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난해 국내 조선업이 8년만에 최대 수주 실적을 달성했다. 2020년(823만CGT) 대비 112%, 코로나19 상황 직전인 2019년(958만CGT) 대비 82% 늘어, 그동안 침체됐던 국내 조선산업이 회복을 넘어 재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지난해 1,744만CGT를 수주해 이 같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한, 전세계 발주량(4,696만CGT) 중 국내 수주비중은 37.1%이며,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어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수주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수주량 중 고부가가치 선박(1,252만CGT)이 72%, 친환경 선박(1,088만CGT)이 62%를 차지해 고부가·친환경 선박이 우리나라 주력 선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 수주실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선박의 경우 전세계 발주량 1,940만CGT(302척) 중 65%에 해당하는 1,252만CGT(191척)를 우리나라가 수주하며,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선종별로, 최근 선가가 상승 중인 대형 LNG운반선(174k m3이상)의 경우 전세계 발주량의 89.3%
새로운 '원 사이드 스프레드' 계류시스템, FLNG 운영 안정적 수행 삼성중공업이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 설비(이하 FLNG)'에 적용 가능한 '원 사이드 스프레드(One-side Spread)' 계류시스템을 독자 개발해 미국 선급인 ABS로부터 기본 인증을 획득했다. 계류시스템은 초대형 부유식 설비가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채굴하거나 생산된 LNG를 LNG운반선에 하역할 때 강한 바람이나 조류에도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원 사이드 스프레드' 계류시스템은 한쪽 측면에 고장력 로프를 걸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LNG운반선의 안전한 접근과 접안이 용이하고 △FLNG가 안정적으로 가스전 해상에 머물게 하는 운동 성능을 확보한 기술이다. 기존 FLNG 계류시스템으로 탑재되어 온 터렛(Turret) 방식은 제작 및 설치 난이도가 높아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돼 왔다. 터렛은 최대 높이 50미터, 둘레 30미터의 원통형 대형 구조물로, FLNG 상부 갑판부터 밑바닥까지 수직으로 뚫어놓은 구멍에 터렛을 끼워 선박을 고정시킨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4월 '원 사이드 스프레드' 계류시스템의 국내 특허 출원을 마친 데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전 세계 발주량 1025만CGT 중 532만CGT(119억불)을 수주해 ‘21년 1분기에 전세계 1위 수주량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이번 성과는 전년동기 대비 923%, ‘19년 대비 157% 증가한 실적이며, 조선 호황기(’06~‘08년) 이후 13년 만에 1분기 최대 수주량이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유가하락 등으로 침체됐던 국내 조선산업이 점차 회복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21년 3월에는 전 세계 발주량 521만CGT 중 287만CGT(55%)를 수주해 6개월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하는 등 최근 국내 조선산업 수주량 증가세를 이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1분기 성과에는 우리나라 조선업계가 선도하고 있는 고부가가치선박 시장에서의 선전이 크게 기여했다. 전 세계 발주량 560CGT 중 426만CGT(76%)를 수주한 이번 실적은 우리나라 1분기 전체수주량(532만CGT) 중 80%에 해당한다. 산업부는 운임상승에 따라 발주가 증가한 컨테이너선은 77척을 수주, LNG(2척), VLCC(23척)은 전세계 발주량 100
[헬로티=함수미 기자] 국내 조선업이 주춤했던 시기를 지나 연속 세계 1위 선박 수주량을 기록하며 한국 조선업의 부활을 세계에 알렸다. 또한 국내 대표 조선사들이 잇따라 수주 계약을 성사시키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인다. 주목할 점은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선박 발주가 증가하면서 국내 조선업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는 것이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조선업의 부활 국내 조선업이 성공적인 부활을 알렸다.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선박 수주량을 기록하며 연속 1위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 조선 빅3사도 올해 들어서 10조 원에 육박하는 계약을 따내는 수주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지난해 대비 3배가량 많은 수주량을 기록하는 것이며, 각 기업은 올해 목표를 무리 없이 이뤄가고 있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유럽 소재 선사들과 총 8350억 원 규모의 선박 8척을 수주했다. 대우조선해양은 미주, 유럽, 아시아 등 선주 세 곳으로부터 선박 10척을 약 1조959억 원에 수주했다. 삼성중공업도 아시아 지역 선주에 컨테이너선 5척을 7942억 원에 수주했다. ▲출처 : 한국조선해양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수주
[헬로티]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지난 5일(금) 전남 영암군에 위치한 지역 대표조선소인 현대삼호중공업을 방문했다. ▲출처 : 산업부 현대삼호중공업은 작년 국내 선박 총 수출액의 14%, 총 수주량의 19.7%를 담당한 기업으로 금번 우리나라 조선 수주량 세계1위 달성에 큰 기여를 했다. 특히, 세계 최초 LNG 추진 시스템을 장착한 대형 탱커(‘18.5), 컨테이너선(‘20.9), 벌커(‘20.12) 등 대형상선 건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20년 국내 조선소 중 LNG 추진 대형 LNG선(174k m3급) 수주 1위(총 36척 중 12척)를 달성했다. 이번 현장방문은 조선산업 패러다임이 친환경화·스마트화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조선·해운 분야의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LNG 추진선의 핵심기술을 점검하는 자리였다. 금번 방문은 174k급 LNG 운반선의 LNG 화물창 내부에서 진행됐으며, 향후 동 선박은 금년 9월 미쓰비시 상사에 인도돼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주에서 일본 도쿄가스까지 LNG를 운반할 예정이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이번 현장방문에서 “우리나라 조선 세계 1위를 달성
[첨단 헬로티] 2020년, 대형 엘엔지(LNG) 프로젝트 발주로 업황은 지속 개선 전망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9년도 국가별 선박 수주 실적을 집계한 결과 전 세계 선박발주 2,529만CGT 중 우리나라가 943만CGT를 수주하여 세계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2019년 상반기, 경쟁국인 중국에 비해 부진했지만 하반기 집중수주를 통해 2년 연속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유지했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전세계 대형 LNG 운반선 발주물량(11척)을 모두 수주하는 등 글로벌 발주 307만 CGT중 우리나라가 174만 CGT(점유율 56.7%, 연중 최대치)를 수주했다. 선종별로 보면, 대형 LNG운반선(174k) 51척 중 48척(94%), 초대형유조선(VLCC) 31척 중 18척(58%), 초대형컨선 36척 중 22척(61%)등 고부가가치 선종에서 높은 경쟁우위를 보였다. 이뿐 아니라 ‘19년 조선 건조량은 951만 CGT로 전년대비 23.1% 증가했다. 건조량은 ‘16년 수주절벽 영향으로 18년 최저(772만 CGT)을 기록했으나, 이후 수주 증가로 19년 2분기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첨단 헬로티] 조선기자재 제조전문기업 중앙오션이 말레이시아 조선기자재 및 에너지 사업분야에 본격 진출한다. ▲중앙오션과 OBM테크닉, 테크노 어날리시스, 케이 엔지니어링의 MOU 체결식 중앙오션은 지난 10일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기업인 페트로나스(PETRONAS) 산하 정부 등록업체인 OBM테크닉(OBM TECHNIC SDN. BHD), 테크노 어날리시스(TECHNO ANALYSIS SDN. BHD) 및 로컬 조선소인 케이 엔지니어링(KAY ENGINEERING SDN. BHD)사와 조선기자재 수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중앙오션은 2020년까지 1100만불(USD), 한화로 약 130억 원 규모의 조선기자재를 말레이시아에 수출하게 된다. 이와 별도로 약 47만5000불 규모의 선박용 선실 내장재 공급계약도 체결했다. 중앙오션은 1999년 설립 이후 경남 진해, 김해, 고성 등지에서 조선기자재 및 전동기, 발전기를 제작·판매하고 있는 조선기자재 전문제조기업이다. 2001년 코스닥에 상장된 이후 차별화된 기술력과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국내 대형조선사들과 안정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우수 협력사로 인정받아 왔다.
[첨단 헬로티] 현대중공업이 선박 건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관, 대학 및 3D프린팅 업체들과 손잡고 선박 기자재 제작을 위한 3D프린팅 기술 개발에 나섰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6일, 울산정보산업진흥원(남구 무거동)에서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대 첨단소재공학부, UNIST 3D프린팅 첨단기술센터, 한국적층제조사용자협회(K-AMUG), 원포시스, 대건테크, 창성, 대신강업 등과 ‘선박 건조 분야 3D프린팅 기술 개발 컨소시엄 구성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주원호 현대중공업 중앙기술원장, 장광수 울산정보산업진흥원장, 조홍래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부총장, 김남훈 UNIST 3D프린팅 첨단기술센터장, 주승환 한국적층제조사용자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컨소시엄은 선박 건조에 필요한 기자재를 3D프린터로 생산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제작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용 금속 3D프린터와 소재의 국산화, 관련 공정 기술 및 기자재 양산을 위한 설계 기술 개발 등을 추진키로 했다. 3D프린팅 기술은 이미 항공기, 자동차, 엔진 등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조선업종에서 전문기관들과 함께 컨소시엄을
[첨단 헬로티] 산업 구조조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2400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긴급 공급한다. 또 세금 납부와 사회보험료 체납 처분을 유예하는 등 비용 부담도 완화한다. 정부는 8일(목)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구조조정 등에 따른 지역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그 내용을 자세히 알아본다. ◈ 협력업체 지원 1300억원 규모의 특별보증 프로그램을 신설해 보증심사 기준을 완화하고 개별 기업 보증 한도를 최대 3억원으로 확대한다. 또 보증비율을 90%로 높이고 보증료율은 09~1.0%로 낮춘다. 정책금융기관 대출 등에 대해서는 만기를 1년 연장하고 원금 상환도 유예한다. 아울러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최대 40억원 추가 배정하고 처리기간 단축, 융자요건 완화 등의 우대조건을 적용한다. 세금 납부를 유예하고 세금·사회보험료 체납 처분도 유예한다. 특히 실제 현장에서 협력업체가 자금 지원을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정책금융기관 담당자와 상담도 추진한다. 민간은행의 기존 대출에 대해서는 만기 연장과 원금 상환 유예가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한다. ◈ 협력업체 근로자 지원 경남 조
[헬로티]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기업청는 조선업과 기계 및 자동차부품 산업 분야 신규 바이어 발굴을 통한 수출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12월 7, 8일 이틀간 부산 BEXCO에서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상담회는 최근 침체를 겪고 있는 조선‧해운업, 기계‧부품 및 자동차부품 산업 중소기업의 해외판로 개척을 통한 활력 회복을 지원하고자 이들 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부산에서 개최됐다. 이번 상담회에서 20개국 68명의 바이어가 참석해 우리 중소기업 174개사와 800여건의 상담을 진행했으며, 15억 달러 규모의 선박내장재 공급 상담 등이 진행되었고 9,800만 달러의 큰 규모가 계약됐다. 특히 인도 최대 자동차 제조사 Tata Motors Ltd.와 인도네시아 최대 국영 조선소 PT PAL Indonesia(PERSERO), 중동 최대 자동차 및 부품 유통사 Al Habtoor Motors 등 유력 바이어가 참석해 국내기업의 관심이 높았다. 이란의 YADMAN ZAMAN사는 상담장에서 신광사와 펌프공급을 위한 40만 달러 규모의 MOU를 체결했고, 내년 1월까지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스라엘의 Kudan Company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