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국지엠(GM) 사측이 쟁의권 확보에 나선 노조의 압박에도 내년 이후 인천 부평2공장에 추가로 생산 물량을 배정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부평2공장의 근로자를 창원으로 '전환배치'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라는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노조원들은 구조조정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다. 16일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 등에 따르면, 한국GM 사측은 최근까지 11차례 임금협상 단체교섭을 진행하면서 부평2공장에 생산 물량을 추가로 배정해달라는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앞서 노조는 생산 일정이 내년 7월까지로만 돼 있어 구조조정 우려가 제기된 부평2공장에 내년 4분기부터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를 투입하는 것을 약속해달라고 한국GM 사측에 요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앞선 11차 교섭에서 회사 제시안을 통해 지난해 임단협 합의 내용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만 했다. 지난해 한국GM 사측은 부평2공장에 신차 생산 물량을 배정해달라고 노조가 요구하자 '시장의 수요를 고려해 최대한 부평2공장에서 현재 생산하고 있는 차종의 생산 일정을 연장한다'고만 밝힌 바 있다. 한국GM 노조가 쟁의행위 찬반투표에 이어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하는 등
[헬로티] 한국GM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결국 다음주 부평1공장과 부평2공장의 생산을 중단한다. ▲출처 : 한국GM 한국GM은 차량용 반도체 칩 부족으로 19일부터 일주일간 인천 부평 공장 2곳의 생산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이후 운영 계획은 다음주 중 확정할 예정이다. 한국GM은 국내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먼저 반도체 수급난으로 생산 차질을 겪으며 지난 2월 8일부터 부평2공장의 가동률을 50%로 유지해왔다. 부평1공장과 창원공장은 정상 가동 중이었다. 부평1공장은 트레일블레이저를, 부평2공장은 쉐보레 말리부와 트랙스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GM은 "협력업체의 반도체 수급 해결책을 찾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긴밀히 협업 중"이라며, "이후 부평 공장의 생산 손실을 최대한 회복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창원공장은 2018 한국 에너지 대상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첨단 헬로티] 에너지 절감형 공장으로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 세계적인 굴삭기 전문 업체인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창원공장이 11월 27일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2018 한국 에너지 대상' 시상식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산업통산자원부에서 주관하는 한국 에너지 대상은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이나 개인에게 수여하는 포상제도다.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창원공장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에너지 절감형 공장 구현과 더불어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아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 이날 수여식에 참가한 최종원 부사장은 "볼보건설기계코리아의 창원공장은 지난 20년간 생산 프로세스 혁신과 에너지 개선활동을 병행해 왔으며 그 결과 2013년 대비 20.3%의 에너지 개선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창원공장만의 시스템을 통해 그룹 내에서 가장 높은 생산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로 주목 받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창원공장은 국가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