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BMW 그룹이 독일 딩골핑 공장에서 순수전기 모델 iX와 i4에 탑재될 5세대 BMW e드라이브 시스템 생산에 돌입했다고 14일 밝혔다. 5세대 BMW e드라이브는 배터리 모듈, 고전압 배터리, 전기 모터로 구성된 BMW의 차세대 전기화 드라이브 트레인으로, 확장 가능한 모듈형으로 설계돼 차종의 구조나 생산 지역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BMW 그룹은 딩골핑 공장의 전기 드라이브 생산량 확대를 목표로 내년까지 5억 유로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며 내년부터 매해 50만 대 이상의 전기 드라이브를 생산할 예정이다. 미하엘 니콜라이데스 BMW 엔진·전기 드라이브 트레인 생산 부문 수석부사장은 "2030년까지 전 세계 BMW 그룹 판매 차량의 50% 이상이 전기화 모델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5세대 BMW e드라이브가 탑재된 순수전기 모델 iX와 i4는 딩골핑 공장과 뮌헨 공장에서 양산되며, 국내에는 올해 11월과 내년 초에 각각 출시될 예정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해양수산부가 친환경 에너지절감형 어선 기술개발을 위해 2025년까지 289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기존 연근해어선은 조업 중심의 어선구조·설비를 갖춘 것은 물론, 대부분 디젤기관을 사용하는 설계를 기반으로 건조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고, 질소산화물 등 해양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고비용·저효율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 등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하여, 안전과 복지가 강화되고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등을 탑재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어선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사업자 선정 공모를 시행하여 컨소시엄 형태의 연구기관을 최종 확정한 뒤 5월에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올해 7월부터 2025년까지 총 28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친환경 하이브리드 어선 기술개발은 연안복합어업, 연안자망어업 및 근해채낚기어업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기술 개발을 위해서 ▲전기모터, 배터리 등 전기복합 추진 핵심기자재 기술을 개발해 전기복합 추진체의 공간을 최적화 ▲관련 설비 기술 개발 ▲복원성 등 안전성 평가 등을 통해 새로운 표준선체 설계가 진행된다. 특히, 이번 사업
[헬로티] 셰플러코리아는 올해 하이브리드 모듈, 하이브리드 구동장치, 전기차축 트랜스미션 대량 생산을 통해 본격적으로 전기모터 대량 생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출처 : 하이브리드 모듈,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 전기차 차축 구동장치 용 전기모터 셰플러는 최근 승용차용 전기 모터의 대량 생산 수주에 성공했으며, 상용차 어플리케이션 부문에도 진출했다. 또 높은 출력 밀도 및 조립 과정에서 여러 장점을 제공하는 파권 기술을 적용한 전기 모터 대량 생산 계약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하이브리드 전용 구동장치 수주에 성공, 2024년부터 2개의 전기 모터와 통합형 전력 전장 트랜스미션으로 구성된 구동장치 전체를 납품할 예정이라 밝혔다. 이 장치는 120kW의 정격 출력으로 낮은 연료로도 스포츠카와 같은 성능을 제공한다. 전기 차축 시스템의 주요 부품인 전기 차축 트랜스미션은 2017년부터 대량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아우디 e-트론 두 차축에 서로 다른 구조의 셰플러의 전기 차축 트랜스미션이 사용되었으며, 포르셰의 타이칸에는 고효율 동축 전기 차축 트랜스미션을 장착했다. 2020년에는 동축 전기 차축 트랜스미션으로 PACE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또 전기
[헬로티] 전력 관리 기업 이튼이 자사의 트윈 보티스 시리즈(Twin Vortices Series, 이하 TVS) 기술이 공기 흐름을 정확히 제어함으로써 수소 연료전지 모듈이 최고 효율로 작동하게 하는 필수적인 부품임이 입증됐다고 22일 발표했다. ▲이튼은 자사의 트윈 보티스 시리즈로 수소 연료전지 모듈이 최고 효율로 작동하게 하는 필수적인 부품임을 입증했다. TVS연료전지 블로워(blower)는 전동이어서 공기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어해 순간적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위해 연료전지 전압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튼의 TVS기술은 운송 업계에서 보다 강력한 내연기관 애플리케이션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 제품을 약간 조정해 연료전지에 적합하게 수정했다. 연료전지 스택을 효율적으로 작동하려면 공기와 수소의 흐름이 정확히 제어돼야 한다. 연료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층을 이룬 양자교환 막으로 구성돼 있다. 수소는 양극으로 전달되고 주변 공기에서 확보된 산소는 음극으로 보내진다. 여기에서 수소 분자는 연료전지 촉매제에서 일어나는 전기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양성자와 전자로 분리되어 양성자가 막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양자교환 막의
[첨단 헬로티] NVH 인수로 최종 라인 소음, 진동 및 Harshness 품질 테스트를 위해 혁신적이며 뛰어난 구성 가능성을 갖춘 솔루션에 기반한 심센터 포트폴리오 강화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는 사브 메다프 테크놀로지스 NVH 최종 라인 품질 테스트 사업부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신호 처리, 항공 통신 정보 및 분석, 육상 및 해상 애플리케이션과 산업 품질 테스트용 소음, 진동 및 Harshness (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이하 NVH)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사브 메다프는 고유한 NVH 품질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는 탄탄한 사용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연소 기관, 변속기, 전기 모터, 모터 구동 부품 및 시스템 최종 라인 품질 테스트 분야에서 혁신적인 우수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지멘스는 사브 메다프 NVH 사업부 인수로 제조 시 최종 라인 NVH 품질 테스트에 사용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확보하게 됐다. 이를 통해 자사의 연구 개발용 심센터 테스트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한층 보완할 수 있게 됐다. NVH 기술 및 사업부는 지멘스 디지털 팩토리 사업부 산하 지멘스 PLM 소프트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리는 ‘2017 대한민국 균형발전 박람회’ 기간(11월 22일부터 25일) 중 11월 22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광주광역시(시장 윤장현), 전라남도(도지사 권한대행 이재영), 나주시(시장 강인규), 한전KDN(사장 임수경)과 함께 한화큐셀코리아 등 42개의 기업과 에너지밸리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한전은 당초 올해 목표였던 250개 투자유치 목표를 크게 상회하여 누적 280개 기업과 에너지밸리 투자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투자금액 1조원 돌파(1조 1836억원) 및 7631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달성했다. 특히 협약 기업 중 ㈜태왕모터스(서울소재)는 1천억원을 투자하여 재생에너지 및 전기모터 등을 나주혁신산업단지에서 생산할 예정으로 이를 위해 200명을 신규 고용할 계획이다. 또한 ㈜대우파워테크(전남 소재)는 태양광발전 및 설비생산을 위해 180억을 투자하고 50명 규모의 신규고용을 추진하고 있음. 이러한 대규모 기업투자는 에너지밸리의 기업유치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첨단 헬로티] 산업 전반 응용 분야에 전기화가 늘어나고 기존 분야에서의 에너지 효율 향상과 브러시리스 직류 (DC) 모터와 같은 고효율 모터에 대한 수요로 인해 세계 전기 모터 시장도 격변기로 들어섰다. 앞으로는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고 고객과의 더 긴밀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업들이 성공할 것이라는 평가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 지사가 최근 발표한 ‘2017 세계 전기 모터 시장 전망 분석 보고서(Global Electric Motors Market, Outlook 2017)’는 전기 모터 시장 트렌드 및 ABB와 지멘스(Siemens), 보쉬(Bosch), 니덱(Nidec Corporation), 존슨 일렉트로닉(Johnson Electric), 덴소(Denso Corporation) 등, 주요 기업들의 행보를 담고 있다. AC모터와 DC 모터,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motor), 서보(servo), 스텝 모터(stepper motor)와 같은 기술들도 분석하고 자동차와 가전제품,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완구, 의료기기, 사업장비, 전자기기, 등 개별산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