 있습니다.” 이달 8일부터 11일까지 개최된 반도체대전(SEDEX) 2019의 SK하이닉스 부스 앞에 놓인 'Memory Centric World'에 적힌 일부 문구이다. 이 말처럼 SK하이닉스는 이번 전시회에 데이터 시대를 위한 다양한 메모리 반도체를 선보였다. 특히 SK하이닉스가 업계 최고속 ‘HBM2E’ D램 개발하는데 성공한 ‘HBM2E’ D램을 직접 볼 수 있었다. HBM(High Bandwidth Memory)은 고대역폭 메모리로 TSV 기술을 활용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제품을 말한다. TSV(Through Silicon Via)는 D램 칩(Chip)에 수천 개의 미세한 구멍을 뚫어 상층과 하층 칩의 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전극으로 연결하는 상호연결 기술을 말한다. 버퍼 칩 위에 여러 개의 D램 칩을 적층 한 뒤 전체 층을 관통하는 기둥형태의 이동 경로를 구성해 데이터, 명령어, 전류를 전달하게 된다. HBM2E는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첨단 헬로티] 한국전자전 2019이 열리고 있는 코엑스 전시장 A홀에 들어서면 ‘KES Innovation Awards관'이 눈에 띤다. KES Innovation Awards관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이 50주년을 맞은 한국전자전(KES) 2019 출품 제품 중에서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하고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제품, 16점(14개사)을 선정해 전시한 것이다. 올해 8회째를 맞는 KES 어워드는 Best New Product(신제품), Best Design(디자인), Best Content(콘텐츠) 3개 부문으로 나눠 부문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를 거쳐 수상작을 선정했다고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전했다. 이번 수상 중 대기업에서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폴드 5G와 비스포크 냉장고, LG전자의 시그니처 올레드R(롤러블TV), 시그니처 에어컨이 선정됐다. ▲ LG전자의 시그니처 올레드R(롤러블TV), 시그니처 에어컨 ▲ 삼성전자의 갤럭시 폴드 5G 중소기업에서는 자율주행 시뮬레이터, 클라우드 통합 스토리지, 차량용 고정형 라이다(LiDAR), 증강&홀로그램 스마트 글라스, 스마트팜기기, 복합센서 등 다양한 분
[첨단 헬로티]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는 전자산업 60주년을 기념해 개최되는 한국전자전(KES 2019)에 ‘자동차 융합관’을 구성하고, 유망기업 기술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1959년 진공관 라디오가 처음 생산된 이후 60년 동안 우리 전자기술은 세계 최고수준에 도달했으며 산업계는 新성장동력으로 미래자동차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자동차융합관은 시장의 흐름을 읽는 중소기업들의 핵심기술과 제품을 경험할 수 있는 전시가 진행되고 있다. 전기차에는 파워트레인 및 변속기 전문 기업인 디아이씨를 모기업으로 하는 1톤 전기상용차(제인모터스), 초소형 전기차(대창모터스), 자율주행 및 원격조정 특수목적 전기차(에스제이테크) 등이 전시됐다. 자율주행 분야에는 자율주행 솔루션(오토노머스에이투지), 여객/운송/배달 등의 플랫폼 (스프링클라우드), 정밀지도 데이터추출 기술(모빌테크), 비전기반 ADAS기술과 차량 제어 임베디드시스템(와이즈오토모티브) 등이 전시됐다. 교육 및 평가/인증 분야에는 RC모형 자동차 자율주행 교육용 플랫폼인 AI AutoCAR(한컴MDS), 기능안전 등 글로벌 인증평가(DNV-GL)을 전시했다. KEA
[첨단 헬로티] ▲ 이미지는 기사와 무관합니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KATS)과 한국표준협회(KSA) 후원으로『국제표준 참여확대 전략 세미나』가 이달 10일 오전, 코엑스에서 국제표준 관심기업 및 관계자 60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국제표준에서 산업계 역할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활발한 국제표준화 활동을 하고 있는 국내기업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하여 산업계의 국제표준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서울병원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섰고, 삼성전자, 솔, 헬스올 등 국내 우수 대·중소기업이 표준활동 사례를 발표했다. '국제표준화 트랜드 및 한국기업 대응방향'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 삼성디스플레이의 정종호 수석은 “한국의 디스플레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국제표준화 활동을 활발하게 수행하였고, 새로운 폼팩터(Form Factor)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타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기준의 표준화를 우리나라가 선점할 수 있는 민간 표준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
[첨단 헬로티] VR·AR 산업전망 세미나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주관으로 이달 10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300호에서 개최됐다. VR·AR 산업의 새로운 확정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5G, 국산훈련, 에너지 산업 분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VR·AR과 보다 시장 확대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 등에 대해 전문가 발표가 이어졌다. 최광순 전자부품연구원(KETI) 팀장은 ‘가상증강현실 디바이스 기술’이라는 제목으로 “AR/VR 글로벌 시장은 2022년까지 1,059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시장조사기관은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AR 분야는 VR시장의 6배 이상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며 말했다. 이어, “VR 디바이스는 이동성 제약과 휴먼팩터 해결을 통해 체험/전시영역에 집중돼 있는 B2C 시장에서 산업영역 등의 B2B 시장으로 확대가 필요하다.”며 경쟁이 심화돼 레드오션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현재의 시청각 자극에서 오감 자극 기로로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AR 디바이스만으로는 시장 확산이 어렵다.”며 “
▲세계 최초 디지털 데스크탑 3D 복사기 '바큐폼' [첨단 헬로티] 세계 최초 산업용 진공성형기를 디지털 데스크탑화해 3D복사기를 개발한 미국 기업 '바큐폼'이 국내 상륙했다. 바큐폼은 3D복사기로써 진공 열성형 원리를 활용해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물부터 손으로 제작하거나 CNC 가공, 3D프린팅된 사물 등 형태가 있는 것을 복제가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장비다. 그동안 바큐폼은 전 세계 프리오더 기간 500여 대를 성공적으로 납품 완료했으며, 오는 27일까지 열리는 '2018 한국전자전'을 시작으로 국내에 정식 출시하고, 국내 총판은 ㈜에이치디씨가 맡을 예정이다. 에이치디씨 서찬경 대표는 "3D복사기가 제조업, 포장업, 요식업, 1인 창업, 몰드제작 교육 등 모든 산업 분야에 접목이 가능하다"라며, "한국전자전을 시작으로 국내 3D복사기가 필요한 현장에 안정적으로 보급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전했다. 바큐폼 John Truman Tan CEO는 "바큐폼은 어려웠던 3D모델링, 3D프린터, CNC 가공기 등이 없어도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3D복사가 가능하게 하여 전 산업에 새로운 지각변동을 가져올 것"이라며, "3D 프린터가 몇 년 전 붐을 일으켰던
[첨단 헬로티] 내쇼날 인스트루먼트의 자회사인 디질런트(Digilent)와 한국의 공인 대리점인 이니프로(Inipro)는 오는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되는 '한국 전자전(KES) 2018'에 참가해 최신 임베디드 툴 및 테스트 계측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디질런트 부스는 # E552다. 양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디질런트 징크(Zynq) Soc 플랫폼에 기반한 임베디드 비전을 시연한다. 이 솔루션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자일링스 FPGA를 통해 Python 또는 OpenCV 기반의 컴퓨터 비전 디자인을 가속화할 수 있어 유용하다. ▲Digilent Zynq Soc 플랫폼에 기반한 임베디드 비전 디질런트와 이니프로는 추가적으로 다음 제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Pmod HAT adapter 이 제품은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와 Pmod HAT Adapter와 Pmods 중 하나를 결합해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춘 강력하고 다양한 프로토 타이핑 플랫폼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아날로그 디스커버리2(Analog Discovery 2) 디질런트 아날로그 디스커버리2는 사용자가 모든 종류의 혼합 신호 회로를 측정, 시각화, 생성, 기록 및 제어 할 수 있는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2017년 한국전자전에 혁신 기술이 가져올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콘셉트로 자사 전략 제품을 대거 전시했다. 주요 전시 제품은 갤럭시노트8, QLED TV, THE FRAME, 패밀리허브, 파워건, 데스크탑&노트북 Odyssey, 게이밍 모니터, HARMAN 오디오 제품 등이다. 삼성전자는 방문객들과의 인터랙션을 통한 제품 체험 강화에 중점을 둬 혁신 제품들이 개인의 생활에 어떤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려주고자 했다. 갤럭시노트8의 경우, S-Pen, Dual Camera, Bixby Voice 등의 기능을 체험해 볼 수 있다. 특히 S-Pen으로 나만의 컨텐츠 만들기도 가능하다. QLED TV의 경우, 생생한 화질을 완성하는 100% 컬러볼륨, 낮과 밤 어떠한 환경에서도 선명한 화질 체험, 투명광케이블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다. 더 프레임은 다양한 미술작품 감상을 통한 거실 안의 갤러리를 체험할 수 있으며, 패밀리허브는 음성 인식 및 쇼핑 기능을 체험하고 푸드매니지먼트, 패밀리 커뮤니케이션, 주방 내 엔터테인먼트 등을 경험할 수 있다. 파워건은 50도까지 움직이는 플렉스핸들과 강력한 흡입력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액세
[첨단 헬로티] 엑스페리 코리아가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한국전자전 2017’ 행사에 참가해 모바일, 스마트 가전, 자동차 전장 솔루션을 위한 DTS와 Fotonation(포토네이션)의 주요 기술을 시연한다. 엑스페리 코리아는 한국전자전 행사장 내 마련된 부스(C170)에서 DTS와 포토네이션 체험존을 구성하고, 모바일 음향 기술, 가상현실 및 자율주행시대를 위한 자동차 전장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모바일과 전장 분야로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엑스페리는 특히 이번 KES에서 홍채, 신체, 얼굴인식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포토네이션의 DMS(드라이버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을 최초로 선보일 예정이다. DTS 체험존에서는 ▲LG전자 최신 노트북 그램 시리즈에 적용된 DTS 입체음향기술인 헤드폰:X (DTS Headphone:X™), ▲고품질 스트리밍 플랫폼인 'DTS 플레이파이 (DTS Play-Fi™)', ▲자동차용 DTS 커넥티드 라디오 (DTS Connected Radio™) 기술이 시연된다. 또한 포토네이션 존에서는 ▲얼굴/
[첨단 헬로티] 지금까지 품질 검사는 머신비전을 위한 가장 큰 시장이었다. 그러나 Industry 4.0 시대에는 머신비전에 대한 새로운 잠재력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다른 많은 프로세스 및 작업을 가능하게하는 기술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와 가상 세계 사이의 중요한 연결 고리가 바로 머신비전이다. 머신비전은 더 많이 임베디드되고 있으며, 부품들은 더욱 지능화되고 네트워크화되고 있다. 통합PLC와 비전센서가 통합되고 있다. 즉, 머신비전이 컨트롤과 하나가 되고 있다. 이렇게 머신비전 기술은 산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머신비전의 최근 트렌드와 기술동향, 그리고 적용사례 등의 정보를 폭넓게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와 (주)첨단이 오는 10월 1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머신비전 컨퍼런스 2017(https://goo.gl/pAkpBn)'을 개최한다. 한국전자전(KES 2017), 반도체대전(SEDEX),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imid 2017)과 동시에 개최되는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AI, 딥러닝 등과 머신비전의 융합, 그리고 3D 측정 솔루션, 임베디드 비전 시스템 등 최근 비전시스
[헬로티] 전자 커넥터 전문기업 한국몰렉스의 LED용 COB 홀더가 제 5회 KES(한국전자전) 이노베이션 어워즈에서 “베스트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 제5회 KES 이노베이션 어워즈는 지난 26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한국전자전의 개막 행사로서 “베스트 신제품”, “베스트 디자인” 및 “베스트 컨텐츠” 의 항목에서 우수한 제품을 선정해 수상했다. 이 수상에 선정된 몰렉스의 단일 몰드형 LED 홀더는 삼성의 LED 칩을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LED 칩을 하나의 홀더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투 피스 형 홀더보다 조립이 간편하며 자재 관리를 쉽게 한다. 또한, 편리한 푸쉬 버튼 타입으로 버튼을 눌러서 편리하게 전선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는 삽입력을 낮춰줄 뿐 아니라 고 신뢰도의 접촉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공정상의 비용을 감소해주는 동시에 생산성도 향상시킨다는 게 업체설명이다. 한국몰렉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전선 대 전선 커넥터, 전선 대 기판 커넥터, 소켓류, I/O 커넥터, 자동차용 커넥터 등 다양한 제품군별 커넥터 솔루션을 선보이는 동시에, 고객
▲ 초고속 근접통신 징(Zing)기술 [사진=ETRI] [헬로티]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26일부터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6 한국전자전(KES)’에 참가해 최신 ICT 기술 및 기술이전을 위한 상용제품을 전시 중이라고 밝혔다. ETRI는 한국전자전에서 ▲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최적의 화질을 제공하는 저전력 환경 적응형 LASA디스플레이 기술 ▲ 언제 어디서나 개인의 PC환경을 그대로 구현이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가상 데스크탑 기술 ▲ 초고속 근접통신 징(Zing)기술 ▲ 스마트 그린 운영체제(OS) 및 가상화 기술 ▲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계층 분석 SW ▲ 스마트 서비스 자동 제어 SW ▲ 항공·철도용 안전 SW 플랫폼 기술 등 최신 ICT융합기술 7종을 일반에 선보였다. 또한, ETRI가 지원하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기업’의 상용제품 5개도 함께 전시됐다. 전시되는 제품은 ▲ 기존 제품보다 10배 이상 많은 정보 전송이 가능한 ‘광 송수신기’ ▲ 물류자동화를 위한 고속 바코드 & 문자 판독 스캐너인 ‘지스캔’ ▲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