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컬링으로 희망을 보여주었던 팀킴의 새로운 라이벌이 등장했다. 그런데 사람이 아니다. 로봇이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열린 ‘2018 로보월드’에서는 로봇들의 컬링 경기가 펼쳐졌다. 참가자들은 컬링하는 로봇을 직접 만들어 경기에 참여했다. ▲ 2018 로보월드에서 로봇 컬링 경기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이기는 방법은 컬링과 똑같았다. 원안에 스톤을 더 정확하고 많이 넣으면 되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축구처럼 스톤을 발로 차서 움직인다는 점이었다. 출발선과 원이 거리가 비교적 멀었기에 로봇은 시간 안에 스톤을 여러 번 찰 수 있었다. 컬링이 선수가 모두 힘을 합쳐 경기를 펼친 것처럼, 로봇 컬링도 로봇과 조종사가 하나가 돼야 했다. 조종사는 로봇이 스톤을 원하는 방향대로 정확히 찰 수 있도록 각도 등을 계산하며 로봇을 조종했다. 상대방 스톤이 원안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전략도 필요했다. 한 참가자는 “로봇을 조정하고, 각도를 계산하고, 상대방 스톤까지 고려하느라 머리가 아팠다”며 “실제 컬링도 머리 싸움인 것 같다”고 말했다. 경
[첨단 헬로티] 미래 로봇 박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2018 로보월드’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부터 대학생까지 로봇전문가라 불리는 학생들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서로 경쟁하고, 뜨거운 승부를 나눴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개최한 로보월드에는 ‘2018 국제로봇콘테스트’가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학생들은 직접 로봇을 만들고, 만든 로봇끼리 농구와 격투, 씨름 등의 스포츠로 경쟁했다. ▲ 2018 로보월드의 부대행사로 국제로봇콘테스트가 개최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행사장 한편에서는 로봇을 만드는 학생들의 손이 분주했다. 직접 손으로 로봇을 설계하는 학생들이 있었고, 의견을 나누는 학생들의 모습도 보였다. 필리핀 등 외국 학생들도 서로 의견을 나누며 로봇을 만들고 있었다. ▲ 학생들이 로봇을 제작하며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연해보고 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한 고등학생은 “어렸을 때부터 장난감 로봇을 조립하는 것을 좋아했다”며 “직접 로봇을 만들어 경쟁할 생각에 설렌다. 과연 이 로봇이 내 마음처럼 움직일지가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