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산업에 메타버스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점점 늘고 있다. 메타버스는 최근 MZ세대로부터 뜨거운 지지를 받고 있는 디지털 가상현실 플랫폼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메타버스에 대한 폭발적 관심이 코로나19로 인해 지속되고 있는 팬데믹 상황과 MZ세대의 디지털 친화적 성향이 맞물린 것이라 보고, 앞으로 메타버스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에 따르면 메타버스 시장은 현재 460억달러(한화 약 51조 1060억원) 규모로, 오는 2025년에는 2800억달러(한화 약 311조 800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메타버스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전망에 발맞춰 다양한 기업, 기관 등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현대차, MZ세대 겨냥한 메타버스 마케팅 먼저 지난 25일 현대자동차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이버제트(NAVER Z)의 ‘제페토’ 속 가상공간에서 쏘나타 N 라인을 시승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업계 최초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자사 차량을 구현해 시승 경험을 제공하는 회사가 됐다. 제페토 이용자들은 맵 속 인기 공간인 다운타운과 드라이빙 존에서 쏘나타 N 라인을 시승할
[헬로티] 지역별 특성에 맞는 디지털·그린·안전망 뉴딜 사업 마련...공공기관도 디지털 발전소·스마트 팩토리 등으로 지역 사업 동참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 주재하는 문 대통령 (출처: 연합뉴스)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자체 재원에 민간 자본까지 끌어 한국판 뉴딜사업에 시동을 건다. 13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한국판 뉴딜 추진 전략회의에서는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게 계획한 뉴딜사업의 윤곽이 드러났다. 광역자치단체 11개, 기초자치단체 125개 등 총 136개 지자체가 디지털·그린 뉴딜 관련 사업 추진 구상을 내놨다. '경기형 뉴딜', '강원형 뉴딜' 등 지자체가 스스로 발굴해 주도하는 사업들이다. 경기 공공배달앱, 인천 혁신생태계 사이언스파크 조성 수도권 중 서울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 새로 짓는 공공건축물을 에너지 효율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건물(ZEB)로 의무화하는 그린 뉴딜 사업에 6천586억원을 들인다. 경기는 내년까지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을 덜어줄 공공배달 플랫폼 구축에 74억원을 투입한다. 민간배달 앱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도 수수료 부담이 적은 공공 배달 앱을 만들겠다는
[첨단 헬로티]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코리아가 성남환경운동연합, 성남시청과 함께 성남시 지역 초, 중, 고등학생을 위한 생태환경 체험교육을 진행한다.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는 ‘미래 세대인 어린이를 위한 교육과 환경’이라는 주제에 맞춰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추진해 왔다. 대표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 <물땡땡이와 떠나는 지도 속 습지 세상>은 올해도 성남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3년 연속 진행한다. 참여 학생들은 탄천태평습지생태원 등지에 사는 동식물을 관찰하며, 습지의 환경적 가치를 배운다. 올해부터는 환경교육 사업의 범위와 대상을 확대해 새로운 프로그램인 <흰목물떼새가 우리 탄천에 살아요>도 시행한다. 이 프로그램은 멸종위기종인 흰목물떼새 등 탄천 습지의 다양한 철새를 관찰하고 생물 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기획됐다. 참여 대상은 기존 초등학생에서 중, 고등학생까지 대폭 확대한다.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코리아 강인두 대표이사는 “환경 교육은 미래 인재들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인성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앞으로도 지역 사회와 협력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인재로 성장할 수