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네이버가 세계적인 수준의 자체 음성 기술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단계 진화한 음성인식 엔진 ‘NEST’(Neural End-to-end Speech Transcriber)를 공개했다. ‘NEST’는 제한된 데이터 학습만으로도, 복잡하고 다양한 장문의 음성 표현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이다. 대량의 정제된 데이터를 사전에 학습하지 않고도, 예상치 못한 표현에 대해 정확한 음성인식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음향 정보와 언어 정보를 별도로 학습하는 기존의 모델링 방식을 통합 모델링 방식(end-to-end)으로 개선해,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과 시간은 기존의 1/10 수준으로 단축시키면서도, 인식의 정확도는 오히려 높였다. 네이버의 새로운 음성인식 기술은 AI가 전화로 코로나19의 능동감시자를 확인하는 ‘클로바 케어콜’ 서비스에 적용되어 있으며, 지난 1월에는 네이버 동영상 뉴스의 자동 자막 서비스에도 도입된 바 있다. 네이버는 'NEST' 기술을 적용한 자동 자막을 다양한 동영상 및 오디오 서비스로 확대하고, 동영상 검색 및 에디터에도 해당 기술을
[첨단 헬로티] 네이버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Clova)' 연구팀이 세계 최고 권위의 자연어처리분야 학회 EMNLP(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2018에 참가, 전세계 수천 명의 연구진들을 대상으로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EMNLP은 세계적인 컴퓨터 언어학 전문가 컨퍼런스 ACL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과 더불어 자연언어처리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 학회로, 올해는 10월 31일부터 11월 4일까지 벨기에 브뤼셀에서 진행됐다. 해당 학회에서는 언어 데이터 기반 자연어처리 접근법에 대해 총체적으로 다뤄졌다. 특히, 네이버 클로바 소속의 서민준 연구원이 University of Washington과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한 논문이 이번 EMNLP 2018의 정규 Oral 세션인 'Question Answering I'에서 발표되는 성과를 얻었다. 발표 주제는 'Phrase-Indexed Question Answering : A New Challenge for Scalable Document Comprehension'으로, 특정 데이터와 과제(Ta
[첨단 헬로티] 네이버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Clova)가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인공지능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홈’ 기능을 강화했다. 따라서 이용자는 클로바앱과 클로바가 탑재된 스마트 스피커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으로스마트홈 기기를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단, 웨이브(WAVE) 모델은 추후 업데이트 예정이다. 먼저, 클로바앱의 홈 화면에 스마트홈 메뉴를 신설해 이용자들이 보유한 각기 다른 스마트홈 기기의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하고, 앱에서 버튼 클릭 한번으로 기기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도록 사용성을 개선했다. 또한, ‘그룹 설정’ 기능을 통해 스마트홈 기기를 그룹화하여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실의 모든 조명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했을 경우, ‘침실 켜줘’라는 명령어에 침실 조명 기기의 전원이 모두 켜지고, 반대의 경우 전원이 모두 꺼지는 식이다. 이와 더불어, ‘내 명령어’ 기능을 추가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특정 명령어에 따라 여러 대의 스마트홈 기기를 한번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됐다. 일례로, &lsqu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가 네이버와 함께 인공지능 스마트홈 구축에 나서며 홈 미디어 서비스 분야에서 일등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LG유플러스는 12월 18일 서울 용산 사옥에서 권영수 부회장과 네이버 한성숙 대표이사를 비롯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핵심 홈 서비스인 IPTV, IoT와 네이버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 기반의 AI스피커를 접목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스마트홈을 공동 구축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 권영수 부회장은 “양사의 사업협력으로 LG유플러스는 IPTV와 IoT의 사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고 네이버는 단기간 내 사용자를 확대하여 플랫폼 경쟁력을 높이는 교두보를 확보하게 됐다”며 “인공지능 분야 최고 기술력을 가진 네이버와 함께 홈 미디어 시장 강자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이번 LG유플러스와의 제휴로 네이버의 AI 플랫폼 ‘클로바’는 영역을 한층 더 확장하게 됐다”며, “네이버는 앞으로 ‘클로바’ 파트너들과 함께 이용
[첨단 헬로티] LG전자가 스마트가전과 스마트홈 솔루션을 동시에 공급하며 B2B 가전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 신도시에 조성되는 주거형 생활숙박시설인 ‘별내역 아이파크 스위트’ 1,100실에 스마트가전과 스마트홈 솔루션을 공급한다. LG전자가 신규 주거단지에 가전제품을 공급한 사례는 많았지만, 스마트가전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가전과 다른 업체의 스마트기기를 모두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홈 솔루션까지 일괄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1,100실 모두에 시스템에어컨,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스타일러, 김치냉장고, 냉장고 등 스마트가전 7종을 공급한다. 고객이 원할 경우 스마트가전을 제어할 수 있는 인공지능 스피커인 ‘씽큐 허브’를 비롯해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등을 추가로 구입할 수 있다. ‘씽큐 허브’는 음성만으로 LG 스마트가전을 작동할 수 있고, 네이버의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를 탑재해 음악, 교통·지역·생활정보, 번역, 영어대화, 뉴스, 검색, 팟캐스트 등 네이버 &lsquo
[헬로티] 네이버와 라인이 준비하고 있는 인공지능 프로젝트 클로바(Clova: CLOud Virtual Assistant)가 공개됐다. 클로바는 인간의 오감을 활용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한 네이버-라인의 인공지능(AI) 생태계 역할을 하게 된다. 네이버와 라인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에서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주식회사 대표의 기조연설을 통해 양 사가 준비 중인 AI 플랫폼 ‘클로바’를 처음으로 소개했다. 양 사가 ‘프로젝트 J’로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클로바는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아미카가 한층 업그레이드된 버전으로, 음성인식 AI 엔진, 비주얼인식 AI엔진, 대화형 엔진 등 다양한 AI 기술들을 아우르는 통합 AI 플랫폼이다. 양사는 인간이 오감을 활용하는 것처럼, AI도 결국은 인간의 오감을 모두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판단 아래, 주로 음성에 초점 맞춰져 있는 AI 플랫폼에서 나아가 폭넓은 감각을 인지하는 것으로 클로바를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클로바는 인간의 오감에 해당하는 ‘클로바 인터페이스(Clova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