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이 지난 2월 17일 델타로봇인 LS QuickMaster(퀵마스터) XDR 시리즈를 출시했다. XDR 시리즈는 높은 처리능력 및 다양한 비전시스템과의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쉬운 로봇 프로그램 방식을 제공하면서도 가격, 납기, A/S 부분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국내 고객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LS일렉트릭 유병선 매니저(신사업 BU장)는 “LS 고유의 PLC, Servo 및 제어기술 등을 활용하여 통합 델타로봇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XDR 시리즈는 1kg~3kg의 가반하중 처리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반경 600~1600mm, 150~190/min의 사이클 속도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Ethernet 통신으로 비전시스템과의 연결이 간단하고 XDR 시리즈 전용 비전솔루션도 함께 제공되어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고객들은 LS QuickMaster를 델타로봇 단품뿐만 아니라 ‘델타로봇+비전시스템+공압+end effector’가 하나로 합쳐진 델타로봇시스템으로도 구매할 수 있어 손쉽게 토털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LS일렉트릭 김병균 상무(자동화솔루션국내사업부)는 “직교로봇, 스카라로봇, AGV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높은 공정 비용과 품질 기준 두 가지 모두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자동화 솔루션이 필요하다. 자동화의 핵심인 랜덤 빈피킹이 바로 그 해답이다. 이스라비젼의 빈피킹 센서는 뛰어난 정확도와 0.5초 미만의 매우 짧은 스캔 속도를 제공한다. PowerPICK3D 센서는 4개의 카메라가 탑재돼 있어 다양한 각도에서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스캔하는 쿼드 카메라 기술을 사용한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을 가진 대상품 및 광택 재질의 대상물에도 형상이나 재료에 관계없이 높은 품질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정확하게 생성한다. CAD 모델과 비교해 픽킹할 대상품을 감지할 뿐 아니라 CAD가 없는 대상물 피킹 시에는 대상물 스캔으로 CAD 자체 생성을 통해 최적화된 픽킹 순서와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충돌 없는 로봇 경로 계산은 짧은 시간 안에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PowerPICK3D 센서는 모듈식으로 확장 가능한 다중 센서 설계로 2개의 센서가 2개의 빈을 연속적으로 스캔한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컨테이너를 비우는 데 로봇 1대만 있으면 충분하다. 첫 번째 컨테이너의 빈피킹 작업 완료 후 두 번째 컨테이너를 바로 작업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생산을
[헬로티] Brity Works로 협업과 업무 자동화 한 번에 해결 삼성SDS가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협업 및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웍스(Brity Works)'로 사업 확대에 나선다.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협업 및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웍스(Brity Works)' 브리티웍스는 전 세계 50만 삼성 임직원들이 사내·외 협업과 업무 자동화에 사용 중인 솔루션을 타 기업들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다. 실시간 협업을 위한 Mail(메일)·Messenger(메신저)·Meeting(영상회의)과 업무 자동화를 위한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Assistant(대화형 AI 챗봇) 등 5가지 핵심 서비스로 구성돼 있다. 특히 한 번만 로그인하면 되는 통합인증(SSO: Single Sign On)을 통해 ERP·SCM·MES·CRM 등 핵심 경영시스템과 연계한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표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프로그램 개발 환경)가 갖춰져 있다. Brity Mail은 메일, 결재, 일정, 게시 등 일상
[첨단 헬로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팬데믹(pandemic, 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지면서 세계 전역의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IT 기업 FPT는 이런 시국에 맞서 직원들이 새로운 현실에 적응할 수 있도록 팔을 걷어붙였다. ▲akaBot은 코로나19 동안 회사가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돕는다. FPT는 앞으로 3개월 동안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 솔루션인 akaBot을 이용하는 기존 고객들에게 라이선스 기한을 3개월 무료 연장한다. 지금부터 6월 말까지 RPA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신규 고객에게도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며, RPA 솔루션과 관련한 컨설팅 서비스도 무료로 지원한다. FPT의 akaBot은 수동으로 수행해야 했던 반복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직원의 원격 재택근무를 지원하는 RPA 솔루션이다. 기업은 akaBot을 활용해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사업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운영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akaBot은 현재 6개국에서 금융, 제조, 소매, IT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1
[첨단 헬로티] 미국 물류 자동화 솔루션의 선두주자 OPEX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한국 및 아시아 시장 스마트팩토리 사업 공동 개발 예정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전문기업 진코퍼레이션이 지난 11일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글로벌 스마트 팩토리 쇼룸에서 미국 물류 자동화 전문기업인 오펙스(OPEX Corporation)와 공식 리셀러 계약 및 한국, 아시아 지역 스마트 팩토리 사업 전개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진코퍼레이션 이창희 대표, 남중종 이사, 바이런 놀스(Byron Knowles) 오펙스 아태지역 사업개발총괄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진코퍼레이션은 지난 11일 오펙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둔 오펙스(OPEX Corporation)는 40여년의 역사를 지닌 물류 자동화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북미와 유럽을 비롯한 세계 유수 기업들의 물류센터에 물류 자동화 솔루션을 공급하며, 주요 시장조사기관에 의해 물류 자동화 분야 세계 10대 혁신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지난 4월 중소벤처기업부에 의해 글로벌강소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는 진코퍼레이션은 국내외 대기업에 다양한
[첨단 헬로티] 코리아크레딧뷰로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조직 생산성 향상 및 다양한 활용 사례 지원 통해 비즈니스 경쟁력 향상 기반 마련 머신러닝 자동화 플랫폼 분야의 선도적인 기업 데이터로봇이 코리아크레딧뷰로(이하 KCB)에 머신러닝 자동화 플랫폼을 공급하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신용평가 모형 개발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KCB는 금융 안전성 향상을 위한 선제적 예방과 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국내18개 주요 금융회사가 출자해 설립한 신용평가정보회사다. KCB는 신용평가 및 예측 모델 개발 과정을 효율화하고,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글로벌 리딩 머신러닝 자동화 솔루션인 데이터로봇(DataRobot)을 도입했다. KCB가 도입한 데이터로봇(DataRobot)은 데이터 준비 및 변경부터 알고리즘 선택, 튜닝, 모델 성능 비교, 그리고 예측 결과에 대한 설명, 모델 배포, 모니터링 및 관리에 이르는 머신러닝 모델 구축 전 과정의 자동화를 지원한다. 특히 머신러닝 알고리즘 적용에 적합한 특징을 생성해 최적의 알고리즘 조합을 찾으며, 모델 학습 결과에 따른 순위를 매기고, 예측 결과와 실제 결과를 비교해 최신 데이터로 새로운 모델을 학습시킬
▲운영 모델 마스터(Operating Model Master) 부문에서 수상한 LS산전 [첨단 헬로티] 클라우드 기반 시뮬레이션 플랫폼 '앤시스 Elastic Licensing'으로 기술 경쟁력 강화 글로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기업 앤시스(ANSYS)의 클라우드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활용하는 LS산전이 금일 열리는 제2회 IDC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어워드(이하 IDC DX 어워드)에서 한국 수상자로 선정됐다. IDC가 주관한 이번 어워드에서 LS산전의 '클라우드 기반 CAE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프로젝트'는 운영 모델 마스터 부문에서 올해의 수상 프로젝트로 선정되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전력기기/에너지 장비 및 공장 자동화 솔루션을 생산하는 LS산전은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영역별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왔다. 하지만 더 큰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엔지니어링 개발 환경에서 엔지니어의 해석 결과를 융합하는 것이 불가피했다. 이를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비용 문제와 부서별 및 엔지니어별로 다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발생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호환성 문제를 극복해야 했다. LS산전은 문제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