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호주에 설치된 테슬라의 대형 전기에너지 저장 장치 '메가팩' 배터리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소방 당국이 불을 끄는 데 꼬박 나흘이 걸렸다. 호주 빅토리아주 소방당국은 2일(현지시간) 테슬라 메가팩 배터리 화재 진화에 가까스로 성공했다고 미국 경제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 등이 보도했다. 화재는 지난달 30일 메가팩 배터리 시험 도중 발생했고 당국은 소방관 150명과 소방차 30대를 동원해 나흘에 걸쳐 진화 작업을 벌였다. 소방당국은 "13t 규모의 (메가팩) 리튬 배터리가 완전히 불길에 휩싸였고 배터리 1개에서 시작된 불길이 다른 하나로 번졌다"며,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국은 메가팩 배터리에서 불씨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에 대비해 소방관과 소방차를 24시간 동안 현장에 배치해두기로 했다. 메가팩은 테슬라 자회사 테슬라 에너지가 생산하는 대용량 배터리로,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 터빈에서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화재 발생 현장은 호주 빅토리아주의 전기에너지 저장시설로, 프랑스의 신재생에너지 기업 네오엔이 테슬라의 300㎿(메가와트) 용량 메가팩 배터리 210개를 사용해 이
[첨단 헬로티] 트리나 솔라(Trina Solar)는 지난해 전 세계에 출하한 PV 모듈이 10GW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PV InfoLink가 발표한 2019년 모듈 출하량 순위에서 Trina Solar는 상위 3위권에 들으면서, 해당 부문에서 세계 1위를 유지했다. ▲ Trina Solar가 지난해 전 세계에 출하한 PV 모듈이 10GW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사진 : Trina Solar) 2019년 Trina Solar는 다중 모선, 이중유리, 양면 및 기타 첨단 모듈 기술을 지속해서 홍보하는 한편, N형 단결정과 N형 Cast-Mono i-TOPCon 태양광 전지의 변환 효율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기술 이점 측면에서 PV 산업을 주도했다. 8월에는 업계 경향에 맞춰 210mm 실리콘 웨이퍼(210 모듈)를 설치하는 모듈 개발에 착수했다. Trina Solar는 수십 년 동안 구축한 연구개발(R&D)과 제조 경험을 바탕으로 대형 모듈을 위한 독특한 스리 피스 및 다중 모선 디자인을 도입했다. 2020년 초 Trina Solar 생산 라인에서 첫 번째 210 모듈 시제품이 생산됐는데, 이 제품은 대형 모듈의 출시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전망이다.
▲ KRISS 기술을 기반으로 상용화한 ‘대형 유리기판 두께 및 굴절률 측정 센서’ [첨단 헬로티] 대형 유리기판 두께 및 굴절률 측정 센서 개발 국내에서 판매되는 TV 화면이 7년 사이에 평균 10인치나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TV 화면이 커질수록 제조 공정은 수많은 변수를 낳고, 낮은 불량률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매 공정마다 엄격하고 정교한 검사가 중요해지는 이유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상열)은 대형 유리기판의 두께 불량을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측정기술을 개발하여 상용화에 성공했다. KRISS 광학표준센터 진종한 책임연구원팀은 강한 진동 환경에서도 실시간으로 대형 유리기판의 두께와 굴절률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 초대형 TV의 제작이 가능해지고 소비자들이 대형 화면을 선호하게 되면서 LCD(액정표시장치)의 핵심 부품인 유리기판 시장이 부상하고 있다. 수 미터 크기의 유리기판을 불량 없이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모든 면적이 균일한 두께로 생산되어야 한다. 단 한 곳의 유리기판 두께 차이로 발생한 미세한 굴곡은 픽셀의 불량을 유발하고, 곧바로 화면의 왜곡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공정
[첨단 헬로티]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강남훈)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와 함께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되는 ‘2018년 세계미래에너지정상회의(WFES 2018)’에서 한국 전시관 및 비즈니스 상담회를 운영한다. 세계미래에너지정상회의(WFES)는 아부다비 국영 청정에너지 기업인 마스다르(Masdar)사가 주관하며, 올해로 11회를 맞은 중동 최대의 신재생·에너지효율·청정에너지 종합 포럼·전시회다. 이달 15일(월)부터 18일(목)까지 아부다비 국립전시장에서 개최되는 WFES 2018에서 우리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및 원자력 관련 14개 국내 기업이 참여하는 한국관을 운영한다. 특히, 한국에너지공단은 인테그라글로벌, 아이솔라에너지 등 6개 기업과 함께 12부스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시관을 선보인다. 신재생에너지 전시관에서는 인테그라글로벌의 ‘태양광패널 자동 클리닝 시스템’, 아이솔라에너지와 썬스틸에너지의 ‘솔라루프’, 리파워텍의 ‘배터리 복원기 및 방전기’, GU주식회사의 ‘소형 풍력 터빈’과 인텍에프에이의 &lsquo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프로덕트 코리아(대표 김현식)가 태양광 패널의 에너지 효율을 30% 높여주고, 설계가 간편한 ‘솔라 셀 옵티마이저(Cell-String Optimizer)’를 최근 발표했다. 맥심 솔라 셀 옵티마이저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최대전력점추적) 기능을 수행하는 최초의 통합 전력 집적회로(IC)다. 맥심의 뛰어난 전력 반도체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고집적 DC-DC(직류-직류) 컨버터로 대체하고, 태양광 모듈의 MPPT를 수행한다. 업계 최초로 태양광 모듈에 내장돼 개별 다이오드를 MPPT 기기로 대체함으로써 패널간 미스매칭에 대한 문제점을 없앤다. 완전히 통합된 솔루션으로 특수 인버터, 데이터 서비스 없이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맥심 솔라 셀 옵티마이저는 다양한 스트링 구조에 맞게 높은 설계 유연성을 제공한다. 패널의 솔라 셀 스트링은 각각의 전력 생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최대 전력 생산을 지원한다. 패널의 부분적 음영까지 동급 최고 수준으로 보상한다. 이 같은 높은 유연성을 바탕으로 에너지 생산을 늘려주고, 모듈 부조화, 훼손(soiling),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