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뉴스 한국전기연구원, '전도성 잉크' 개발로 2020년 10대 나노기술 선정돼
[헬로티] 기존의 ‘은’ 대체할 소재 개발 성공해 가격경쟁력 확보 ▲기술 개발자인 정희진 박사(좌)와 이건웅 박사(우)가 전도성 금속잉크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출처 :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저가형 금속/그래핀 복합잉크 제조기술’이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한 ‘2020년 10대 나노기술’로 선정됐다. 한국전기연구원 나노융합연구센터에서 개발한 이 기술은 꿈의 나노 신소재라고 불리는 ‘그래핀’을 구리에 합성해 전도성 금속 잉크를 만드는 기술이다. ‘전도성 금속잉크’는 말 그대로 전기가 통하는 잉크로, 각종 전기·전자기기의 부품 제조는 물론, 우리나라 소재·부품 산업 전 방위에 활용되는 필수 소재다. 현재 시판되는 전도성 금속잉크의 주요 소재는 귀금속 계열의 은(Ag)이다. 은은 전기 전도도가 높고 산화가 잘 되지 않아 전도성 금속잉크를 만드는 데 사용되어 왔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다. 특히 고품질 은 잉크의 경우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필요하다 보니 그동안 해외 수입의존도가 높았고, 대체 소재 발굴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